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7/06/24 17:04:32 |
Name | 호라타래 |
Subject | 고 1 학생 진학 관련 조언을 구합니다! |
중국에서 온 중도입국 학생에게 멘토링 봉사활동을 하는 중입니다. 이제 한 8개월 정도 되었어요. 학생은 이제 고등학교에 진학해서 막 1학기가 끝나가는 중이예요. 향후 진학 관련해서도 어느 정도 가닥을 잡아주면 좋을 듯해서, 짬을 내서 정보를 찾아보고 있습니다. 안 그래도 학생 어머님이 지난 주에 한국어 능력시험이나, HKS 자격 관련해서 알아봐달라고 부탁을 하시기도 했고요. 학교 선생님들이 학생 어머니에게 권유를 했다고 하더라고요. 고등학교 성적이 나오지 않아서 학생 역량이 어느 정도 되는지는 뚜렷하지 않습니다. 1) 중국에서 중학교 초기까지 보내고 왔기 때문에 중국어 능력은 상당함 2) 어머니가 학생 공부에 관심이 많아서 한국으로 온 이후 학원은 꾸준히 다닌 편 3) 본인이 수학 및 경제, 과학(생물)에 흥미를 느끼고 좋아함 4) 한국어 노출 빈도는 높으나, 아직까지 본인이 한국어 표현이 능숙하지는 않음(말하기/쓰기) 5) 학교 내에서는 중국문화교류 동아리 활동 중 정도의 배경이 있습니다. 일단 제가 큰 틀로 생각해 둔 것은 1학년 때는 1) 한국어 능력 시험을 준비하면서 '시험으로서의 한국어 능력' 역량을 보완 2) HSK를 준비해서 공인인증을 통하여 중국어 능력 증명을 완료 3) 수학에 집중하여 과외를 활용 4) 대학교에서 실시하는 STEAM 프로그램에 참여(방학) 2학년 때는 1) 이과 진학 2) 공학 계통을 1순위로, 경제학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를 2순위로 준비 3) 내신에 집중하면서 진학 계획을 구체화 정도를 잡고 대학 별로 전형을 좀 찾아볼 생각이예요. 학생이 인천에 거주하는지라 인하대나 인천대 정도를 중점으로 두고, 한양대까지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최근 입시 경향이나, 학종 체계 등에 대해 잘 몰라서 그런데 혹시 더 고려해야 할 부분이 있을까요? 0
|
넵. 그 고등학교에서의 입시 결과를 확인해야 합니다. 학교의 백마디보다 그 결과가 더 정확합니다.
교과와 종합을 간단히 말하자면
교과는 내신(성적,즉 등급)만 봅니다. 출결, 봉사시간 같은 다른 요소도 보기는 하는데
무단으로 결석,조퇴,지각 안하고, 1년에 20시간 정도만 봉사시간을 찍으면 성적을 제외한 문제는 없습니다.
수능 최저등급(국어,수학,영어,탐구영역에서 등급합을 봅니다)을 보는 경우와 보지않는 경우가 있는데,
보는 경우에는 그 등급합을 충족해야만 합니다. 못 충족하면 자동 탈락되고요.
위의 대학중 한양대... 더 보기
교과와 종합을 간단히 말하자면
교과는 내신(성적,즉 등급)만 봅니다. 출결, 봉사시간 같은 다른 요소도 보기는 하는데
무단으로 결석,조퇴,지각 안하고, 1년에 20시간 정도만 봉사시간을 찍으면 성적을 제외한 문제는 없습니다.
수능 최저등급(국어,수학,영어,탐구영역에서 등급합을 봅니다)을 보는 경우와 보지않는 경우가 있는데,
보는 경우에는 그 등급합을 충족해야만 합니다. 못 충족하면 자동 탈락되고요.
위의 대학중 한양대... 더 보기
넵. 그 고등학교에서의 입시 결과를 확인해야 합니다. 학교의 백마디보다 그 결과가 더 정확합니다.
교과와 종합을 간단히 말하자면
교과는 내신(성적,즉 등급)만 봅니다. 출결, 봉사시간 같은 다른 요소도 보기는 하는데
무단으로 결석,조퇴,지각 안하고, 1년에 20시간 정도만 봉사시간을 찍으면 성적을 제외한 문제는 없습니다.
수능 최저등급(국어,수학,영어,탐구영역에서 등급합을 봅니다)을 보는 경우와 보지않는 경우가 있는데,
보는 경우에는 그 등급합을 충족해야만 합니다. 못 충족하면 자동 탈락되고요.
위의 대학중 한양대는 보지 않고, 인하대는 2개 과목 합 4등급이하, 인천대는 2개 과목 합 7등급이하 입니다.
종합은 거의 모든 것을 봅니다. 생기부에 있는 건 전부봅니다. (성적, 장래희망, 특기사항, 동아리, 독서까지 전부.)
