-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1/01/26 22:11:02
Name   ikuk
Link #1   https://github.com/features/codespaces
Subject   Github Codespaces의 등장. 그리고 클라우드 개발 관련 잡담.


베타테스터를 신청한 github codespaces의 소개 영상이 (한달 전에) 나왔습니다.
귀찮아서 미루고 미루다가 오늘 다 본 요약입니다:

1. 깃헙 사용자는 깃헙 레포지토리 별 가상머신을 구매할 수 있다.
2. 레포지토리에서 codespace vm열기를 하면 자동으로 해당 레포지토리의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 vscode브라우저 버전이 열린다.
3. 코딩 작성 뿐만 아니라, 디버그, 빌드, 디플로이, 로컬 개발 환경 내 구동 등을 지원하며, vscode 플러그인은 전부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세 줄 요약이 됩니다.

지원하는 브라우저는 chromium이며, chrome과 edge를 권장합니다.
github codespaces를 활용하게 되면 개발자들은 (safari를 안쓴다는 가정하에) 아이패드로도 개발을 할 수 있습니다.

아이패드가 아니어도, 브라우저만 말끔히 구동시킬 수 있다면 어떤 무거운 프로젝트라도 100% 개발 퍼포먼스를 낼 수 있는 것입니다.

아마존AWS가 EC2와 가상환경의 운신을 넓히고 보편적인 서비스로 자리잡게 해주었다면,
마이크로소프트는 Azure의 인프라를 이용해 IaaS, PaaS를 더욱 진화시켜 브라우저를 새로운 OS 생태계로 만들고 있습니다.

https://docs.github.com/en/github/developing-online-with-codespaces/about-billing-for-codespaces

기본 스펙이 사용요금 시간당 $0.08 (약 80원)이며 기본 2코어 4GB램을 주는데, 실제 azure 인스턴스와 비슷한 가격입니다.
8코어 16GB의 가장 높은 스펙을 사용하게 된다면 시간당 $0.33 (약 340원)을 사용하게 됩니다.
또한 사양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타이핑 작업이 주를 이루는 9할은 기본 스펙으로도 충분할 것입니다.




MS의 사티야 사장이 외계인을 납치할 만한 기술을 보여주는 게 아닙니다.

10여년전 이와 비슷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Cloud9은 교육환경에서도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굉장한 가격에 AWS에 인수합병되며 클라우드 개발의 지변을 넓히나 싶었지만,
부족한 기능에 쉽사리 현장 엔지니어들의 선택을 받지 못했습니다.

실제로 AWS는 세상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들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커뮤니티 형성이 제대로 되지 않은 폐쇄적 문화에 가깝습니다.
'제품은 조직 문화를 대변한다'는 말처럼, AWS의 조직 문화는 커뮤니티 지변에도 영향을 미쳐, 소통지향적인 모습을 보이진 않습니다.

물론 AWS가 전통적인 IaaS를 꽉 붙잡고, ssh와 관련된 CLI 툴을 매우 깔끔하게 만들고 있는 반면
MS의 Azure는 powershell과 함께 지지부진한 면이 없지않아 있었습니다.

반면 마이크로소프트는 비주얼 스튜디오의 간소화 버전인 vscode를 오픈소스로 공개한 이후, 커뮤니티 시장에 훨씬 적극적으로 가담했습니다.
깃헙을 인수하던 당시 많은 사람들이 MS의 정책에 많은 우려를 가졌지만, 레드핫이나 IBM과 같은 기업과는 다른 오픈된 행보를 보여줍니다.

