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8/03/22 22:20:47
Name   늘해랑
Subject   다들 영어공부 어떻게 하시나요?
토익밖에 안해봐서..

시험을 목표로 공부하니 단순히 미드보고 TED보며 공부하는 것 보다 목표의식이 생기더라구요

토스, 아이엘츠, 오픽, 오피, 토플, FCE 등등...정말 많은 시험들이 있는데 이 중 하나를 목표로 잡고 고득점을 받아보고 싶습니다.

앞으로 전공업무를 영어로 볼 수 있거나 바이저 역할로 해외근무를 뛸 수 있는 사람이 되고싶다! 가 목표인 사람은 저 중에서 무얼 먼저 목표로 하면서 공부하면 좋을까요?



0


T.Robin

제 경우를 말씀드리면......
1. 문법에 익숙해집니다. '성문기초영어'급 문법은 아예 아무것도 보지 않아도 대략적으로 문법책을 쓸 수 있을 정도로 익숙해져야 합니다. 문장의 구조에서는 to부정사와 관사에 집중합니다. 팁을 하나 말씀드리자면, 영어 문장의 80%는 문장의 5형식 중 3형식(SVO=주어-동사-목적어)으로 되어 있습니다
2. 영어 롤플레잉 게임을 합니다. 단, hack & slash 스타일의 게임 말고, 스토리를 모르면 게임이 진행되지 않는 형태의 게임이어야 합니다. 하루에 1~2시간씩 진행하면 됩니다. 음성이 있... 더 보기
제 경우를 말씀드리면......
1. 문법에 익숙해집니다. '성문기초영어'급 문법은 아예 아무것도 보지 않아도 대략적으로 문법책을 쓸 수 있을 정도로 익숙해져야 합니다. 문장의 구조에서는 to부정사와 관사에 집중합니다. 팁을 하나 말씀드리자면, 영어 문장의 80%는 문장의 5형식 중 3형식(SVO=주어-동사-목적어)으로 되어 있습니다
2. 영어 롤플레잉 게임을 합니다. 단, hack & slash 스타일의 게임 말고, 스토리를 모르면 게임이 진행되지 않는 형태의 게임이어야 합니다. 하루에 1~2시간씩 진행하면 됩니다. 음성이 있으면 더 좋습니다. 전문 성우들의 음성은 듣기 강화에 도움이 됩니다. 저는 Lost Odyssey나 Enchant Arm 등의 게임을 이용했습니다만, 뭐 이들 게임은 워낙 오래전 게임들이라...... -_-
3. 하루에 1~2시간 이상 영어 라디오를 듣습니다. 저는 예전 오성식 생활영어 카세트 테이프(-_-; )부터 시작해서 Real Player로 나오던 ABCNews를 거쳐 Shoutcast 기반의 WNYC까지 듣는건 달라졌지만 어쨌든 20년정도(......) 이 짓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하다보면 나중에는 이런(↑) 성적이 자동으로 나옵니다(예. 제껍니다. -_-).
7
CONTAXS2
와.....................................................
저거 한번 접으면 제 성적 나오네요. ㅠ
호라타래
오오 느님
늘해랑
와 존경스럽습니다...자극받고 갑니다 로빈님!
늘해랑
하루 두시간씩 듣기투자하기가 쉬운게 아닐텐데 대단하십니다..ㄷㄷㄷ 저도 도전해봐야겠습니다ㅎ
그리고 2번에서 말씀하신 롤플레잉게임은 혼자서도 가능한 건가요?
혼자 하는 RPG인데요(......).
콘솔용이에요. 제가 예로 들었던 것들은 Xbox360 용들이고...... 요즘 Steam에 가면 좋은 것들이 많더군요. FF15도 나와있고, FF10 Remaster도 좋고......

