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8/09/25 13:04:34수정됨 |
Name | blue212 |
Subject | 사회 초년생 돈관리 방법 |
안녕하세요! 명절에 폰을 하다가.... 고견 여쭙고싶어 질문글 남깁니다. 저는 공부를 조금 오래 한 편입니다.. 공부를 오래 하기도 했고, 학비가 비싼 곳이기도 했는데 부모님께 죄송하긴 했지만, 제가 별도의 경제활동을 할 수 있을정도로 시간이 나는 상황이 절대 아니어서 어쩔 수 없이 부모님의 전액 지원을 받게 되었습니다. (배경에 대하여 설명드리는 이유는 부모님의 지원을 받을 수밖에 없는 불가피한 상황이었고, 부모님도 이에 대하여 동의하셨기 때문이라는 점을 알려드립니다. 제가 부모님께 돌려드려야 할 금전적인 지원에 대한 대략적 배경 설명이 필요해야 할 것 같아서요) 길고 긴 학업을 끝낸 이후 직장을 가지게 되어 이번 연도가 끝나기 전에 수입이 생길 것 같습니다. 사실 저 스스로도 제가 부모님께 빚을 많이 지고 공부를 한 것 같아, 그 부분에 대하여는 충분히 돌려드려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 정도? 혹은 방식? 에 대하여 좋은 생각이 나지 않네요. 농담읹 진담인지 모르겠지만, 이전부터 부모님께서는 “월급 모두 부모님께 드리고 용돈 타서 써라”고 말씀하시곤 하셨어요. 본인 월급을 모두 부모님께 드리는게 일반적인 현상인지요...? (친구들도 모두 경제활동이 늦어 경험을 묻기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ㅠㅠ) 저렇게 드리면 어차피 결혼할때 모두 정리해서 주신다는 말을 들었고 부모님 경제상황이 나쁘신 편도 아니어서 그렇게할 것 같습니다. 다만 저는 제가 자산을 관리하고 저축하는 습관을 들여야 할 것 같아서 제가 관리하고싶은데, 이걸 어떻게 받아들이실지도 모르겠네요..... 따끔한 조언도 괜찮습니다. (답변의 취지를 해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일부 글을 수정하였습니다) * Toby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18-09-25 13:21) * 관리사유 : 질문글이어서 질문게시판으로 이동합니다.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blue212님의 최근 게시물 |
1.부모님이 신뢰할만 하고 경제활동을 열심히 하시는 분이시면 맏기시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월급은 다 드리고 용돈받아서 활동하는 사람도 있으니까요.
2. 본인 스스로 하고 싶다는 것은 알겠는데, 당분간은 취직한 이상 직장에 집중을 하시는 것이 어떨까요. 최고의 재태크는 직업에서의 성공입니다. 이후 여유가 생기면 부모님께 말씀드리고 직접 운용하시는 것도 고민해 보시는 것이... 이 때 원금을 찾지 못하는 경우도 꽤 있기는 합니다.
3. 결혼을 하시면 재태크는 자동으로 하게 됩니다. 위 두가지 고민이 한꺼번에 해결이 되지요.
2. 본인 스스로 하고 싶다는 것은 알겠는데, 당분간은 취직한 이상 직장에 집중을 하시는 것이 어떨까요. 최고의 재태크는 직업에서의 성공입니다. 이후 여유가 생기면 부모님께 말씀드리고 직접 운용하시는 것도 고민해 보시는 것이... 이 때 원금을 찾지 못하는 경우도 꽤 있기는 합니다.
3. 결혼을 하시면 재태크는 자동으로 하게 됩니다. 위 두가지 고민이 한꺼번에 해결이 되지요.
저렇게 말씀하시는 거 봐서는 ...
세상 어느 은행보다 낫다는 마마통장일 것 같습니다.
효율로는 최고죠 ㅎㅎㅎ
그치만 언젠가 경제적으로 자립하시는 법도 익히셔야 하니 어머니께 말씀 잘 하셔서 직접 해보겠습니다. 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세상 어느 은행보다 낫다는 마마통장일 것 같습니다.
효율로는 최고죠 ㅎㅎㅎ
그치만 언젠가 경제적으로 자립하시는 법도 익히셔야 하니 어머니께 말씀 잘 하셔서 직접 해보겠습니다. 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옆에서 보험과 금융상품들 하나하나 배워가며 제 스스로 했습니다. 경제권을 돌려받으려는 과정 쟈체가 부담스러울 것 같아서요. 이때 제일 문제는 끝까지 스스로 가계부를 쓰고 관리할 수 있냐는 거죠.
다만 기간을 정해놓고 맡기는 건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확실히 제가 관리하다보면 신경쓴다해도 낭비가 있긴하니까요. 더불어 가계부를 보여드리고 혼나는 경험도... 싫긴한데 필요하긴 합니다;
다만 기간을 정해놓고 맡기는 건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확실히 제가 관리하다보면 신경쓴다해도 낭비가 있긴하니까요. 더불어 가계부를 보여드리고 혼나는 경험도... 싫긴한데 필요하긴 합니다;
부모님이 돈 잘 모으시면 괜찮을거같아요 저는 부모님이 딱히 뭐 사지도 않고 집도 차도 안사는데 돈을 물처럼 잃어버리시는 분이라;;; 불신으로 저 혼자 관리하고 절대 안드렸습니다 ㅋㅋㅋㅋ
근데 제친구는 월급을 드렸더니 부모님이 자기 앞으로 집을 사주고 대출도 갚아줘서 집이 뙇 생기던데요 ㄷㄷ
근데 제친구는 월급을 드렸더니 부모님이 자기 앞으로 집을 사주고 대출도 갚아줘서 집이 뙇 생기던데요 ㄷㄷ
재태크의 첫째 순서로는 고정적으로 나가는 비용에 대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일단 나와 우리 집에 대해 아는 걸로 시작하는 거죠.
개인단위와 가구단위로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돈 - 보험료, 통신비, 공과금, 지금은 부모님께서 내시겠지만 재산세, 자동차세같은 비용들이 한달, 1년단위로 얼마나 나가는지 파악해보는걸로 첫 시작을 하시는게 어떨까요?
일단 나와 우리 집에 대해 아는 걸로 시작하는 거죠.
개인단위와 가구단위로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돈 - 보험료, 통신비, 공과금, 지금은 부모님께서 내시겠지만 재산세, 자동차세같은 비용들이 한달, 1년단위로 얼마나 나가는지 파악해보는걸로 첫 시작을 하시는게 어떨까요?
신용카드 사용이 빈번할 텐데, 신용카드 관리 앱을 이용하면 편리할 겁니다. 문자 메시지를 받아 자동으로 입력, 분류해 줍니다. (카테고리를 미리 설정해 놓았을 경우)
일부 앱은 가계부를 겸하여, 수입도 입력할 수 있는 것도 있습니다.
약간의 꼼수를 동원하면, 대차대조표는 아니지만, 금융 자산 액수도 입력하여 놓을 수 있습니다. 그걸 보고 있으면 흐뭇할 수도 있고, 처참할 수도 있겠습니다.
일부 앱은 가계부를 겸하여, 수입도 입력할 수 있는 것도 있습니다.
약간의 꼼수를 동원하면, 대차대조표는 아니지만, 금융 자산 액수도 입력하여 놓을 수 있습니다. 그걸 보고 있으면 흐뭇할 수도 있고, 처참할 수도 있겠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