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9/08/22 12:37:00수정됨
Name   [익명]
Subject   퇴사 고민입니다.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0


사나남편
선생님 대기업 생산직이고 정규직이시거나 정규직 전환이 가능학 직업이시라면 그만두지마세요. 1년차면 한 2~3년만 더 버티면 됩니다. 그리고 선생님 퇴직하고 중소기업이나 중견기업 생산직 가신다면 지금보다 더 헬에 급여도 반토막납니다. 나중에 후회하지 마시고 버티세요.

솔직하게 고졸군필이면 세상이 정말 만만하지 않을껍니다. 혹독해요. 차라리 다른방향으로 돌려서 돈모우고 연애를 해보세요. 좀더 안정적으로 변할수 있읍니다.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밖은 더 헬이고 나이가 차면 찰수록 취업은 더 힘들어 지는게 현실입니다. 예외도 ... 더 보기
선생님 대기업 생산직이고 정규직이시거나 정규직 전환이 가능학 직업이시라면 그만두지마세요. 1년차면 한 2~3년만 더 버티면 됩니다. 그리고 선생님 퇴직하고 중소기업이나 중견기업 생산직 가신다면 지금보다 더 헬에 급여도 반토막납니다. 나중에 후회하지 마시고 버티세요.

솔직하게 고졸군필이면 세상이 정말 만만하지 않을껍니다. 혹독해요. 차라리 다른방향으로 돌려서 돈모우고 연애를 해보세요. 좀더 안정적으로 변할수 있읍니다.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밖은 더 헬이고 나이가 차면 찰수록 취업은 더 힘들어 지는게 현실입니다. 예외도 있긴하지만 그 예외 확률은 만분의1정도 됩니다.

정힘드시면 여가시간에 저랑같이 와우클래식하시죠.
7
[글쓴이]
많이 힘듭니다
CONTAXND
항상 퇴사고민하던 후배들에게
누울 자리를 마련하고 발을 뻗으라는 이야기를 많이했죠.

힘드시겠지만 누울자리를 준비하시고 퇴사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5
그저그런
저도 같은 글을 적으려 했습니다!
전설따조
저도 동의합니다. 퇴사는 진짜 힘들어서 죽을꺼 같은게 아니라면 다음 길 찾고 하시는게 편해요.
퇴사 후에 결국 다시 '취업 준비 -> 취업성공해도 일 시작'이라서 스트레스가 똑같을 수 있어요
[글쓴이]
12시간 야간 근무를 오전 7시에 끝내고
당일 오후 3시에 출근해서 한번도 못쉬고 8시간 근무했네요. 이게 삶인가 싶습니다.
전설따조
아니, 교대 근무인데 시간이 왜 그래요? 미쳤네~
교대근무인데 추가 근무가 긴 건가요? 좀 흉악하네요.
고생이 많으십니다.
*alchemist*
저도 여기 찬성 한표요!!
하우두유두
꿈과 희망은 직장에서 말고 다른 외부에서 찾으십시요. 게임도 좋고 장르소설도 음악도 좋구요
무작정 버티라는 말씀보단, 퇴사해서 어디로 어떻게 다시 취직할 건지 구체적인 계획이 세워지시면 다시 한번 생각 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제 경우와 비슷합니다. 전 제가 하고 싶은 공부를 위해 몇 달 전 퇴직금도 버리고 퇴사했어요. 그때도 홍차넷 어르신들께서 버티라고 충고해주셨던 게 기억납니다. 근데 제 경우는 준비하고 싶은게 너무 뚜렸했기 때문에, 저도 일단 버텨보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퇴사하시면 다시 취업전선에 뛰어드시는 거고, 자금이 바닥나면 더 비참해집니다. 특히나 지원받을 구석이 없다면요. 근데 가장 중요한 건 역시 계획이기 때문에, 그게 확립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퇴직은 위험하다고 생각해요.... 더 보기
무작정 버티라는 말씀보단, 퇴사해서 어디로 어떻게 다시 취직할 건지 구체적인 계획이 세워지시면 다시 한번 생각 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제 경우와 비슷합니다. 전 제가 하고 싶은 공부를 위해 몇 달 전 퇴직금도 버리고 퇴사했어요. 그때도 홍차넷 어르신들께서 버티라고 충고해주셨던 게 기억납니다. 근데 제 경우는 준비하고 싶은게 너무 뚜렸했기 때문에, 저도 일단 버텨보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퇴사하시면 다시 취업전선에 뛰어드시는 거고, 자금이 바닥나면 더 비참해집니다. 특히나 지원받을 구석이 없다면요. 근데 가장 중요한 건 역시 계획이기 때문에, 그게 확립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퇴직은 위험하다고 생각해요. 잘될 겁니다. 조금만 더 버티시고 미래를 차근차근 고민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힘내십쇼!!!!

