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9/02/11 13:42:23수정됨 |
Name | 여름에가입함 |
Subject | 까도녀, 까도남은 들어오지 마시오 |
도시적인 것을 분석한다면 지식의 무슨 총합을, 어떻게 알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본인 경험 풀어서 들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른 사람 경험을 특정해서 여러 대답을 듣고 싶어서요. 답변 듣고 생각한 걸 나중에(...) 꼭 올려 볼 예정입니다. 카테고리가 교육인 이유까지 정리해서요. 부분만 답변하기 1. '도시적' 의미 평소에 관찰한 것 2. 도시적인 것 분석 방법 3. 도시로 몰리는 지식에 대해 (아카데미) 4. 도시 속 교육의 성격 그리고 대학과 기업에서 겪은 일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여름에가입함님의 최근 게시물 |
건축과 저학년 수업 때 ‘도시를 대표하는’ 것을 과제로 준 적이 있습니다. 수업의 취지는 입시교육에 찌든 뇌를 말랑말랑하게 만드는 것이었구요, 개인이 생각해온 다양한 도시 이미지나 대표 건축물을 스케치해온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저는 놀이터를 주목했습니다. 인위적인 놀이기구로 가득 찬 놀이터는 산과 개천에서 놀거리가 가득한 농촌/비도시지역에서보다 아파트나 빌라로 가득 찬 그야말로 과밀화되어 아이들이 뛰어놀 곳이 없는 도시에서 필요로 하는 기형적인 공간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지금 ‘도시’에 대해 떠드는 것보다는 아직 이론적인 ... 더 보기
저는 놀이터를 주목했습니다. 인위적인 놀이기구로 가득 찬 놀이터는 산과 개천에서 놀거리가 가득한 농촌/비도시지역에서보다 아파트나 빌라로 가득 찬 그야말로 과밀화되어 아이들이 뛰어놀 곳이 없는 도시에서 필요로 하는 기형적인 공간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지금 ‘도시’에 대해 떠드는 것보다는 아직 이론적인 ... 더 보기
건축과 저학년 수업 때 ‘도시를 대표하는’ 것을 과제로 준 적이 있습니다. 수업의 취지는 입시교육에 찌든 뇌를 말랑말랑하게 만드는 것이었구요, 개인이 생각해온 다양한 도시 이미지나 대표 건축물을 스케치해온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저는 놀이터를 주목했습니다. 인위적인 놀이기구로 가득 찬 놀이터는 산과 개천에서 놀거리가 가득한 농촌/비도시지역에서보다 아파트나 빌라로 가득 찬 그야말로 과밀화되어 아이들이 뛰어놀 곳이 없는 도시에서 필요로 하는 기형적인 공간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지금 ‘도시’에 대해 떠드는 것보다는 아직 이론적인 것들을 접하기 전의 에피소드가 개인적인 경험에 가까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긴 지금도 국도나 고속도로를 달리다가 아파트촌이 나오면 ‘아 도시로 들어왔구나’하는 생각이 드는 걸 보면 예전과 별 인식 차이도 없는 것 같기도 합니다.
쓰고 나니 질문의 1번만 답한 게 되었는데, 저 네 가지 주제는 다 써놓고 보면 A4 몇 장은 될 것 같네요.. 아니면 매우 간단하게 해석해서 ‘아파트촌과 교육열의 상관관계’같은 것으로 축약될 수도 있겠습니다..
저는 놀이터를 주목했습니다. 인위적인 놀이기구로 가득 찬 놀이터는 산과 개천에서 놀거리가 가득한 농촌/비도시지역에서보다 아파트나 빌라로 가득 찬 그야말로 과밀화되어 아이들이 뛰어놀 곳이 없는 도시에서 필요로 하는 기형적인 공간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지금 ‘도시’에 대해 떠드는 것보다는 아직 이론적인 것들을 접하기 전의 에피소드가 개인적인 경험에 가까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긴 지금도 국도나 고속도로를 달리다가 아파트촌이 나오면 ‘아 도시로 들어왔구나’하는 생각이 드는 걸 보면 예전과 별 인식 차이도 없는 것 같기도 합니다.
쓰고 나니 질문의 1번만 답한 게 되었는데, 저 네 가지 주제는 다 써놓고 보면 A4 몇 장은 될 것 같네요.. 아니면 매우 간단하게 해석해서 ‘아파트촌과 교육열의 상관관계’같은 것으로 축약될 수도 있겠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