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9/01/03 16:50:29
Name   kaestro
Subject   내년 상반기 소트프웨어 직군을 목표로 공부하려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취업을 할 지, 대학원을 진학을 할 지 아직 갈피를 못잡고 헤메는 어린양입니다.

그런데도 제가 제목을 저렇게 지은 이유는 일단 취업에 조금 더 우선순위를 두고 있고, 이에 맞춘 공부를 하려는데 방향을 설정하는데 어려워서입니다.

현재 제 상태를 우선 설명하자면 4년제 대학 전기정보공학부에서 컴퓨터쪽으로 공부를 하게 돼서 기본적인 프로그래밍에 관련된 수업은 들은 적이 있는데, 이에 따른 프로그래밍 능력은 좀 많이 모자란 편입니다.

들은 수업에는 알고리즘, 컴퓨터 구조, 인공지능 개론, 디지털 시스템 설계와 같은 수업이 있습니다.

제가 이번 방학에 원래는 무작정 알고리즘 문제 해결 전략(일명 종만북으로 불리는)과 백준 알고리즘 사이트(acmicpc.net)에서 공부를 해보려 했는데 방향성을 못잡고 허우적거리게 되더라구요. 현재 백준 알고리즘 문제는 50문제, 종만북은 1권을 5단원에 있는 재귀(recursive) 부분을 봤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제가 이게 맞는건가 싶은 생각이 들더라구요.

종만북에 있는 문제 중 소풍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책에서는 적당히 코드 짜서 한 40줄이 안 돼게 완성 돼어있고 난이도 하로 제시되어 있는 문제를 저는 거의 100줄짜리에 가까운 코드를 만들어 놨거든요. 아마 전혀 읽으실 일이 없겠지만, 밑에 있는 링크는 실제 문제와 제가 작성한 코드입니다.
(문제 : https://algospot.com/judge/problem/read/PICNIC)
(제가 작성한 코드 : https://github.com/kaestro/Practices/blob/master/Jongman/recursive_full_search/picnic.cpp)

아마 제가 저 코드를 작성하는데 거의 두시간 반?에서 세 시간 정도 걸렸던 것 같아요. 그래서 이렇게 공부하다간 도저히 상반기까지 제가 시험 준비를 마무리 못 짓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백준 같은 경우는 어떤 순서로 문제를 풀어야할지 모르겠어서 처음엔 조금 풀다가 손을 놓게 되더라구요.

-------------------------------------------------------------------------------------------------------------------------------------------------------------
그래서 제 질문을 요약하면

1. SW직군 면접 통과를 위한 알고리즘 이론 공부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2. 알고리즘 문제 해결 사이트를 이용해서 공부를 한다면 어느 순서로 해야하나요?

3. 혹시 인터넷 강의나 알고리즘 잡스와 같은 경로로 공부해 보신 분이 있다면 수강하는걸 추천하시나요?

가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P.S. 혹시 컴퓨터 보안이 전망이 좋은 분야인지 아시는 분이 있으실까요? 제가 대학원을 원래는 컴퓨터 아키텍처로 가려했다가 잘 안돼서 가게 된다면 이 방향으로 가게 될 것 같거든요. 그런데 이쪽 분야가 제가 인생 7년 이상을 투자할 금전적인 메리트가 있을지 모르겠어서요.



0


종만북이나 백준사이트는 취준생용보다는 한티어 높은 난이도라서 문제풀이 대회같은거 나가는 사람 아니면 큰 도움은 안됩니다

알고리즘 이전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제대로 다루는게 우선입니다
kaestro
어음... 프로그래밍 언어를 제대로 다루는게 우선이라고 이야기하시는게 어느 정도를 말하는건지 잘 모르겠어서요.
인터넷을 뒤지고 원하는 코드를 작성하는데 있어서 문법적인 문제가 있느냐라는 질문에는 아니다라고 대답할 수 있을 것 같고,
그것 때문에 낑낑대는 수준이냐고 물어보면 그렇습니다.
그런데 알고리즘 문제를 푸는데 필요한 언어 다루는 능력은 제가 가진 수준이 모자라는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예를 들면.. 짜신 소스의 경우 C++ vector의 push_back은 원소수가 capacity를 넘어가면 메모리 재할당을 하기때문에 성능저하가 생기는데,
이를 위해서는 미리 reserve를 해야 한다던가 하는 지식이 필요하죠. 포인터도 delete 대신 unique_ptr을 써서 delete를 빼먹읆으로 인해 생기는 메모리릭 위험을 방지한다든가..

