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5/12/13 04:02:32
Name   눈부심
Subject   뜨거운 음식 먹으면 몸이 금방 따뜻해지는 이유
방금까지만해도 손발 시려웠다가도 뜨거운 음식 먹으면 금방 따뜻해져요.
뜨거운 죽 한 그릇 먹었거든요.
근데 한 그릇만큼의 죽이 성인 한 명의 몸을 금방 데울 수는 없는 거잖아요.
이게 분명 어떤 과학적인 메카니즘때문일 거란 말이죠.
제가 생각을 해봤는데 우리몸은 항상 36.5도를 유지하려고 하잖아요.
그런데 50도 넘는(?) 뜨거운 액체가 침입해오니 몸이 놀란 거예요.
위가 차가워져야 이 뜨거운 죽이 빨리 식을 것 아녜요.
그래서 온몸의 뜨거운 피가 몸 사방으로 도망가 주시고 위랑 위주변은 차가운 기운을 유지하려고 용을 쓰는 거예요.
덕분에 사방으로 달아난 뜨거운 기운이 몸을 따뜻하게 해 주는 거?
그런 거 아닐까요???
아님 뭘까~용?



0


크크크크크 눈부심님 왠지 설득됩니다.
눈부심
그럴 듯 하져 킁.
소변 보고 몸이 떨리는것과 반대의 작용이죠.
체내에 있던 수분이 왕창 빠져나가면서 함께 열을 잃어서 후달달 떨리는 것과 밖에서 열원을 얻어서 몸이 후끈해지는 것은 같은 원리입니다.
하지만 여기는 의사넷이니 저같은 의알못보다 더 정확한 설명을 곧 들으실 수 있을거에요.
눈부심
오.. 그래서 몸이 떨리는 거군요. 떨 때 순식간에 오한이 오는 것 같은 것이, 한 사발의 뜨거운 오줌을 잃으면 몸이 예민하게 반응하는만큼 한 사발의 뜨거운 죽을 먹었을 때도 몸이 예민하게 반응하는 건가봐요.
레지엔
음식이 들어가면 위와 소장의 혈류량은 증가하고요, 위의 ramram님 설명이 좀 더 정확합니다. 몸 깊은 곳(심부)에 열원이 증가하고 그로 인해서 체내 전체의 혈류량이 다시 세팅될 필요가 있는데, 이 과정에서 \'열 손실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세팅이 됩니다. 쉽게 말하면 피부와 피부 밑의 혈관이 확장되는 것이죠. 이러면 일시적으로 몸에 도는 피의 양이 증가하게 되고 피부를 통해서 열이 방출됩니다. 술먹고 몸이 뜨끈해지는 것 같은(하지만 신체 전체로 보면 열을 내는 에너지는 소모가 촉진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죠. 장기적으로는 그렇게 소모된 열과, 흡수한 열이 밸런스를 맞춰서 얼어죽지 않고 살 수 있게 되긴 합니다만 일시적으로는 죽 그 자체의 열이라기보다는 몸의 열을 소모시키는 것이라고 보시는게 타당합니다. 다음 달에 돈이 왕창 들어오니 잔고를 털어서 옷 사고 차 사는 것과 같... 나?(..)
눈부심
열을 손실시켜야 하므로 피부를 통해 열을 방출.. 오..
경례...(_ _)
파란아게하
뜨거운 음식을 먹었는데 차가워지면 이상하대서 뜨거워지라고 했답니다.

....
차우차우
오.. 가장 명쾌한 답이네요
눈부심
논리적인 우리몸. 로지컬 보디.
스트로
죽이 준 열에너지만큼을 배출하는 게 맞습니다. 물론 이상 상태(idear state)도 아니고 인체에서 벌어지는 일이니 딱 들어온 만큼 나가지야 않겠지만 대충 그 정도, 그러니까 죽 한 그릇이 그만큼 데웁니다! 브라보!
눈부심
스마트한 우리몸. 이제 잘 알았으니 뜨거운 잔 받아들고 손 덮힐 것이 아니라 얼른 홀짝홀짝 마셔야겠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56 과학전자와 전하 46 님니리님님 16/08/28 10565 0
1425 과학화학이나 약학을 공부하신 분들께 17 OshiN 16/08/17 5546 0
1372 과학상대성이론보다 양자역학이 더 본질에 가깝나요? 37 Ben사랑 16/08/03 6208 0
1352 과학수학, 과학관련 재밌게 보신 다큐멘터리가 있으신가요? 8 쉬군 16/07/31 5227 0
1286 과학자전거 바퀴에 공기를 빠방하게 넣으면 왜 더 적은 힘으로 빠르게 움직이나요. 7 기아트윈스 16/07/13 4468 0
1263 과학제가 헤드폰을 충동구매 했거든요? 19 세계구조 16/07/06 6992 0
1241 과학은행나무의 자체 번식 불가 이유가 뭐죠 6 당근매니아 16/06/28 6321 0
1058 과학 수학적, 논리적 사실은 "어떤 형태의 세계에서건 성립"하나요? 17 하늘밑푸른초원 16/05/09 5668 0
1049 과학텐서(Tensor)에 대한 쉽고 좋은 글이 있을까요? 5 OshiN 16/05/03 4598 0
940 과학과학 교양서적 질문입니다. 7 ORIFixation 16/03/23 5246 0
840 과학Sci-Hub 이용해도 되나요? 22 눈부심 16/02/18 14244 1
771 과학통계나 자료 찾는것좀 도와주세요.. 4 아삼 16/01/25 4955 0
723 과학과학 관련 저널 급? 알아보는 방법 있을까요? 12 化神 16/01/14 8345 0
625 과학과학은 진보입니까? 19 ohmylove 15/12/18 5330 0
624 과학인지과학, 뇌과학, 진화론과 철학에 대해 질문 23 ohmylove 15/12/18 6447 0
598 과학뜨거운 음식 먹으면 몸이 금방 따뜻해지는 이유 11 눈부심 15/12/13 5305 0
595 과학이 벌레는 어떤 벌레일까요? (사진 찍었습니다!) 19 스트로 15/12/11 15994 0
386 과학수학관련 질문입니다 3 세상의빛 15/10/28 6437 0
311 과학중력과 공간의 휘어짐에 대해 궁금합니다. 10 쉬군 15/09/23 9434 0
244 과학대장균 등의 세균을 볼 수 있는 현미경 배율 4 Extraordinary 15/08/24 9985 0
104 과학뻘질문..왜 북쪽과 남쪽이 위 아래 일까요. 5 realise 15/06/24 6977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