MS의 자본이 투입되면서 무료사용자들도 private레포지토리를 무한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되었고, (과거는 1개인가 5개의 갯수제한이 있었음)
vscode integration도 매우 적극적으로, 그리고 github 커뮤니티와의 소통,
그리고 가장 큰 역할을 한 js의 superset인 typescript의 오픈소스 개발과 그 커뮤니티까지
클라우드 개발에 가장 필요한 것들에 MS는 모두 관여하려 하고 있습니다.

https://insights.stackoverflow.com/survey/2020#technology-most-loved-dreaded-and-wanted-languages-loved
그 덕분에 ts는 동년배인 rust와 함께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개발언어로 지정되었고,

https://insights.stackoverflow.com/survey/2020#development-environments-and-tools
개발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OS로 부동의 윈도, 협업도구 1위 깃헙을 차지하게 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축적된 에너지를 이번 codespaces를 통해서
cloud9이 해내지 못한 cloud개발 환경의 패러다임 시프트를 이끌어내려 준비하고 있습니다.


브라우저는 wasm을 통해 rust 등을 연계해 웹 그 이상의 생태계로 넘어갈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브라우저 위에서 둠을 실행시키는 정도가 아니라, mac이나 win95와 같은 OS를 구동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vs code 정도야 아주 쉽게 올릴 수 있었을 겁니다.
이제 마소는 vscode와 같은 서비스를 Github을 이용한 PaaS로 승부를 보려고 합니다.

물론 이 모든게 만족스러운 성능이 나온다는 전제하이겠지만,
잘 나오리라, 하는 마음으로 긍정적으로 보려 합니다.



저는 거의 TS로 개발을 하고 있고, 거지같던 js와 한끗 부족한 ES6에 비해 정말 만족 하고 있으며
저희 회사는 깃헙 엔터프라이즈를 쓰고 있기 때문에 아마 곧 출시될 codespaces를 바로 사용할 수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물론 회사가 돈을 내주길 바라고 있습니다만, PC를 줬기 때문에 개인 비용이 될 가능성도 큽니다...

16년 당시, 저는 DELL XPS중 가장 강력한 스펙의 노트북을 300여만원을 주고 샀습니다. (아직도 모자람이 없습니다)
저는 만약 codespaces의 퍼포먼스가 만족스럽다면, 다시는 하이스펙의 노트북을 구매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그냥 가장 큰 사이즈의 태블릿으로 모니터 해상도만 만족할수만 있으면 개발에 전혀 문제가 없으리라 확신이 있기 때문입니다.

2020년 코로나 이전의 세계로 돌아갈 수 없음을 체감하기 시작하자
많은 회사들이 이미 손에 쥐고 있던 혁신을 주머니 밖으로 꺼내, 우릴 적응시키려는 듯이 움직입니다.
변화를 주는 가장 빠른 방법은 응원이 아닌 사지로 내몰기라더니, 딱 그런 시기인듯 합니다.

아주 강력한 사양을 가진 기기가 아니어도,
훌륭한 퍼포먼스를 낼 수 있게 해주는 클라우드 환경이야말로 수많은 가능성을 품은 발명이라 생각하기에 이런 혁신을 보면 가슴이 두근거립니다.



일개 개발자는 이 멈출 수 없는 흐름에 기꺼이 몸을 내놓고 둥둥 떠다닐 생각이지만,
수년간 학수고대하며 기다리던 세상이 한 성큼 가까이 온듯해 조금 설레기도 합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1-02-08 00:46)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0
  • 우아~


제가 맥이 unix-like긴 하지만 리눅스와는 다르다는걸 항상 지적하는 성향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컬에서 node를 기반으로 한 웹페이지를 로컬 테스트하기엔 윈도우보다 매끄러운 면이 있단걸 부정하기 힘들더군요.

ms의 이런 행보는 unix-like와는 거리가 멀지만 포기하기엔 너무나 큰 점유율을 차지하는 nt커널 기반의 태생적 한계를 의식했다는 생각도 듭니다
powershell도 쓸만은 하지만 bash, zsh와 비교해보면 이질감이 있는거랑 비슷한 맥락이라고 해야될까요

아직까진 공상에 가깝지만 wsl로 발들인 ms의 10년대계는 결국 nt커널과 그 레거시들을 자연스럽게 흡수할 수 있는 리눅스 커널의 윈도우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합니다.
wsl 3년 쓰고 wsl2 1년 정도 썼지만, 맥 터미널이 훨씬 매끄럽게 잘되는 점 인정하고 또 인정하는 부분입니다.
다른거 다 제쳐두고 디스크IO가 너무 느린데, wsl2가 빨라지긴 했어도 그래도 느립니다. npm i 하면 허송세월...
wsl2도 말은 커널 내장이지만, 결국 nt커널과 상생하는 과정에서 linux와는 전혀 다른 친구가 되버렸구요.
OS개발만큼은 MS 내의 개발 방향이 일원화되었다는 느낌이 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갈길이 멀지요.