말하신대로 알고리즘문제 푸는데 필요한 수준으로는 부족해보이지 않습니다.
kaestro
저 코드를 설마 읽어보셨을거라곤 생각도 못했는데 감사드리고 눈테러 해드려서 죄송합니다.
와, 이런건 코드 짜면서 한번도 생각 못해봤는데 왜 제가 언어 자체 이해가 많이 낮아보인다고 생각하신건지 알것 같아요.
그런 이해를 높이려면 언어 자체 관련된 c++ primer 같은 책을 보는 수밖에 없을까요?
보이차
아뇨.. 소스는 안봤읍니다만 c++라면 effective c++, more effective c++ 등부터 보세요. C++ 최신 버전도 어느정도 따라가시고요. 일단 effective 시리즈 한 번 보시면서 감을 잡고 또 부족하다고 생각하심 질문해보세요. 그 책들이 절대적으로 옳은 것은 아닙니다만 감 잡기에 충분히 좋습니다.
kaestro
소스를 안 읽어봐주셔서 더 감사합니다.ㅋㅋ
그리고 좋은 책 추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 질문드리고 싶은게 있는데, c++ primer같은 책과 effective c++ 같은 책은 목적이 다른가요?
이 책은 제가 보는 사람을 주변에서 본 적이 없는 것 같아서요.
마지막으로 이런 책, 한글로 봐도 상관 없는거죠?
보이차
Primer는 입문서고 이펙티브 시리즈는 실무에서 자주보이는 실수위주로 짚어주거나 사람들이 잘 이해못하더라 싶은 걸 소개해 줍니다. 일단 한 번 보시면 아예 다르다는 걸 (그리고 재미있다는 걸) 아실 수 있읍니다 크크.
네 한국인은 한글로 보는 게 좋죠
kaestro
프라이머 다른것보다 너무 재미없어서 계속 보기 힘들더라구요...
감사합니다
회색사과
프로그래밍은...

1. 나 재능이 좀 있는듯?
2. 재능은 모르겠고 프로그래밍 하는 게 즐겁다.

두 가지가 아니면... 꽤 힘듭니다.
취업은 어찌어찌 하는데 일하는게 꽤 괴로워질 가능성이 높아요..
kaestro
대학원 진학을 생각하는 시점에서 2번째가 어느정도 돼서 진로를 결정하는거라서요. 걱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회색사과
다행이네요 -! 저는 프로그래밍은 관심 없고 연구하는 것만 즐거워서 cs 대학원에 진학했습니다.

연구원으로 취업을 해도 결국 최소한의 프로그래밍 재능/혹은즐거움 은 필요하더라구요.
kaestro
사실 근데 제가 대학 오기 전에 수학이 좋다고 생각했던 것처럼 대학원을 가면 프로그래밍이 재밌다고 생각했던건 착각이란걸 깨닫게 되지 않을까요? 겁나네요
개발분야는 다 전망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코드를 좀 더 잘 짜고 싶다면 codewars.com 가셔서 훈련해보세요.
영어의 압박이 있긴 합니다만 코드를 읽고 짜는게 주고 영어는 부이기 때문에 할 만 할겁니다.
kaestro
확실히 이건 뭐 하라고 던져주니까 훨씬 낫네요
그런데 중간 저장 기능이 없는건가봐요. 작성하다가 버튼 잘못 누르고 넘어갔다가 돌아왔더니 코드가 날아가 있어서 갑자기 짜증이 나네요
요 근래 코드 짤 때 계속 우분투 쓰다가 윈도우 돌아오려고 visual code 깔고 g++ 설치 중이라 그냥 웹페이지에서 코드 짰더니 이런 일이...

좋은 사이트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멍청똑똑이수정됨
공채 코딩테스트 노리시는거죠?
알고리즘잡스같은 학원대비반이 제일 괜찮아보여요.
그리고 공채코딩테스트는 전산기본지식필기 볼때도있고 면접질문도있어서 정보처리기사수준 전산이론지식은 있어야 낙제 면하는거같아요.
이외에는 개발분야에 따라 다르지만 언어 자체를 잘 다루고, 언어구조를 잘 숙지해두는게 중요한거같아요. 신입이 스스로 고급 문제해결능력을 요구받지는 않으니..