대학내에서 자체적인 기준에 따라서 채점을 하는데, 그 과정을 잘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성에 논란이 있습니다.
위에서 고등학교 입시결과를 보시라고 한 이유가 그것때문인데, 영 결과가 좋지 않다면 이쪽은 미리 접는 것이 좋습니다.
아, 최저는 위 대학들에서 모두 없습니다.
사실, 고3 여름방학 이전까지는, 그냥 성적(내신)만 최대한 올려놓으면 됩니다.
내신이 영 안좋다면, 미리 정시준비를 해야죠. 고3되서 하면 힘들어요.
교과와 종합을 간단히 말하자면
교과는 내신(성적,즉 등급)만 봅니다. 출결, 봉사시간 같은 다른 요소도 보기는 하는데
무단으로 결석,조퇴,지각 안하고, 1년에 20시간 정도만 봉사시간을 찍으면 성적을 제외한 문제는 없습니다.
수능 최저등급(국어,수학,영어,탐구영역에서 등급합을 봅니다)을 보는 경우와 보지않는 경우가 있는데,
보는 경우에는 그 등급합을 충족해야만 합니다. 못 충족하면 자동 탈락되고요.
위의 대학중 한양대는 보지 않고, 인하대는 2개 과목 합 4등급이하, 인천대는 2개 과목 합 7등급이하 입니다.
종합은 거의 모든 것을 봅니다. 생기부에 있는 건 전부봅니다. (성적, 장래희망, 특기사항, 동아리, 독서까지 전부.)
대학내에서 자체적인 기준에 따라서 채점을 하는데, 그 과정을 잘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성에 논란이 있습니다.
위에서 고등학교 입시결과를 보시라고 한 이유가 그것때문인데, 영 결과가 좋지 않다면 이쪽은 미리 접는 것이 좋습니다.
아, 최저는 위 대학들에서 모두 없습니다.
사실, 고3 여름방학 이전까지는, 그냥 성적(내신)만 최대한 올려놓으면 됩니다.
내신이 영 안좋다면, 미리 정시준비를 해야죠. 고3되서 하면 힘들어요.
중국어 능력을 살리고 싶으면 학종에 중점을 두고 중국어 능력이 내가 원하는 전공/진로에 도움이 되는 면을 자소서에 부각하는게 좋을 것 같긴 한데... 제 일본어를 원어민급으로 잘하는 공대 친구는 결국에 전공 속에서 일본어 능력을 살릴 길을 못찾더라구요. 쉽지 않은듯ㅋㅋ... 외대 공대도 뭔가 학과 소개에 외대만의 특색을 합쳐 써놨겠지 기대하고 확인해봤는데 아니네요... 공대쪽은 잘 모르겠는데 제가 알기로 바이오/제약쪽은 기본 언어가 영어고 제2외국어가 필요할 때는 사업개발 쪽에서 중국 상품을 들여와야 하거나 중국에 특허내거나 할 때...? 그 때도 대부분 영어로 가능하니까 사실상 별 의미가 없는 것 같았어요. 제 친구중에 엄마가 중국어 선생님이라 유난히 중국어만 잘해서 내신대비 훨씬 좋은 학교 중국어과에 간 사례는 있긴 한데 몇년 지난 일이라 지금은 어떨지 잘 모르겠네요...
역시 한양대 이야기인데요, 거기 몇 년 전부터 학종에 내신을 안 봅니다. 가끔 으마으마한 포텐의 복권처럼 작용하는 경우가 있어서요... 수시 여섯 장 중에 걍 던져볼 한 장으로 유용합니다. 본인이 학교에서 스펙이 빵빵하다면..
기본적으로 내신이든 정시든 준비를 잘하면 잘 간다는 게 당연한 이야기인데요...
저 개인적인 생각은, 교과든 종합이든 학교가 그간 쌓아온 이미지나 클라스에 너무 좌우되는 면이 있습니다. 내신 x점대라고 무조건 합격한다는 보장이 있는 것도 아니구요. 모의고사 성적을 미니멈으로 좀 깔아야 합니다.. 아무리 정시 퍼센테이지가 적다 해도 학생이 혼자 힘으로 무쌍 찍을 수 있는 건 정시밖에 없어요.
기본적으로 내신이든 정시든 준비를 잘하면 잘 간다는 게 당연한 이야기인데요...
저 개인적인 생각은, 교과든 종합이든 학교가 그간 쌓아온 이미지나 클라스에 너무 좌우되는 면이 있습니다. 내신 x점대라고 무조건 합격한다는 보장이 있는 것도 아니구요. 모의고사 성적을 미니멈으로 좀 깔아야 합니다.. 아무리 정시 퍼센테이지가 적다 해도 학생이 혼자 힘으로 무쌍 찍을 수 있는 건 정시밖에 없어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