더불어, 저에게도 도움이 많이 됐고 선생님께도 도움이 될 것 같아 타블로의 이야기 하나 링크 올립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HFfTk12d7o
[청페강연] 내일을 살아갈 힘이 부족하다고 느껴질 때 - 타블로
1
배바지
회사 안에서 활동영역을 늘려보시는 건 어떠십니까? 노조나 동호회 같은 것에 시선을 잠깐 돌리는 것도 방법입니다.
[글쓴이]
노조가 없어요..
힘든 이유가 뭔가요?
뭐가 힘든지 자세히 적어주시면 더 좋은 조언을 얻으실 수 있을거 같습니다
[글쓴이]
이제 퇴근했습니다..
사이시옷
대기업 영업직이었는데..
진심으로 생산직분들이 부러웠습니다. 확실히 보장된 새 직장이 없다면 절! 대! 나오지 마세용..
whenyouinRome...
저도 수원에서 고졸 대기업 교대 생산직 엔지니어하다 이러다 죽겠네 하고 일년 반만에 때려치고 나왔는데 그 월급을 그 후로 십년동안 벌어보질 못했어요. 돈 없으니 진짜 엄청 후회한적도 많아요...
그 급에서 최소 80%정도 되는 직장 못 찾으시면 그냥 버티세요.
한달에 한 번은 금융치료도 되잖아요.
저도 힘들어서 죽을거 같을 때도 월급통장보면 그날은 좋더라구요..
1
군필 고졸 대기업, 저랑 같네요. 좀 오래되긴 했지만 교대직 경험도 있습니다. 공통점이 있는 선배로써 조언을 드리고 싶습니다.
어떤 상황이신지 정확히 모르겠으나,
업무환경, 업무강도, 상사&동료 문제등 여러가지 상황이 어려울 수 있으나 최소한 대기업은 법의 테두리는 지킨다는점에서 저도 윗분들과 같은 생각으로 퇴사는 말리고 싶습니다. 누울 자리는 보고 뻗어야죠.
정보가 부족한데, 넷상에 많은 정보 공개가 부담스러우시면 쪽지 주시면 같이 고민 해보겠습니다.
2
알료사
버티는게 좋아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072 진로회계사...해도 될까요? 19 덕후나이트 19/10/20 5341 0
8059 진로35세 인생 갈 길을 잃었습니다 8 [익명] 19/10/17 4207 0
8050 진로기혼여성분들 면접때 기혼이라고 밝히시나요...? 6 [익명] 19/10/15 4845 0
8031 진로박사수료 후 진로 상담 부탁드려요 (본문 삭제) 12 별다섯그랑호텔 19/10/13 4043 0
8012 진로벌과 파리가 빠져죽은 고깃국물을 먹어도 될까요? 22 바나나코우 19/10/11 9029 0
7987 진로선사에서는 무엇을 하나요? [익명] 19/10/05 2990 0
7941 진로이직에 관하여 4 듀공 19/09/28 3251 0
7935 진로법인을 운영하기 위해서 8 [익명] 19/09/27 2637 0
7934 진로자연언어처리 대학원 진학 고민 16 보리건빵 19/09/27 9159 0
7912 진로이직 타이밍을 모르겠습니다. 6 야얌 19/09/23 4026 0
7900 진로인생 망한 30대 조언 바랍니다 31 [익명] 19/09/21 5936 0
7896 진로입사를 앞두고 있는데 12월결혼합니다..ㅠ 8 [익명] 19/09/20 4480 0
7891 진로30후반 40초반, 새로운 일(직업)을 하고 싶어요. 16 [익명] 19/09/19 4623 1
7818 진로회계사 법인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1 별이돌이 19/09/06 4274 0
7795 진로진로 고민이에요. 7 활활태워라 19/09/02 4825 0
7757 진로동기와 지원배경 5 [익명] 19/08/28 2984 0
7755 진로방송통신대 관련 질문입니다. 4 [익명] 19/08/28 2969 0
7742 진로연애,결혼,자식 생각없는 1인 가구의 수입에 대해 21 [익명] 19/08/26 3853 0
7713 진로퇴사 고민입니다. 18 [익명] 19/08/22 4411 0
7710 진로저는 앞으로 취업을 어디로 하는 게 좋을까요? 17 [익명] 19/08/22 4185 0
7677 진로코나 vs 셀토스 vs 티볼리 48 애콜라이트 19/08/18 9144 0
7646 진로인생이 너무 안 풀립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ㅠ 10 Strong Tiger 19/08/13 4776 0
7637 진로퇴사 생각밖에 없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14 [익명] 19/08/11 4795 0
7634 진로고추장으로 만들 수 있는 요리를 알려주어요. 20 구박이 19/08/10 4755 1
7632 진로lg 그램 사면 윈도우 직접 설치해야 하나요? 4 [익명] 19/08/10 372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