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8/01/15 13:44:42
Name   은때까치
Subject   부정맥이 정기적으로 옵니다.


안녕하세요, 의료넷에 짧은 질문 하나 드리려고 합니다.

제 여자친구가 심장이 쿵, 하는 부정맥을 정기적으로, 하루에 한 번 내지 두번 정도 느낀다고 합니다.
평소에도 가끔씩 증상이 있어 왔지만, 겨울이 되면서 지나치게 빈도가 높아지는 것 같아 제가 심장내과에서 검진받기를 권하였습니다.
심전도 검사와 24시간 홀트검사(?)를 진행하였는데, 다행인지 불행인지는 몰라도 그 전까지 거의 매일 있었던 부정맥이 하필 검사 동안 나타나지 않아 신호를 못 잡았다고 하더군요. 다만 증상 묘사나, 가족력 등으로 판단하였을때 조기심실수축일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하셨습니다.

여기까진 좋은데... 의사 선생님이 젊은 나이에 그정도 부정맥은 자주 있는 편이라고 아무런 처방 및 조치를 하지 않은 채 그냥 돌려보내셨습니다.
큰 문제가 없다니 다행인 건 다행인데... 그래도 이렇게 발생 빈도수가 높은데 무심하게 신경 쓰지 않고 살아도 되는건지 제가 걱정이 풀리지 않더라고요.

제가 너무 건강 염려증인 걸까요? 이게 정말 얼마나 흔한 증상인지, 치료하지 않고 가지고 살아도 별 문제 없는 증상인지 궁금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0


사나남편
부정맥이 심하면 가슴에 이상한 기계 넣어서 측정하는게 있더라고요. 그거하시기에는 너무 어리신게 아닌가 하지만...일단 제가 알기론 기계 넣어서 추적해서 측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은때까치
감사합니다. 다행히 심한 편은 아닌 것 같습니다.
Erzenico
조기심실수축의 경우 부정맥이라는 카테고리에 속하지만 정상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것이고 대개 합병증을 초래하지 않고 이를 잡기 위해 약을 써도 큰 효과를 볼 수 있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1~5회 미만 연속으로 나타나는 경우, 홀터 검사 24시간 내에 15% 미만이면 뚜렷한 조치 없이 경과관찰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1
April_fool
저도 같은 증상이 있어서 궁금했는데, 베타 차단제를 먹어서 증상 호전이 있었다면 주치의 선생님께 말씀드리는 것이 좋을까요?
Erzenico
두 가지 측면을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1. 심실기외수축의 빈도가 매우 높아 실제로 심실박동횟수가 증가한 것이라면, 베타차단제나 칼슘채널차단제 등 치료의 효과를 볼 수도 있습니다.
2. 심실기외수축으로 증상을 겪는 환자들 중 높은 빈도로 이로 인한 불안이 생기고, 이 불안으로 인해 두근거림 등 증상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베타 차단제를 먹어서 증상 호전이 있었다면 용량과 복용방법에 따라

ㄱ. 증상이 있을 때 먹어서 호전된 것이고 저용량 인데놀을 먹어서 호전되었다면 불안장애의 호전으로 인한 증상해결로 볼 수 있... 더 보기
두 가지 측면을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1. 심실기외수축의 빈도가 매우 높아 실제로 심실박동횟수가 증가한 것이라면, 베타차단제나 칼슘채널차단제 등 치료의 효과를 볼 수도 있습니다.
2. 심실기외수축으로 증상을 겪는 환자들 중 높은 빈도로 이로 인한 불안이 생기고, 이 불안으로 인해 두근거림 등 증상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베타 차단제를 먹어서 증상 호전이 있었다면 용량과 복용방법에 따라