그러나 브라우저가 새로운 OS의 길을 제시하고 있고, 그 길을 MS가... 더 보기
wsl 3년 쓰고 wsl2 1년 정도 썼지만, 맥 터미널이 훨씬 매끄럽게 잘되는 점 인정하고 또 인정하는 부분입니다.
다른거 다 제쳐두고 디스크IO가 너무 느린데, wsl2가 빨라지긴 했어도 그래도 느립니다. npm i 하면 허송세월...
wsl2도 말은 커널 내장이지만, 결국 nt커널과 상생하는 과정에서 linux와는 전혀 다른 친구가 되버렸구요.
OS개발만큼은 MS 내의 개발 방향이 일원화되었다는 느낌이 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갈길이 멀지요.

그러나 브라우저가 새로운 OS의 길을 제시하고 있고, 그 길을 MS가 선도하려고 하는 증거가 codespaces라고 느껴지네요.
codespaces의 vm 어떤 인스턴스를 올리는지는 아직 확인된바 없지만, 영상에는 민트ubuntu가 올라가고 그 터미널을 지원하는 거 같던데,
사실 그게 맞죠. 저도 wsl1 쓰다가 화나서 그냥 linux vm올리고 cygwin썼거든요...
그저그런
Codespace로 통합될 예전 azure vscode 클라우드였나 그거 성능 괜찮았어요. 그나저나 codespace는 왜 나 베타 안주지...ㅠㅠ
azure instance랑 연결하는 플러그인이었나요? ssh나 sftp로 에디터랑 연결해 작업하는 방법은 sublime2때 완전 유행했던 기억이 나네요!
저도 베타 못받았습니다 ㅎㅎㅎ...
그저그런
진짜 web gui로 vscode 있었어요 ㅎㅎ
오 몰랐습니다...
보안이 괜찮을랑가
사건이 터져야 알겠지만, 보안은 azure급일거라 생각합니다
단독 개발 프로젝트는 괜찮지만, 네트워크가 폐쇠된 사내망 같은곳에서의 연동 프로젝트 등에서는 확장성에 한계가 있어서, 얼마나 널리 쓰이게 될지는 좀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주로 웹 개발 커뮤니티에서 많이 쓸 것 같습니다. 실제 향후 큰 변화를 몰고올 가능성이 높은 것은 위의 댓글에서도 언급한 WSL2 과 docker + GPU 와의 조합이라고 봅니다.
당연히 네트워크 제한이 있는 개발 환경에서는 사용이 어려울 수 밖에 없겠습니다만, 그건 모든 클라우드가 마찬가지일듯 하네요...
codespaces는 docker나 kubectl를 지원하고 있어서 기존 로컬 환경 구축을 최대한 구현하려고 노력하는 듯 합니다. (안써봤지만요)
복수의 레포지토리를 엮어서 쓸수도 있으니, 의존성이 생기는 dockerfile에도 대응할 수 있으리라 봅니다.