참고로, 하루 두시간 듣기는 집중해서 듣는게 아니라 그냥 틀어놓는 겁니다. 굳이 억지로 들으려고 할 필요 없이 그냥 한 10년정도(......) 틀어놓기만 해도 나중에는 그 발음에 귀가 익숙해져서 조금씩 들립니다.
음 목적이 좀 애매하세요. 왜냐하면 토플을 잘받거나 전공업무를 영어로 볼수 있다고 영어를 잘하는건 아니거든요. 영어 자체를 잘하는 건 토종 한국인 입장에서는 많이 시간이 걸리고요. 영어시험점수도 그럭저럭 받아봤고 전공업무 영어로 볼수 있지만 영어는 잘 못하는 1인..

영어 고득점을 받고싶으시면 학원가는게 낫고 (갓조선 족집게 학원은 엄청납니다)

전공업무 영어로 보고싶으시면 그 업무관련 글로벌 포럼 내지 커뮤니티에서 활발히 활동하시는게 나은것 같아염
1
늘해랑
이울님 말씀대로 목표가 불분명한거 맞아요ㅎㅎ 정확히 보셨네요ㅠ 사실 에이전시 통해 해외인턴 가기 직전까지 가본터라 더 아쉽고 그런가봐요..(대사관면접 & 고용주 면접준비까지 한창 하던 중이었습니다) 사정이 생겨 잠깐 우회하는 중인데 그 사이에 영어를 어떻게 이어나갈까 하고 있는 참이었습니다..ㅎ 학원이 참 잘 되어있긴 하죠 사교육 갓조선..ㅋㅋ 참고하겠습니다
Azurespace
하지 않습니다()
늘해랑
도전해보세요! :)
저 같은 경우에는 토익은 1달 학원다니고 965점이 나왔는데요, 토익과 회화는 전혀 별개더라고요. 그래서 요즘 영어 회화 스터디 하고 있습니다;_; (초급반인게 함정...) 스펙업이나 독취사에 모집 공고 많아요!
1
늘해랑
크 여기도 실력자께서...정보 감사드립니다!
실바리
실력자라뇨 ㄷㄷ 미드보고 TED 보실 정도면 저보다 영어 잘 하실텐데요?!
아무튼 화이팅입니다 ㅠㅠ
고득점은 학원으로 가셔야...
전공업무는 해당 전공에서 다루는 영어권 자료를 최대한 많이 접해보시는 수 밖에 없고, 말하기 듣기는 네이티브와의 학원 생활이 아니라면 전화나 스카이프 영어를 추천드립니다
시험은 아니고 공부 방법론만 쓰지면 기본은 딕테이션이 되는거고 이게 잘 된다면 잦은 글쓰기와 말하기로 하고자하는 표현의 인출이 자연스럽게 되는 것이 완성인데 전자는 그냥 오디오북 듣고 쓰기만 해도 늘지만 후자가 연습이 어렵습니다. 제 경험상 대부분의 한국 토박이들의 영어 능력은 독해가 기형적으로 좋지만 딕테이션은 상당히 불안하고 작문은 안습인 케이스가 많죠. 말하기나 쓰기 시험이 없는 건 아니지만 점수에 대한 효율성 차원에서 저런 능력을 계발하는 것보다 자주 쓰는 레파토리와 표현을 암기해서 반복하는게 더 도움이 되기 때문에 향상이 ... 더 보기
시험은 아니고 공부 방법론만 쓰지면 기본은 딕테이션이 되는거고 이게 잘 된다면 잦은 글쓰기와 말하기로 하고자하는 표현의 인출이 자연스럽게 되는 것이 완성인데 전자는 그냥 오디오북 듣고 쓰기만 해도 늘지만 후자가 연습이 어렵습니다. 제 경험상 대부분의 한국 토박이들의 영어 능력은 독해가 기형적으로 좋지만 딕테이션은 상당히 불안하고 작문은 안습인 케이스가 많죠. 말하기나 쓰기 시험이 없는 건 아니지만 점수에 대한 효율성 차원에서 저런 능력을 계발하는 것보다 자주 쓰는 레파토리와 표현을 암기해서 반복하는게 더 도움이 되기 때문에 향상이 없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이렇게 해서 고득점을 뽑으면 실력이 느는 것처럼 보이는 착시를 발생시키지만 실질은 그냥 레파토리의 다변화이지 표현 능력과는 거리가 멀어요. 생각이 말을 끌고가는게 아니라 말이 생각을 끌고가는 느낌이랄까. 그래서 제가 추천하는 건 영어로 키배하기... 는 농담이고 나름대로 복잡성을 띄고 있는 관념이나 현실의 묘사를 한국말 -> 영어의 번역 형태가 아닌 방식으로 풀어내는 연습을 하는 것입니다. 처음하면 골터지긴 하는데 골 좀 터져야 타 언어가 늘거든요.
1
가이브러시
