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6/03/02 18:37:11
Name   조홍
Subject   남자 성욕이 여자보다 강한게 테스토스테론 때문인가요?
사회적인 영향과 임신가능성에 따른 공포같은 심리적 위축은 제외하고

테스토스테론이 성욕에 영향을 주고 그래서 남자가 더 많기 때문에 성욕이 더 강하고,
여자가 나이가 들면 성욕이 강해지는 이유도 테스토스테론이 늘어나서 그렇다라고들 하잖아요?
그런데 이게 제일 강한 요인인가요? 어.. 에스트로겐은 성욕에 영향을 안 주나요 ㅡㅡ;

이런건 의료넷에 여쭈어보면 제일 설명이 정확할 것 같아서 해봅니다.



0


테스토스테론이 남성호르몬이니. 그렇다고 보면 되지 않을라나요.
근데 과연 호르몬이 성격에 영향을 줄까? 하고 생각해보니 잘 모르겠네요.

배고플 때 짜증나는걸 보면 신체 상태의 변화가 사람의 생각에도 영향을 미치는건 확실하니까 성욕도 그럴 수 있겠지요.
그렇겠지요? 그런데 의학적으로 성욕발생에 영향을 주는게 여러가지 있을텐데 저게 메인요인일까 아닐까 궁금해서 질문을 올려봤습니다

