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0/04/30 00:56:58 |
Name | ![]() |
Subject | 테크면접 준비하기 |
아마 5월 초중순쯤 첫 테크 면접을 보게 될 것 같고 이후에도 이런 면접들을 보게 될텐데, 이런 데서 필요로하는 기본지식에 속하는 운영체제/DB쪽 지식을 면접 수준으로 준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평소에 미리 준비해두는 게 좋았겠지만, 지금부터라도 급하게 한 번 준비해보려는데 방법을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보통 저는 이러면 전공 책 껴놓고 공부해 버릇했는데, 도저히 그렇게는 제 시간 안에 뭔가 해낼 수 있는 상황이 아닌 것 같아서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kaestro님의 최근 게시물
|
사실 지금 타겟 직군을 결정하지 못한게 제일 흠결이고 가장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긴 합니다.
일단 가장 근래에 면접을 볼 곳은 빅데이터 플랫폼 개발자라고 돼있는 직군이었는데, 알고리즘, 자료구조, db, os 등의 관련 기본 지식을 자격조건으로 요구하더라구요.
입사하게 되면 데이터 플랫폼 컴포넌트 개발, 데이터 파이프 라인 개발, 분석 PaaS 솔루션 서비스 개발, 웹 서비스 개발 중 한 가지 부문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 같습니다.
원래 전기공학부에서 컴퓨터쪽 수업이 좋아서 듣긴 했는데, 분야를 결정을 못하고 졸업을 해... 더 보기
일단 가장 근래에 면접을 볼 곳은 빅데이터 플랫폼 개발자라고 돼있는 직군이었는데, 알고리즘, 자료구조, db, os 등의 관련 기본 지식을 자격조건으로 요구하더라구요.
입사하게 되면 데이터 플랫폼 컴포넌트 개발, 데이터 파이프 라인 개발, 분석 PaaS 솔루션 서비스 개발, 웹 서비스 개발 중 한 가지 부문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 같습니다.
원래 전기공학부에서 컴퓨터쪽 수업이 좋아서 듣긴 했는데, 분야를 결정을 못하고 졸업을 해... 더 보기
사실 지금 타겟 직군을 결정하지 못한게 제일 흠결이고 가장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긴 합니다.
일단 가장 근래에 면접을 볼 곳은 빅데이터 플랫폼 개발자라고 돼있는 직군이었는데, 알고리즘, 자료구조, db, os 등의 관련 기본 지식을 자격조건으로 요구하더라구요.
입사하게 되면 데이터 플랫폼 컴포넌트 개발, 데이터 파이프 라인 개발, 분석 PaaS 솔루션 서비스 개발, 웹 서비스 개발 중 한 가지 부문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 같습니다.
원래 전기공학부에서 컴퓨터쪽 수업이 좋아서 듣긴 했는데, 분야를 결정을 못하고 졸업을 해서 계속 고민만 하게 되더라구요...
일단 ai쪽이 그래도 사람을 많이 뽑으니까 괜찮지 않을까하는 막연한 생각에 ml쪽으로 공부를 하고 있는 중이긴 합니다. 그런데 너무 막연한 것 같아서
일단 가장 근래에 면접을 볼 곳은 빅데이터 플랫폼 개발자라고 돼있는 직군이었는데, 알고리즘, 자료구조, db, os 등의 관련 기본 지식을 자격조건으로 요구하더라구요.
입사하게 되면 데이터 플랫폼 컴포넌트 개발, 데이터 파이프 라인 개발, 분석 PaaS 솔루션 서비스 개발, 웹 서비스 개발 중 한 가지 부문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 같습니다.
원래 전기공학부에서 컴퓨터쪽 수업이 좋아서 듣긴 했는데, 분야를 결정을 못하고 졸업을 해서 계속 고민만 하게 되더라구요...
일단 ai쪽이 그래도 사람을 많이 뽑으니까 괜찮지 않을까하는 막연한 생각에 ml쪽으로 공부를 하고 있는 중이긴 합니다. 그런데 너무 막연한 것 같아서
OS랑 DB로 묶여있으면 시스템/백엔드 둘 다 좀 섞인 보직같은데, 최적화 개념의 질문이 많이 나올것 같습니다.
보리건빵님 글같은 인터뷰 전략이 검색하면 많이 있습니다만, os와 db는 2개 따로 검색해 준비하시면 좋겠네요.
제가 경험한 질문들 공유드립니다:
os는 쉘이나 커맨드 위주의 질문이 한두개씩은 꼭 나오는거 같네요. 학부수준의 sh/bash/ksh 차이라던지, top ps같은 부하 체크 관련 커맨드.
os개발이 아닌 이상, iptables와 같은 네트워크 관리 패키지나, 커맨드 응용 수준의 질문이 나왔던것 같으... 더 보기
보리건빵님 글같은 인터뷰 전략이 검색하면 많이 있습니다만, os와 db는 2개 따로 검색해 준비하시면 좋겠네요.
제가 경험한 질문들 공유드립니다:
os는 쉘이나 커맨드 위주의 질문이 한두개씩은 꼭 나오는거 같네요. 학부수준의 sh/bash/ksh 차이라던지, top ps같은 부하 체크 관련 커맨드.
os개발이 아닌 이상, iptables와 같은 네트워크 관리 패키지나, 커맨드 응용 수준의 질문이 나왔던것 같으... 더 보기
OS랑 DB로 묶여있으면 시스템/백엔드 둘 다 좀 섞인 보직같은데, 최적화 개념의 질문이 많이 나올것 같습니다.
보리건빵님 글같은 인터뷰 전략이 검색하면 많이 있습니다만, os와 db는 2개 따로 검색해 준비하시면 좋겠네요.
제가 경험한 질문들 공유드립니다:
os는 쉘이나 커맨드 위주의 질문이 한두개씩은 꼭 나오는거 같네요. 학부수준의 sh/bash/ksh 차이라던지, top ps같은 부하 체크 관련 커맨드.
os개발이 아닌 이상, iptables와 같은 네트워크 관리 패키지나, 커맨드 응용 수준의 질문이 나왔던것 같으니 그 쪽을 파보시는게...
DB는 쿼리 부하관련 질문이 문맥없이 던지기 좋은 것 같습니다. 저도 얼마전에 INNER/OUTER JOIN 질문 받았었는데 살짝 당황했던 기억이 나네요.
면접은 건투를 빌겠습니다.
보리건빵님 글같은 인터뷰 전략이 검색하면 많이 있습니다만, os와 db는 2개 따로 검색해 준비하시면 좋겠네요.
제가 경험한 질문들 공유드립니다:
os는 쉘이나 커맨드 위주의 질문이 한두개씩은 꼭 나오는거 같네요. 학부수준의 sh/bash/ksh 차이라던지, top ps같은 부하 체크 관련 커맨드.
os개발이 아닌 이상, iptables와 같은 네트워크 관리 패키지나, 커맨드 응용 수준의 질문이 나왔던것 같으니 그 쪽을 파보시는게...
DB는 쿼리 부하관련 질문이 문맥없이 던지기 좋은 것 같습니다. 저도 얼마전에 INNER/OUTER JOIN 질문 받았었는데 살짝 당황했던 기억이 나네요.
면접은 건투를 빌겠습니다.
아, 정확한 것 같네요. os는 그래도 공부가 좀 된 분얀데 db가 사실 제일 걱정됐는데, 말씀하신 부분에 신경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