와 멋집니다. "관념이나 현실의 묘사를 한국말 -> 영어의 번역 형태가 아닌 방식으로 풀어내는 연습을 하는 것입니다"...가 어떤 연습일까요? 영어로 순수이성비판 생각해보기 같은걸까요?
음... 그건 너무 고난도인데 내공이 쌓인다면 그런 도전을 해보는 것도 실력향상에 도움이 되겠죠. 근데 제가 염두에 둔 건 조금 케쥬얼한 영역의 것이었습니다. 그냥 자신이 관심이 있는 주제에 대해서 설명충이 되어 외국인에게 설명해준다는 느낌으로 글을 써보는 것 정도 말이죠. 그냥 아무 주제나 잡고 쓰면 자기 소개처럼 맨날 하던 레파토리의 반복이 되거나 할말을 익숙한 표현의 조합으로 만들어내는 형태가 되서 정체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주제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점진적으로 업그레이드 하면 표현과 생각의 매칭에서 발생하는 오차율을 피드백을... 더 보기
음... 그건 너무 고난도인데 내공이 쌓인다면 그런 도전을 해보는 것도 실력향상에 도움이 되겠죠. 근데 제가 염두에 둔 건 조금 케쥬얼한 영역의 것이었습니다. 그냥 자신이 관심이 있는 주제에 대해서 설명충이 되어 외국인에게 설명해준다는 느낌으로 글을 써보는 것 정도 말이죠. 그냥 아무 주제나 잡고 쓰면 자기 소개처럼 맨날 하던 레파토리의 반복이 되거나 할말을 익숙한 표현의 조합으로 만들어내는 형태가 되서 정체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주제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점진적으로 업그레이드 하면 표현과 생각의 매칭에서 발생하는 오차율을 피드백을 통해 점점 줄일 수 있다고 봐서요.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면, 한국의 주입식 교육의 문제점 같은 노잼 주제도 괜찮고 문명 6의 인공지능은 뭐가 문제고 어떻게 개선 해야하는가, 이번 시즌 SKT의 부진에서 누구의 지분이 가장 큰가, 왜 찍먹이 부먹보다 나은가 등등 자신이 진심을 담아 하고 싶은 말이 어느정도는 있는 주제에 대해서 타 언어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표현해보는 것이 좋다는 것이죠. 아마 처음에 시도하면 잘 되지도 않고 되더라도 하고싶은 한국말을 먼저 떠올리고 자신이 아는 단어를 조합해서 자신이 떠올린 한국어를 다시 영어로 번역하는 방식일 경우가 높죠. 이를 극복하려면 알고 있는 표현을 적합한 문맥에서 인출하는 연습을 지겹게 반복해서 그게 그 자체로 자연스럽게 하는 방법 밖에는 없는데 이게 정신력 소모가 이만저만 큰게 아니라... 당장 시험 앞두고 있는 사람에게 추천할 건 못되죠.
1
전공 관련 업무로 해외 지사들과 영어로 매일 연락하고 출장가서 프리젠테이션하고 하는데 거의 아무런 지장이 없는데요, 지금 저는 순수하게 영어를 아주 잘 해야하는 상황 & 토플 고득점이 필요해서 공부하고 있는데 점수가 정말 안 나오네요. 전공 업무랑 시험은 큰 연관이 없다고 생각해요. 사용하는 영어의 영역이 다른 것 같아요. 목표의식은 좀 부족하더라도 지금 하시는대로 테드 보시고 하는 게 더 도움될 듯 합니다.
가이브러시
저도 한번 숟가락을 얹어서..회사 영어시험이 OPic으로 바뀐 후 고전을 면치못하는 1인입니다. (AL 받아야되는데 그 밑 등급인 IH만 몇년째) 줄리님 말씀대로 한국 토박이의 영어구사자입니다 독해만 좀 되고, 스피킹 안되고, 작문은 안습입니다.
한국말--->영국말로 훅훅 바꾸려면 어케해야할까요ㅠㅠ
올해는 OPic AL 받아야 되는데 (진급해야합니다!) 뭔가 공부를 어케해야할지 솔직히 벽에 부딪혀서 깝깝스럽네요ㅋㅋㅋ
스크립트 외우라고들 하는데 외우는건 정말정말 싫고ㅋㅋ

