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 21/01/24 00:05:02 |
Name | Schweigen |
Subject | 주인양반 육개장 하나만 시켜주소. |
퇴근 전 객실에서 콜을 받은 직원이 손님과 한참을 이야기 하더군요. 때마침 다른 손님들이 들어와 제가 대신 전화를 넘겨 받았습니다. 주인 양반 여 육개장 하나만 시켜주소. 내 저녁을 못 먹어서 그러오. 컴퓨터를(배달어플) 할 줄 몰라 그러니 부탁 좀 합시다. 저녁 늦은참 백살이 성성한 할아버지 한분이 투숙을 하셨어요. 무슨 사정인지는 모르나 일행도 없이 혼자 오셨더라구요. 근처 중국집이나 식당들은 문 닫은 뒤라 주문을 하려면 어플로 해야하는데 어려움이 있으셨던거죠. 금액 때문에 한그릇은 안되는지라 두 그릇 시켜 직원한테 한그릇 니 해라 하고 한그릇은 손님께 가져다 드리고 한그릇 값만 받으라 했습니다. 세상은 분명 빠르고 편해졌는데 누군가에게는 어렵고 불편해지기도 한다지요. 만역히 이야기를 듣는것과 경험하는 건 꽤 다르드라구요. 그냥 육개장 한그릇 먹는게 어떤이에겐 너무 높은 허들이 되버린 세상이 참 아이러니... 그 할아버님이 세상을 따라잡기 버거운것이 온전히 그분탓인것만은 아닐겁니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또 우리는 뒤쳐진 사람들을 뒤떨어진 사람이라 짜증을 내거나 비난을 하거나 혹은 아예 무관심하곤 하죠. 솔까 저도 그런 사람들 중 하나였구요. 얼마전이었을거에요. 점심께 은행에 일보러 갔다 대기표를 뽑고 기다리는데 할머님 한분이 창구에 앉아 직원과 한참을 실랑이 하시더라구요. 그리 어려운 내용은 아니었고 몇가지 서류와 개인정보 활용 동의에 대해 몇번씩 되묻고 되묻고 설명하고 설명하고... 그러다 원점으로 되돌아가고. 창구 중 몇은 비어 있던터라 대기는 점점 늘어 났고 여기저기 불만이 터지기 시작했고 저도 표현은 안했지만 슬슬 짜증이 났습니다. 때마침 식사를 마친 다른 창구직원들이 합류하면서 병목은 풀렸습니다. 근데... 그게 저나 여러분들에겐 그리 어렵지 않은 내용들이었지만 할머님에겐 아니었겠죠. 노인네들 따라가려는 노력은 안하고 나는 그런거 모른다 핑계만 댄다 쉽게들 얘기해요. 저도 아니라고는 못하겠네요. 근데 저도 어느면에선 육개장 한그릇 주문하기 어려워 했던 할아버지나 은행업무에 낯설어 하시던 할머니랑 다를게 없더라구요. 어느 누군가에게 저는 세상 못따라가는 꼰대노땅일테고요. 긍까... 가끔 뒤도 돌아 보게요. 거기도 사람 있으니께요.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1-02-08 00:46)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40
이 게시판에 등록된 Schweigen님의 최근 게시물 |
2018년에 버거킹에서 키오스크 도입하고 아예 대인 접객 주문은 안 받는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을 본 적이 있었는데(키오스크 주문이 막히면, 직원이 도와주기는 하지만) 이런저런 생각이 많이 들더라구요. 카드 결제나, XX페이류도 그렇고, 나이 든 사람이나 경제 취약계층에게는 곤란한 것들이 많죠. 카드나 통신사 할인, 앱 할인 같은 것들도 할인 적용 전의 물건/서비스 가격 자체는 올려놓는 효과도 있어서, 카드 안 쓰거나, 그런 것 못 찾아 쓰는 사람들은 역차별을 받는 느낌도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특유의 쏠림 현상 덕분인지, 카드 결제 비율도 급격히 절대적이 되었고, 페이류도 몇 년 사이 급속히 일상... 더 보기
우리나라가 특유의 쏠림 현상 덕분인지, 카드 결제 비율도 급격히 절대적이 되었고, 페이류도 몇 년 사이 급속히 일상... 더 보기
2018년에 버거킹에서 키오스크 도입하고 아예 대인 접객 주문은 안 받는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을 본 적이 있었는데(키오스크 주문이 막히면, 직원이 도와주기는 하지만) 이런저런 생각이 많이 들더라구요. 카드 결제나, XX페이류도 그렇고, 나이 든 사람이나 경제 취약계층에게는 곤란한 것들이 많죠. 카드나 통신사 할인, 앱 할인 같은 것들도 할인 적용 전의 물건/서비스 가격 자체는 올려놓는 효과도 있어서, 카드 안 쓰거나, 그런 것 못 찾아 쓰는 사람들은 역차별을 받는 느낌도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특유의 쏠림 현상 덕분인지, 카드 결제 비율도 급격히 절대적이 되었고, 페이류도 몇 년 사이 급속히 일상적으로 쓰고 있는데, 이런 데 소외되는 계층도 항상 잊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디지털 소외 中노인들' 현금 내려다 거절당한 뒤 망연자실
https://www.yna.co.kr/view/AKR20201125082100083
우리나라가 특유의 쏠림 현상 덕분인지, 카드 결제 비율도 급격히 절대적이 되었고, 페이류도 몇 년 사이 급속히 일상적으로 쓰고 있는데, 이런 데 소외되는 계층도 항상 잊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디지털 소외 中노인들' 현금 내려다 거절당한 뒤 망연자실
https://www.yna.co.kr/view/AKR20201125082100083
저도 그런 생각 자주 해요. 전 이번 달에야 처음으로 배달앱이란 거 사용에 성공했어요. 예전에 홍차넷 번개에 한 번 나갔는데 참석자들이 집에 가는 길에 다 스마트폰으로 송금을 하더라고요. 전 당연히 PC 앞에 앉아야 할 수 있는 거라 생각했는데... 그래서 토스란 앱을 배웠습니다. 신입사원 때 파워포인트나 엑셀 때문에 일할 때마다 불러서 부탁하시던 관리직 분들 어느 정도 맘 속으로 무시하던 마음이 있었는데, 이제 제가 젊은 동료분들께 그러고 있네요. 그것도 어려워지면 은퇴해야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언젠가는 주민센터 같은데 스마트폰 기능이나 앱 사용에 막힌 사람이 찾아가면 이용법 알려주는 IT 복지상담사가 한 명 생기면 좋으려나 하는 생각도 들어요...;;
정부에서도 문제를 인식하여 2020년에 '디지털 포용 추진계획' 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https://news.kbs.co.kr/mobile/news/view.do?ncd=4476419
지역사회 커뮤니티에서 디지털 역량 교육, 키오스크의 접근성 보장 범위 단계적 의무화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노인이나 장애인 등 디지털 소외계층에 대한 개선 및 지원정책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시기인 것 같아요.
https://news.kbs.co.kr/mobile/news/view.do?ncd=4476419
지역사회 커뮤니티에서 디지털 역량 교육, 키오스크의 접근성 보장 범위 단계적 의무화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노인이나 장애인 등 디지털 소외계층에 대한 개선 및 지원정책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시기인 것 같아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