홍차넷 티타임게시판의 글들을 읽다가 제가 당연하다 생각하고 있던 의학적 상식이 사실 일부 다르거나 아예 틀렸거나 하는 경험을 너무 많이해서...
레지엔
호르몬이 성격에 굉장히 영향을 많이 줍니다. 호르몬을 다루는 학문이 보통 내분비학인데, 이 호르몬이 신경전달물질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경우가 많아서 결국 신경내분비학이라는 서브장르를 출현시켰죠. 제일 유명한 건 역시 임산부들의 드라마틱한 변화라거나 트랜스젠더들의 다이나믹한 인격 변화 같은 것... 심리학에도 꽤 영향을 줘서 저런 요소 때문에 자유의지의 독립성에 대한 강한 비판의 근거로 쓰이기도 합니다.
아케르나르
호르몬 약을 좀 먹고 있어서 아마 그렇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었는데, 자유의지에 대한 의문까지 제기되는 정도군요.
*alchemist*
그토록 강렬하던 식욕이 요새 먹는 한약을 먹으면 스윽 없어지는 걸 보면 확실히 인간은 화학적인 동물이라는 게 몸소 느껴지고 있습니다;;
아케르나르
맞아요. 저도 호르몬에 좀 휘둘리고 나서 그냥 사람은 정교한 기계구나 하는 생각도 들더라고요.
사나운나비
잠시만요, 한약을 먹으면 식욕이 진짜 스윽 없어진단말이에요?? 그게 가능하다니!!!!!
*alchemist*
식욕이 완전 없어지는 건 아닙니다..
다만 약을 먹고 30분~1시간 정도 후에 식사를 하면 평소 양보다 확실히 적게 먹을 수 있습니다.
조금 먹어도 배가 부르거든요 ㅡ.ㅡ;
그리고 배가 고플때에도 평소에는 뭘 먹어도 배가 안차는 상황(...)이었다면 한약 먹고 나서는 물 마시고 이래도 배가 안 고파집니다...
그래서 식사량 줄이기엔 진짜 도움이 됩니다
조금 심하게 하는 날은 아침에 미숫가루+점심은 그냥 한끼(혹은 조금 남깁니다)+저녁은 야채나 토마토로 버텨지구요
왠지 아침이 먹고 싶은 날은 아침 한끼 + 점심 한끼 + 저녁은 야채나 토마토하면 하루종일 행복합니다.. 크크
사나운나비
다이어트한약이 효과가 있는거였군요......
갑자기 굉장한 관심이 생기네요.
*alchemist*
제 경우는 효과를 보고 있는 중입니다..... 허허;;
음.. 그렇군요.
그럼 거세를 하면 성욕도 사라질까요?
레지엔
호르몬적 관점에서만 보면 줄어야 하고, 그래서 화학적 거세같은 것도 하지만... 욕구가 기형적으로 틀어지기도 합니다. 내시들의 엽색행각같은 것 들어보셨을텐데 이런 식으로 뒤틀릴 수도 있거든요. 안전하게 성욕만 떨구기가 쉽지 않습니다(..)
레지엔
이게 정말 애매한게, 성욕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 정의된 성욕을 어떻게 수치로 표현해서 강약을 나눌 것인가에 따라 얘기가 갈립니다. 기본적으로 테스토스테론이 성욕과 관계가 있다고 하는 건 이 호르몬이 분비될 경우 성기접촉에 대한 강한 집착을 보이는 게 동물/인간 대상의 실험에서 확인이 되었기 때문인데, 인간의 욕망에 대한 연구가 그러하듯 특정한 물질은 인간 기준에서 볼 때 다양한 행동을 유도하므로 이것이 성욕의 본질적인 강화인가 아닌가를 판별할 수가 없습니다. 예컨대 비비원숭이의 경우 암컷들이 서열싸움을 심하게 하는데, 보통 정... 더 보기
이게 정말 애매한게, 성욕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 정의된 성욕을 어떻게 수치로 표현해서 강약을 나눌 것인가에 따라 얘기가 갈립니다. 기본적으로 테스토스테론이 성욕과 관계가 있다고 하는 건 이 호르몬이 분비될 경우 성기접촉에 대한 강한 집착을 보이는 게 동물/인간 대상의 실험에서 확인이 되었기 때문인데, 인간의 욕망에 대한 연구가 그러하듯 특정한 물질은 인간 기준에서 볼 때 다양한 행동을 유도하므로 이것이 성욕의 본질적인 강화인가 아닌가를 판별할 수가 없습니다. 예컨대 비비원숭이의 경우 암컷들이 서열싸움을 심하게 하는데, 보통 정점에 서는 암컷은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량이 하위서열의 그것보다 많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더더욱 공격적인 성욕, 공격적인 성행위 집착을 보여야 하는데 오히려 이 암컷들은 불감증과 약한 발정기를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불임이나 난임확률도 더 높고요. 남성호르몬에 의해서 \'여성기적 기능\'이 억제되기 때문에 벌어진 일로 보는데, 아무튼 그러다보니 테스토스테론이 높은 비비원숭이 알파피메일은 쉽게 주변 원숭이를 폭행하거나 살해하고 심지어 성관계 중에 관계를 중단하고 수컷을 때려죽이기도(..) 하는 뭐 그런 보고가 있습니다.
에스트로겐의 경우에도 성욕과 연관이 있을 법한 부분이 있는데, 안기고 스킨쉽하고 좀 더 수동적으로 변하지만 성적 접촉을 요구하는 성향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근데 이건 호르몬 분비의 변화에 의한 심리적 충동으로도 해석이 되는 영역이라, 과연 이보다 더 낮은 레벨에서 벌어지는 기본 욕구를 직접적으로 반영하는가 의문이 제기되는 부분이죠.
결국 모든 문제는 \'욕구란 무엇인가\' + \'이걸 어떻게 수치화할 것인가\'로 귀결됩니다. 어차피 일반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수준에서 욕구라는 것은 특정 행동 양식의 출현 빈도, 강화, 주관적 갈구의 증가로밖에 표현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이 요소들은 욕구 외적인 부분에서도 너무나 쉽게 통제될 수 있습니다(원숭이의 성욕을 강제로 증진시키면 성관계와 유사성행위를 확 증가시킬 수 있지만, 인간의 성욕을 강제로 증진시킨다고 해서 공공연한 자위행위의 증가같은 걸 관찰하긴 아주 어렵죠). 그리고 연관성을 찾은 물질, 대부분 호르몬인데, 이 물질들은 다양한 장기에 다양한 영향을 끼칩니다. 그 점에서 1:1 대응이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남성의 성욕이 여성보다 강해보임에도 \'그러하다\'라고 확신하기가 어려운 이유가, 우리가 막연하게 서로 이야기하는 \'성욕\'이라는 개념 자체가 생물학적이라기보다는 인문학적, 혹은 학문적이지 않은 막연한 사회적 합의에 가까운 것일 수 있기 때문이죠. 예컨대 공격적/집착적 행동 양식의 측면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고, 남성호르몬이 상당히 영향을 크게 주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그러나 오르가슴의 지속 시간과 쾌감의 정도라는 측면에서는 인간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높습니다. 반면에 어떠한 동물은 암컷에서 오르가슴 획득이 사실상 불가능한 경우도 있죠. 면밀한 정의가 필요하고 그에 수반될만한 연구 결과가 따라줘야 하는데, 여러 가지 이유에서 참 어려운 문제가 아니라 할 수 없습니다.
1
자세한 댓글 감사드립니다.
제가 질문글에서 사회적인 영향이나 심리적 영향을 배제하고 설명해주세요라 했는데 성욕의 발현이라는 결과가 그 영향을 배제하고 설명할 수 없으니...흐음
개념을 칼로 무베듯 딱 단정할 수 없으니 정확하게 증명하여 단언하기도 힘든 일이겠네요