그리고 알고리즘풀이 외에 자료구조이해, 활용이랑 aop, 데이터베이스퍼포먼스이슈, 시간복잡도 같은것도 묻기도하고요. 분야에 맞는 필요한지식을 같이 준비하려면 공채대비학원이 결국 답인거같아요.
kaestro
제 주변에는 정보처리기사 같은 자격증 따려는 생각하는 친구도 아무도 없었고 다들 없이 취직하는데 문제 없었어서 이런 얘기 듣는건 되게 신기하네요.
공채학원에서 뭘 제시하나 한번 보는게 맞을까하는 생각이 확실히 들긴 하는것도 같아요
멍청똑똑이
보통 실력좋은 전공출신들이 필요한 자격증은아닌데,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전산기초 관련해서 필기나 면접에서 나오는 경우가 있어요. 작년 라인코퍼레이션 1차도 필기/코딩 같이나왔었구요. 졸업할때쯤에는 자신없다면 한번 다시보셔야할거에요.
kaestro
저한테 딱 맞는 얘긴것 같아서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eonnyseo
저는 문과생으로 반도체 회사에서 SW직군으로 일했었습니다. 알고리즘은 굉장히 못하는 편이었는데 그래도 어떻게 꾸역꾸역 하니까 됐습니다. (퇴사의 한가지 이유이기도 합니다.) 제가 일했던 회사는 사내 알고리즘 시험에서 '이 정도는 했으면 좋겠다' 정도 레벨이 DFS, BFS 였는데요. 교육 한 2주일 가면 주구장창 저것만 가르치더라고요. 그 윗레벨에서 다이나믹 하고. 신입 시험은 DFS, BFS 정도도 안되는 난이도로 나온다고 알고 있습니다. 후배말 들어보면 자동차 회사는 이것보다도 쉽게 나왔다고 하더라고요.

이건 HW직군들이 메인인 회사 얘기고, 구글 면접봤던 후배 얘기 들어보면 알고리즘이랑 컴퓨... 더 보기
저는 문과생으로 반도체 회사에서 SW직군으로 일했었습니다. 알고리즘은 굉장히 못하는 편이었는데 그래도 어떻게 꾸역꾸역 하니까 됐습니다. (퇴사의 한가지 이유이기도 합니다.) 제가 일했던 회사는 사내 알고리즘 시험에서 '이 정도는 했으면 좋겠다' 정도 레벨이 DFS, BFS 였는데요. 교육 한 2주일 가면 주구장창 저것만 가르치더라고요. 그 윗레벨에서 다이나믹 하고. 신입 시험은 DFS, BFS 정도도 안되는 난이도로 나온다고 알고 있습니다. 후배말 들어보면 자동차 회사는 이것보다도 쉽게 나왔다고 하더라고요.

이건 HW직군들이 메인인 회사 얘기고, 구글 면접봤던 후배 얘기 들어보면 알고리즘이랑 컴퓨터 지식을 함께 물어보는 것 같았습니다. SW테크 회사들이 목표시라면 카카오 공채 시험문제 봐보시는 건 어떨까 싶네요. https://bit.ly/2R5edPB
kaestro
학교에서 수업할 때 순서는 DP를 먼저 하고 DFS, BFS를 나중에 했어서 저는 DFS, BFS가 더 어렵다고 기억했는데 이게 거꾸로였나요? 되게 신기하네요. 시험 볼 때도 DP가 훨씬 쉬웠던거로 기억하는데...
감사합니다.
현직 개발자긴한데.. 한번도 공부해본적 없는데 네이버 면접쯤은 그냥 통과 가능합니다. 백준 푸는 시간도 아까워요. 그냥 학교 알고리즘 공부 열심히 하셨으면 금방 합니다
kaestro
저희 교수님께서 알고리즘 수업을 clrs로 하셔서 뒤에 그래프쪽 넘어가면서부터는 제대로 아는 부분이 잘 없어서요.
이런 부분을 이론적으로 보완하고 코드를 짜보는게 취업에 크게 도움이 안될거란 뜻이신가요?
전 지금 백준에 있는 문제들 난이도 낮은것도 푸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니까 시험을 못 통과할것 같아서 그러거든요
음 코세라에서 스탠포드 알고리즘 강의 두개 끝내세요. 면접에서 백준같은 문제 안나와여
kaestro
좋은 강의 추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흥차넷
보안은 우리나라 푸대접이라 그닥입니다
kaestro
보안이 푸대접이란건 자리가 잘 없다거나 페이가 별로라는 걸까요?
보안쪽은 해외에 자리 구하는 것도 어렵나요?
흥차넷
보안이라는게 결국 대형 업체에서 움직여야 적용되는 건데요 우리나라는 해킹당하거나 무슨 사건이 터져도 별로 처벌이 없습니다
그러니까 기업입장에서는 딱히 투자할 필요성도 못느끼겠고 비싼 돈 들여서 방비를 단단히 하느니 그냥 벌금내고 죄송합니다 한 번 하는게 나아보이고~
kaestro
아, 무슨 소린지 알 것 같아요 ㅋㅋ...감사합니다
보이차
보안도 분야가 넓어요.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전망이 좋다고 생각하진 않아요.
하실거면 2년, 석사만 하고 금감원 국정원 방송국 뭐 그런 쪽으로 빠르게 들어갈 수 있으면 해보실 만 한데 박사까지 하기엔 좀...
kaestro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보안쪽 분야긴 한데 생각해보긴 해야겠네요. 감사합니다.
느릿느릿
사회에 일찍 나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쪽 분야가 워낙에 넓어서 시니어로 넘어갈때 조금만 분야가 틀려도 다른 직군이 됩니다. 학위보다는 경력 1년을 더 우대합니다.