제가 웹개발이라 제 주변머리만 보고 있기는 합니다 ㅎㅎ
다른 것보다 생각외로 wsl2를 쓰시고 계신 분이 많아서 놀랍네요.
사이시옷
흐흐흐 정말 어마어마하군요..
아직 상상입니다 ㅋㅋ 어마어마해지길 바라고있씁니다
영원한초보
2core 4gb로 충분하려나요
ts indexing만 해도 많이 잡아 먹는데

개발자들이 맥을 선호하는 이유는 터미널도 큰데
윈더우로 갈 수 있는 요소도 되겠네요
그런데 왠지 더 맥북에어로 개발하고 싶네요
제 pc보니 도커가 훨씬 무거워서 순수한 vscode의 리소스로는 큰 문제없지 않을까 하고 예상해봅니다. (느리면 스케일업하면 되구요)
이번 맥북에어는 저도 가지고 싶었습니다... 배터리 시간이 12시간이라니...
풉키풉키
클라우드9이나 구름ide 사용해보면서 좀 많은 아쉬움을 느꼈었는데 큰 기대중입니다
오피스365 온라인 특유의 딜레이 없이 google docs 갬성으로 자유롭게 쓸수만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갈수록 어떻게 만드냐 보다는 무엇을 만드냐가 더 중요해지는 것 같습니다. 개발이 업이 아니라 도구일 뿐인 시대가 멀지 않았어요.
그 도구를 만드는 개발은 영원할겁니다 아마 ㅎㅎ 그게 재미인지라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50 여행그간 다녀본 리조트 간단 정리 : 푸켓, 나트랑, 안탈리아 8 당근매니아 25/03/21 940 23
1449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4. 재질과 가공 (완) 10 Beemo 25/03/17 574 11
1448 기타남의 인생 멋대로 판단하는 이야기 11 바닷가의 제로스 25/03/13 1784 51
1447 꿀팁/강좌1. 만화란 뭘까? 인스타툰은 어떻게 시작해야할까? 11 흑마법사 25/03/12 877 26
1446 일상/생각첫 마라톤 풀코스 도전을 일주일 앞두고 24 GogoGo 25/03/09 980 24
1445 일상/생각포스트-트라우마와 사회기능성과 흙수저-학대가정 탈출 로직 6 골든햄스 25/03/06 978 21
1444 정치/사회 2월 28일, 미국 우크라이나 정상회담 파토와 내용 정리. 11 코리몬테아스 25/03/01 1874 29
1443 문화/예술2025 걸그룹 1/6 18 헬리제의우울 25/03/03 1001 16
1442 정치/사회목요일 대학살 - 믿을 수 없이 부패한 트럼프 16 코리몬테아스 25/02/19 2001 24
1441 정치/사회화교는 상속세를 내지 않는다는 말 18 당근매니아 25/02/11 3296 17
1440 정치/사회무엇이 한국을 분열시킬 수 있는가? 5 meson 25/02/09 1241 7
1439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2) 5 소요 25/02/09 779 7
1438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1) 소요 25/02/07 1035 11
1437 IT/컴퓨터LLM에 대한 두서없는 잡썰 (3) 23 덜커덩 25/02/05 1428 24
1436 일상/생각여행을 나서면 집에 가고 싶다. 4 풀잎 25/01/30 1114 10
1435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3. 인클로저 설계 Beemo 25/01/29 1135 4
1434 체육/스포츠해리 케인의 무관에 대하여. 12 joel 25/01/27 1286 12
1433 체육/스포츠볼링 이야기 20 거소 25/01/19 1016 5
1432 일상/생각저에게는 원칙이 있습니다. 13 whenyouinRome... 25/01/19 1879 49
1431 일상/생각집사 7년차에 써보는 고양이 키우기 전 고려할 점 13 Velma Kelly 25/01/18 1260 20
1430 일상/생각입시에 대해 과외하면서 느꼈던 것들, 최근 입시에 대한 생각 12 Daniel Plainview 25/01/17 1860 16
1429 정치/사회민주당을 칭찬한다 13 명동의밤 25/01/15 2384 34
1428 꿀팁/강좌전자렌지로 탕후루 만들기 레시피 수퍼스플랫 25/01/11 1079 7
1427 정치/사회탄핵심판의 범위 및 본건 탄핵심판의 쟁점 6 김비버 25/01/06 1174 14
1426 IT/컴퓨터인공지능 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말빨" 5 T.Robin 25/01/05 1321 8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