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0/03/18 22:43:43 |
Name | 호에로펜 |
Subject | 이번 코로나 치료제는 언제 나올 것으로 예상되나요? |
여러 의학 관계자분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백신개발은 아무리 빨라도 최소 1년 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하더군요. 그나마 코로나 바이러스 특성상 백신효용성에도 의문이 간다고 하고... 그러면 백신 말고, 코로나 치료제는 언제쯤 나올 수 있을까요? 돌이켜보면, 예전 사스때는 이렇게 심각하지 않았던 것이, 타미플루 라는 치료제의 존재가 컸다고 보는데요 언제쯤 타미플루 같은 치료제가 상용화될 수 있는지 대략이나마 예상가능할까요? 지금 미국이나 세계각국에서 아무리 양적완화 금융정책을 펴도 시장에서 반응을 안 하는 이유가 코로나 때문에 실물경제가 박살나서 그렇다고 생각합니다만... 결국 코로나가 잡혀야 실물 시장이 다시 살아나겠고, 코로나를 잡을려면 예전 타미플루 같은 치료제의 존재가 핵심이라고 봅니다만... 언제쯤 예전 타미플루 같은 코로나 치료제가 나올지... 의료계 종사자 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호에로펜님의 최근 게시물
|
길리어드 사의 Remdesivir가 현재 최소 5개의 임상시험이 들어가고 있고, 다음달에 첫번째 임상시험 결과가 나옵니다. 이 약이 다른 약보다 유리한건 이미 에볼라 치료제로 개발되어서 2상 3상을 했었기 때문에, 그 만큼의 기간을 줄일 수 있다는 거지요. 현재 나온 리포트는 피어리뷰를 안거친 미국 리포트인데 https://www.medrxiv.org/content/10.1101/2020.03.09.20032... 더 보기
길리어드 사의 Remdesivir가 현재 최소 5개의 임상시험이 들어가고 있고, 다음달에 첫번째 임상시험 결과가 나옵니다. 이 약이 다른 약보다 유리한건 이미 에볼라 치료제로 개발되어서 2상 3상을 했었기 때문에, 그 만큼의 기간을 줄일 수 있다는 거지요. 현재 나온 리포트는 피어리뷰를 안거친 미국 리포트인데 https://www.medrxiv.org/content/10.1101/2020.03.09.20032896v1.full.pdf 별로 썩 좋지는 않습니다. 근데 이 리포트는 경증환자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약의 효과를 평가하긴 힘듭니다. 이중맹검법으로 진행한 환자군에서 비교하고, 특히 중증환자에서 disease course를 바꿀 수 있는지가 키포인트가 될 겁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미플루 만큼 드라마틱한 결과 및 경과의 호전은 쉽지 않을겁니다. 기본적이로 이 질환이 너무나 오래끄는 질환이라. 다른 신약 후보들은 아직 전임상도 안한게 대부분이기 때문에 논할 가치도 별로 없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미플루 만큼 드라마틱한 결과 및 경과의 호전은 쉽지 않을겁니다. 기본적이로 이 질환이 너무나 오래끄는 질환이라. 다른 신약 후보들은 아직 전임상도 안한게 대부분이기 때문에 논할 가치도 별로 없습니다.
https://www.statnews.com/2020/03/16/remdesivir-surges-ahead-against-coronavirus/
이 기사 참조하십시오. 저도 구글링해서 건진거라 모르는 사이트인데 뭐 아주 거짓말 하겠나 싶읍니다.
이 기사 참조하십시오. 저도 구글링해서 건진거라 모르는 사이트인데 뭐 아주 거짓말 하겠나 싶읍니다.
저는 별로 기대 안합니다. 만약 이번에 효과가 있다고 나온다 하더라도, 이후의 후속 연구에서 알고보니 효과가 없었더라는 연구결과가 나올 것이라 추측합니자.
중증 환자에서 사망률을 낮춰줄 수 있어야 하는데, 이건 바이러스를 죽이는 것 보다 우리 몸이 바이러스를 인식하고 과하게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조절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그래서 이 과정을 조절하는 약제들이 거의 20년 이상 연구되어오고 있었는데, 사실 아직 그 기전 조차 다 밝혀내지 못한 상태였기 때문에, 임상실험은 다 실패했습니다. 특히나 아 과정은 adapt... 더 보기
중증 환자에서 사망률을 낮춰줄 수 있어야 하는데, 이건 바이러스를 죽이는 것 보다 우리 몸이 바이러스를 인식하고 과하게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조절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그래서 이 과정을 조절하는 약제들이 거의 20년 이상 연구되어오고 있었는데, 사실 아직 그 기전 조차 다 밝혀내지 못한 상태였기 때문에, 임상실험은 다 실패했습니다. 특히나 아 과정은 adapt... 더 보기
저는 별로 기대 안합니다. 만약 이번에 효과가 있다고 나온다 하더라도, 이후의 후속 연구에서 알고보니 효과가 없었더라는 연구결과가 나올 것이라 추측합니자.
중증 환자에서 사망률을 낮춰줄 수 있어야 하는데, 이건 바이러스를 죽이는 것 보다 우리 몸이 바이러스를 인식하고 과하게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조절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그래서 이 과정을 조절하는 약제들이 거의 20년 이상 연구되어오고 있었는데, 사실 아직 그 기전 조차 다 밝혀내지 못한 상태였기 때문에, 임상실험은 다 실패했습니다. 특히나 아 과정은 adaptive immunity보다도 innate immunity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이쪽 연구의 역사는 좀 짧습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가능해 졌습니다)
차라리 백신에 좀 더 기대를 거는데, 코로나 바이러스가 백신을 만들기 어렵다지만, 겨울 동안만 효과가 있으면 됩니다. 독감도 항체가 오래 가지 않습니다. 그래서 초겨울에 걸렸다가 초봄에 또 걸리는 환자들이 드물게 있습니다... 백신 맞는다고 안걸리는 것 아니고, 다만 걸려도 그로 인한 사망률을 낮춰주거나 증상이 경해집니다. 코로나도 비슷하게 매년 가을이 되면 모든 사람이 맞게되지않을까 생각됩니다...
중증 환자에서 사망률을 낮춰줄 수 있어야 하는데, 이건 바이러스를 죽이는 것 보다 우리 몸이 바이러스를 인식하고 과하게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조절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그래서 이 과정을 조절하는 약제들이 거의 20년 이상 연구되어오고 있었는데, 사실 아직 그 기전 조차 다 밝혀내지 못한 상태였기 때문에, 임상실험은 다 실패했습니다. 특히나 아 과정은 adaptive immunity보다도 innate immunity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이쪽 연구의 역사는 좀 짧습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가능해 졌습니다)
차라리 백신에 좀 더 기대를 거는데, 코로나 바이러스가 백신을 만들기 어렵다지만, 겨울 동안만 효과가 있으면 됩니다. 독감도 항체가 오래 가지 않습니다. 그래서 초겨울에 걸렸다가 초봄에 또 걸리는 환자들이 드물게 있습니다... 백신 맞는다고 안걸리는 것 아니고, 다만 걸려도 그로 인한 사망률을 낮춰주거나 증상이 경해집니다. 코로나도 비슷하게 매년 가을이 되면 모든 사람이 맞게되지않을까 생각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