보안분야는 국내에 쓸만한 회사가 없을텐데요. 보안처럼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 분야는 외국 솔루션을 사용하큰 편이라 ActiveX 만들던 회사 정도만 남아있습니다.

분야를 한정하지 말고 업계에 유명한 회사 중심으로 구직 활동을 하시고 스타트업은 피하세요. 석사는 그 이후에 분야가 결정되면 하셔도 늦지 않습니다.
kaestro
현업에 1년에 있는게 그렇게 차이가 많이 나나요?
사실 금전적인 측면에서 손해를 많이 볼거라는 생각이 대학원을 갈 생각을 망설이는 주 이유거든요
느릿느릿
아무래도 경력을 더 중요하게 봅니다.

그래서 석사에 대한 우대가 거의 없습니다. 박사도 비슷한 형편이라 실무에서 학위를 제시하는 분은 찾기 어렵습니다.

다만 공공 분야에서는 나라에서 학위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어 수요가 있긴 하지만 공공 분야가 페이가 가장 낮은 분야라서 추천 드리지 않습니다.

금전적인 부분 뿐만 아니라 경력관리 전체적으로도 안좋습니다. 나이많은 신입은 어딜가서도 환영받지 못합니다.

초대졸 경력 4년차, 대졸 2년차, 석사 신입이 있다면 저는 초대졸 4년차를 뽑겠네요.
kaestro
그러면 말씀하신 빠르게 사회에 나가려는 대졸 무경력자는 어떻게 구직을 해야하나요?

말씀하신대로면 전혀 경쟁력이 없는 것 같기도 하고, 구직 활동을 한다는건 어떤건지 잘 모르겠어서요.

제 친구들은 보통 공채 준비하는 방향으로 나가더라구요.
느릿느릿
아까 썼던 댓글 내용이 쓸대없어 보여 지우고 다시 작성합니다.

석사 신입 보다는 대졸 신입이 훨씬 많은 길이 있습니다. 물론 카이스트나 서울대 라면 이야기가 달라지겠지요.

취업을 방향으로 한다면 뻔한 이야기 겠지만 공부보다는 남들처럼 공채 준비를 하거나 자소서를 쓰고 나한테 맞을것 같은 회사를 찾아야 합니다.

이쪽 업계는 어떤 직군을 가더라도 은퇴까지 쉬지않고 공부를 합니다. 공부는 진로가 정해지면 그때 가서 해도 늦지 않습니다. 일고리즘이 그다지 필요없는 쪽으로 가는경우도 있고 문과쪽 회계를 배워야 하는 직군도 있... 더 보기
아까 썼던 댓글 내용이 쓸대없어 보여 지우고 다시 작성합니다.

석사 신입 보다는 대졸 신입이 훨씬 많은 길이 있습니다. 물론 카이스트나 서울대 라면 이야기가 달라지겠지요.

취업을 방향으로 한다면 뻔한 이야기 겠지만 공부보다는 남들처럼 공채 준비를 하거나 자소서를 쓰고 나한테 맞을것 같은 회사를 찾아야 합니다.