전화영어는 하고 있는데 맨날 농담따먹기만 하고 ㅋㅋ 강사가 나의 브로큰 잉글리시에 적응을 해버려서...아...나란 남자.
시험은 잘모르겠지만 업무를 영어로 보실려면 라디오토크쇼 팟캐스트를 들어보세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질문 게시판 이용 규정 11 토비 15/06/19 25671 4
16968 기타중고차로 첫 차 구매 8 + 은하꾸리 25/08/27 352 0
16967 가정/육아20만원 내외 돌 유아용 그림책선물 7 kaestro 25/08/27 216 0
16966 의료/건강선생님들 심장쪽이 아픈데요. 1 활활태워라 25/08/27 282 0
16965 기타프라모델용 도구 추천해 주세요 6 오쇼 라즈니쉬 25/08/27 155 0
16964 기타책 추천을 받고 싶습니다. 24 쉬군 25/08/27 461 0
16963 기타길에 떨어진 돈을 보았습니다. 4 나만한 고양이 25/08/25 502 0
16962 법률내일 부모님 모시고 법원에 갑니다 11 거소 25/08/25 697 1
16961 여행갤럭시 esim활성화 6 치즈케이크 25/08/25 400 0
16960 게임TFT 증강선택? 보는법 10 토비 25/08/24 352 0
16959 의료/건강담관 내시경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2 눈팅중 25/08/24 236 0
16958 경제조직검사 결과통보전에 암보험을 보강/가입 해야될까요..? 6 [익명] 25/08/24 681 0
16957 기타타이어 교체 질문 5 방사능홍차 25/08/23 290 0
16956 기타자전거를 새로 샀는데 1단과 6단이 안됩니다 3 2025 25/08/22 492 0
16955 IT/컴퓨터구글원 요금제 ->구글 AI 요금제 업그레이드? 6 Picard 25/08/22 518 0
16954 의료/건강신발 문의 드립니다 11 2025 25/08/22 385 0
16953 문화/예술노래에서 표절의 기준 1 물리물리 25/08/21 342 0
16952 의료/건강부종에 좋은 발 받침대 추천 요청 7 anna_K 25/08/21 337 0
16951 의료/건강건강검진 결과입니다. 추가적 진료 및 치료가 필요할까요? 21 호미밭의파스꾼 25/08/21 735 3
16950 기타오프라인으로 할수 있는 모바일게임? 17 치즈케이크 25/08/20 600 0
16949 기타레이, 비슷한 차급의 경차를 타시는 분들 계실까요? 8 메리메리 25/08/20 591 0
16948 여행기내용 메모리폼 목베개를 아예 의료용 경추부목으로 사는 건 어떨까요 7 2025 25/08/19 534 0
16945 기타올해 입사한 신입인데 아직도 계속 혼나면서 적응을 못하는 것 같아요.. 29 [익명] 25/08/17 1291 0
16944 IT/컴퓨터챗 gpt 같은 ai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4 어둠달골짜기 25/08/16 611 0
16943 기타광주광역시 맥줏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4 호미밭의파스꾼 25/08/16 42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