덧: 여성이 오르가즘을 더 강하게 느낀다는게 사실이었군요... 테이레시아스 때문에 굳어진 속설 비슷한걸로 생각했는데
레지엔
욕구에 대한 해설이나 연구가 다 그렇지만 이게 생물학적인 것 같으면서도 문화적인 요소가 너무 크게 반영되다보니 잘라놓고 본다는게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심지어 동물에서조차 집단적 차이가 보이다보니...
여성의 오르가슴이 \'3배\' 혹은 \'10배\' 이런 건 속설이지만, 더 강하다는 건 확실합니다. 지속시간도 길고 도달방식도 좀 더 어렵고 신체 반응도 더 격렬하다보니...
damianhwang
다음 방송 소재는 이거다!!!!!!
damianhwang
소재가 괜찮으면 출연하신다 했던말 잊지 않고 있습니다 !!!!!!

(덧; 당뇨환자 커넥팅 펩타이드 검사도 한번 글 써주셈요 ^^:)
레지엔
이건 심리학과에게... C-peptide는 내분비내과에 문의하세요(..)
damianhwang
ㄷㄷㄷㄷ 이렇게 회피를;;;!?!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56 기타'사필귀정'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21 biangle 16/02/22 16884 0
857 게임와우) 서버 인구수? 이런거 어디서 보는건가요? 14 엄마곰도 귀엽다 16/02/23 6103 0
858 기타 두부 초장에 찍어드시나요? 9 Anakin Skywalker 16/02/23 5714 0
859 의료/건강감기 기침이 멎질 않는데 링겔을 맞는게 정말 효과가 있을까요? 6 한신 16/02/23 18447 0
860 기타의대의 조기졸업, 그리고 미국의사과정 19 하얀늑대 16/02/24 18847 0
861 기타너무 무서운 꿈을 꿨습니다. 10 Yato_Kagura 16/02/25 4829 0
862 의료/건강원인모를 항문통으로 인한 고민 13 Chere 16/02/25 5997 0
863 의료/건강허리쪽 CT찍고 결과지가 나왔는데 어떤 상황인지.. 22 블루스카이 16/02/26 8091 0
864 연애부정적인 남자는 매력없나요? 44 wish burn 16/02/26 8471 0
1054 의료/건강발목이 거의 일년째 붓고 낫지를 않습니다. 8 바라는대로 16/05/08 5323 0
2029 IT/컴퓨터엑셀 관련 질문입니다! 4 Dr.Pepper 17/01/04 3079 0
2030 문화/예술뮤지컬 감상은 어떻게 하나요? 11 베누진A 17/01/04 3369 0
2031 가정/육아엄마가 너무 답답한데 어떡하면 좋을까요 55 헤칼트 17/01/04 5035 0
865 IT/컴퓨터맥에서 피들러 대용으로 사용할만한 프로그램이 있을까요? 3 개발자 16/02/26 7904 0
866 기타현대카드 이 중에서 어떤게 좋을까요??.jpg 3 김치찌개 16/02/27 3781 0
867 의료/건강골수 이식을 위해 CT 촬영을 했는데 폐에서 문제 발견... (지인 이야기) 6 한아 16/02/27 5856 0
868 기타커피여과지 어떤 제품이 좋나요?? 4 김치찌개 16/02/27 4521 0
869 기타코털제거기 둘중에 어떤게 좋나요??.jpg 5 김치찌개 16/02/29 7844 0
870 법률사진 저작권에 대해서 3 OshiN 16/02/29 3551 0
871 여행여행지 추천 부탁드려요! 11 S 16/02/29 4026 0
872 기타사이트 오류 질문입니다. 8 새벽 16/02/29 3703 0
873 기타프로필 사진 촬영 스튜디오 추천 부탁 드리겠습니다. 10 doomvas 16/03/01 4168 0
875 의료/건강기미/잡티 등의 레이저 치료는 안전한 것일까요? 9 이사무 16/03/02 4894 0
876 의료/건강남자 성욕이 여자보다 강한게 테스토스테론 때문인가요? 20 조홍 16/03/02 7716 0
877 연애이 동생의 심리가 궁금합니다 35 줄리아 16/03/03 6042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