이쪽 업계는 어떤 직군을 가더라도 은퇴까지 쉬지않고 공부를 합니다. 공부는 진로가 정해지면 그때 가서 해도 늦지 않습니다. 일고리즘이 그다지 필요없는 쪽으로 가는경우도 있고 문과쪽 회계를 배워야 하는 직군도 있습니다.

다만 개발에 집중하고 싶다면 대기업 보다는 중소기업을 찾으야 하겠네요. 작은회사들은 공채를 잘 하지 않으니 수시채용에 직접 넣어야 할꺼고 원하는 회사를 찾기까지 3~4번 이직을 거쳐야 할수도 있습니다.

자소서 쓰시고 zdnet을 뒤져서 가고 싶은 회사에도 집어넣어보세요. 대기업 공채도 같이 하시구요.
kaestro
어... 저 그 서울대가 맞긴한데 이 학교 뭐가 다르긴 한가요?
살면서 체감할 때가 없어서 이렇게 언급되는걸 보니까 좀 당황스럽네요
칸나바롱
우대라기보다 확실히 서울대면 기대치가 높다고 해야하나...

컴공기준으로는 다른학교보다는 확실히 빡세게 배워서 좀 더 문제해결능력과 습득능력이 좋을 확률이 높다고 많이 생각하죠..
kaestro
아무리 봐도 전 그정도 능력은 안되는 것 같은데 킁...
주변 애들 보면 못난 것 같아서 자신감만 떨어져요 ㅋㅋ... 학교 잘못온듯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488 진로N수생 이게 옳은 선택일까요? 28 [익명] 19/02/08 5385 0
6487 진로결혼에 대한 진지한 질문 드립니다. 103 지금여기 19/02/07 5441 5
6469 진로진로에 대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12 활활태워라 19/02/05 4322 0
6445 진로모든 면에서 괜찮은 직장이지만, 비전이 없다고 생각될 때? 9 [익명] 19/02/01 2913 0
6414 진로제가 일하는게 남의 정당한 자리를 뺏는 것 같아 힘듭니다. 31 [익명] 19/01/29 3497 0
6408 진로계약직 계약 종료 관련 질문입니다. 4 [익명] 19/01/28 2455 0
6378 진로면접 후 2곳에서 출근의사를 물었는데, 여러분들 이라면 어디로?? 24 [익명] 19/01/23 3491 0
6275 진로개발자가 되고 싶은 학생입니다. 12 [익명] 19/01/10 3063 0
6243 진로IT 경력직 이직 5 [익명] 19/01/07 2673 0
6233 진로퍼포먼스 마케터 vs. 컨설턴트 vs.대기업 취준 13 [익명] 19/01/05 3608 0
6225 진로진로문제 고민 [댓글잠금] 11 곰돌이우유 19/01/04 4062 0
6223 진로인생 후반전 참이슬(진로) 설정 문의 6 [익명] 19/01/04 2841 0
6215 진로내년 상반기 소트프웨어 직군을 목표로 공부하려합니다. 38 kaestro 19/01/03 5718 0
6134 진로아고다로 비회원 예약을 했는데, 메일을 잘못 쓴 것 같습니다. 2 [익명] 18/12/21 3991 0
6111 진로초등학생 국제학교 진학 조언 4 집정관 18/12/19 5199 1
6103 진로이런 건 어떻게 못 고칠까요...? 6 [익명] 18/12/18 3081 0
6070 진로방송통신대학 법학과 어떨까요? 10 [익명] 18/12/12 12248 0
6058 진로스타트업 대표이사로 이직제안이 왔습니다. 16 [익명] 18/12/10 3207 0
6045 진로트라우마 때문에 입사가 망설여집니다... 18 [익명] 18/12/07 3468 0
6042 진로회사 계약서 작성 후 다른 곳으로 갈 수 있나요? 17 이초파 18/12/07 10517 0
5995 진로진로상담 좀 부탁드립니다! 기계공학전공 22 플린이 18/11/30 4119 0
5990 진로이직 여부 고민 중입니다. 11 [익명] 18/11/29 2720 0
5983 진로(스압) 이게 진정한 공부 방법 일까요? 7 [익명] 18/11/29 3038 0
5972 진로오퍼를 받았는데 숨이 막혀요... 12 [익명] 18/11/27 2951 0
5970 진로'보통 한국 남자' 에 대한 거부감/ 공포감 7 [익명] 18/11/27 325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