ㄱ. 증상이 있을 때 먹어서 호전된 것이고 저용량 인데놀을 먹어서 호전되었다면 불안장애의 호전으로 인한 증상해결로 볼 수 있고
ㄴ. 규칙적인 고용량 베타 차단제를 복용하여 증상이 호전되었다면 -> 24시간 심전도(= 홀터)를 시행해 실제로 심실기외수축의 빈도가 감소하였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April_fool
아, 지금은 증상이 없지만 증상이 있던 당시(심전도상 증상은 1도 방실차단 정도)에 비소프롤롤을 복용하였더니 증상이 완화되는 경험을 했었습니다. 프로프라놀롤을 먹었던 시기는 문제의 증상이 있던 시기와 일치하지 않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Erzenico
비소프롤롤 1일1회 복용하였다는 말씀이신가요?
아, 근데 말씀하신 걸 보니 '증상이 있어서'라고 하신걸 보니 조기심실수축이라고 진단명이 딱 붙은 상태는 아니셨고
그냥 증상이 있었는데 다른 이유로 비소프롤롤을 복용하게 되신 거군요.
이상박동 증상은 여러가지 이유로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꼭 그게 같은 질환이라거나
꼭 그 약 떄문에 좋아졌다거나 그런게 아닐 수도 있습니다.
April_fool
네. 고혈압 조절용으로 몇 년 전에 비소프롤롤 5 mg.을 다른 약(이르베사르탄 + 히드로클로로티아짓 복합제)과 함께 1일 1회 복용한 적이 있습니다.
Erzenico
그렇군요. 어디까지나 역행성 추론에 불과하지만 제 생각엔 고혈압을 유발한 원인 - 연령대를 모르지만 일차성 고혈압이 흔히 생길 연령대가 아니라고 생각해볼 때 흔한 건 비만으로 인한 이차성 고혈압 - 으로 인한 일시적인 심비대로 심박출량이 증가하면서 이상 박동으로 느꼈을 수도 있겠습니다. 이후 고혈압이 조절되면서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나 하는 의심이 듭니다.
은때까치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아직은 걱정할 단계가 아니라는 말씀이시군요!
Erzenico
네 상세한 홀터결과를 몰라서 뭐라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클리닉에서 그렇게 말씀하셨다면 그렇게 생각해도 좋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질문 게시판 이용 규정 11 토비 15/06/19 25557 4
16942 여행부산 맛집 추천부탁드립니다 2 연구개발 25/08/15 175 0
16941 의료/건강뇌가 짱 쉬는 법 20 + 골든햄스 25/08/15 562 0
16940 여행제주 중문 근처 아기랑 가기 좋은 음식점 3 Xeri 25/08/15 203 0
16938 여행경남 남해 관광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OshiN 25/08/13 417 0
16937 IT/컴퓨터Office 2021에서 자동저장 켤 수 있나요? 6 루루얍 25/08/13 263 0
16936 의료/건강아이가 틱인지 아닌지 구분이 안갑니다. + 상담 좀 6 2025 25/08/12 551 0
16935 기타중고 냉장고 어디서 구매 하면 좋을까요!? 4 닉넴멀루하지 25/08/11 333 0
16934 IT/컴퓨터모니터 HDMI 케이블을 연결했을 때 노트북 상판에 전기가 흐르는 현상? 1 달씨 25/08/11 249 0
16933 댓글잠금 의료/건강마트롤환은 어떤 약인가요 1 [익명] 25/08/11 410 0
16932 체육/스포츠10월 9일까지 10.9km 뛰는 몸 만들기 어느 정도 난이도일까요 28 kaestro 25/08/10 614 0
16931 기타회사에 대한 개인의 의견제시. 할까요 말까요? 11 연구개발 25/08/10 610 1
16930 IT/컴퓨터폴드7용 차량 거치대 어떤 것이 좋을까요? 6 다군 25/08/10 268 0
16929 가정/육아자취를 시작하려는 아는 동생에게 선물 36 kaestro 25/08/09 740 0
16928 기타자소서 표절률이 1 물리물리 25/08/09 469 0
16927 체육/스포츠스마트워치 추천해 주실 수 있을까요? 12 두부곰 25/08/08 512 0
16926 기타세탁기 구매 질문입니다 2 맥주만땅 25/08/07 286 0
16925 기타공주 9/27 1박 숙소 질문드립니다. 8 Omnic 25/08/07 309 0
16924 IT/컴퓨터랩탑 파우치 추천 3 pils 25/08/07 281 0
16923 의료/건강서울 수면클리닉 관련 질문 2 거소 25/08/07 272 0
16922 IT/컴퓨터초등학생 타블렛 따로 써야 할까요 5 Picard 25/08/06 421 0
16921 여행홍콩 환전 필수인가요? 11 Cascade 25/08/05 584 0
16920 IT/컴퓨터갤럭시 폴드 글자크기 질문 있습니다 2 햄볶는돼지 25/08/05 249 0
16919 진로카드 결제 내역 문자가 일부만 보입니다 7 린디합도그 25/08/05 382 0
16918 기타버스기사들은 왜 손님을 덜 태우려고 하는 걸까요 12 영원한초보 25/08/05 82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