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7/02/20 18:36:39 |
Name | 사나남편 |
Subject | 첫째가 콧물 흘려서 병원 갔다왔습니다.(해결) |
소아과에서 감기로 항생제가 포함된 약을 처방 받앗는데요...집사람이 항생제는 세균성염증에 직용한다고 감기는 바이러스 성이라 상관 없다고 합니다. 감기에 항생제가 아닌게 아닐건데...마누라 생물학과 나와서 밀리네요...유부남들이여...저에게 마누라랑 베틀뜰 지식을 주세요~ 졌습니다...ㅠㅠ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사나남편님의 최근 게시물
|
바이러스가 혼자 오는게 아니라서요.
아이 둘 키우고 있는데 바이러스성 감기 이겨내는 것도 어느 정도 커야지 어릴 때에는 그 바이러스성 감기가 끌고오는 세균성 질환 때문에 엄청 고생합니다. 물론 아이 by 아이지만요.
저희 첫째는 한 스텝 약을 먼저 지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코를 좀 훌쩍인다 싶으면 예상되는 항생제보다 한스텝 뒤의 강한 항생제를 그날 지어먹지 않으면 뒤쫓아가기기 버거워질 정도로 급속도로 심해집니다. 항생제 내성이 생긴건 아니고요. 첫째를 봐주시던 주치의 선생님께서도 처음엔 거의 항생제 처방을 안주셨는데 몇... 더 보기
아이 둘 키우고 있는데 바이러스성 감기 이겨내는 것도 어느 정도 커야지 어릴 때에는 그 바이러스성 감기가 끌고오는 세균성 질환 때문에 엄청 고생합니다. 물론 아이 by 아이지만요.
저희 첫째는 한 스텝 약을 먼저 지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코를 좀 훌쩍인다 싶으면 예상되는 항생제보다 한스텝 뒤의 강한 항생제를 그날 지어먹지 않으면 뒤쫓아가기기 버거워질 정도로 급속도로 심해집니다. 항생제 내성이 생긴건 아니고요. 첫째를 봐주시던 주치의 선생님께서도 처음엔 거의 항생제 처방을 안주셨는데 몇... 더 보기
바이러스가 혼자 오는게 아니라서요.
아이 둘 키우고 있는데 바이러스성 감기 이겨내는 것도 어느 정도 커야지 어릴 때에는 그 바이러스성 감기가 끌고오는 세균성 질환 때문에 엄청 고생합니다. 물론 아이 by 아이지만요.
저희 첫째는 한 스텝 약을 먼저 지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코를 좀 훌쩍인다 싶으면 예상되는 항생제보다 한스텝 뒤의 강한 항생제를 그날 지어먹지 않으면 뒤쫓아가기기 버거워질 정도로 급속도로 심해집니다. 항생제 내성이 생긴건 아니고요. 첫째를 봐주시던 주치의 선생님께서도 처음엔 거의 항생제 처방을 안주셨는데 몇 달 겪어보시더니 첫째는 진행이 워낙 빠르니 한 발 먼저 지어야 한다며 약을 좀 강하게 지어주십니다.
대신 장쪽 질병은 그냥 혼자 잘 이겨냅니다.
반대로 둘째는 면역력이 강한 편이라 누나가 독감에 걸리고 폐렴이 올랑말랑 하고 그래도 콧물 좀 흘리면서 튕겨내고 어지간한 중이염이나 축농증은 혼자 이겨내버려서 항생제 처방이 거의 안나옵니다. 대신 얘는 장이 예민한지 장쪽 질환이 오면 약을 한 스텝 먼저 써야 합니다.
고로 어떤 것도 정답이라고 쉽게 이야기 할 수 없습니다.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나 같은 것을 먹으며 같은 환경에서 자라는 남매도 이렇게 양상이 다른데요.
그리고 위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유소아 감기는 축농증이나 중이염으로 진행되기 쉬운데 이게 재발이 엄청 심해서 한 번 심하게 앓으면 그다음부턴 진짜 헬입니다...
스테로이드 같은것도 부모님들이 다들 꺼려하시는데, 애가 죽을거같이 기침하고 토하다가도 풀미코트같은거 처방 받아서 밤에 쌔근쌔근 잘 자면 네블라이저가 아주 신입니다 신.
의약이 만능은 아니지만 아이 키우다 보니 필요한 약을 필요할 때에 잘 쓰는게 아이의 성장에 훨씬 도움이 된다는걸 깨닫습니다. 애들이 한 번 아프기 시작하면 성장속도 꺾이는게 눈에 보일 지경입니다. 물론 안아플 때 회복은 어느 정도 하지만서도 키 팍팍 크고 몸무게 팍팍 늘다가 아파서 그 속도가 꺾이면 부모 입장에선 마음이 너무 아픕니다.
아참. 저도 생명공학 전공입니다.
아이 둘 키우고 있는데 바이러스성 감기 이겨내는 것도 어느 정도 커야지 어릴 때에는 그 바이러스성 감기가 끌고오는 세균성 질환 때문에 엄청 고생합니다. 물론 아이 by 아이지만요.
저희 첫째는 한 스텝 약을 먼저 지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코를 좀 훌쩍인다 싶으면 예상되는 항생제보다 한스텝 뒤의 강한 항생제를 그날 지어먹지 않으면 뒤쫓아가기기 버거워질 정도로 급속도로 심해집니다. 항생제 내성이 생긴건 아니고요. 첫째를 봐주시던 주치의 선생님께서도 처음엔 거의 항생제 처방을 안주셨는데 몇 달 겪어보시더니 첫째는 진행이 워낙 빠르니 한 발 먼저 지어야 한다며 약을 좀 강하게 지어주십니다.
대신 장쪽 질병은 그냥 혼자 잘 이겨냅니다.
반대로 둘째는 면역력이 강한 편이라 누나가 독감에 걸리고 폐렴이 올랑말랑 하고 그래도 콧물 좀 흘리면서 튕겨내고 어지간한 중이염이나 축농증은 혼자 이겨내버려서 항생제 처방이 거의 안나옵니다. 대신 얘는 장이 예민한지 장쪽 질환이 오면 약을 한 스텝 먼저 써야 합니다.
고로 어떤 것도 정답이라고 쉽게 이야기 할 수 없습니다.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나 같은 것을 먹으며 같은 환경에서 자라는 남매도 이렇게 양상이 다른데요.
그리고 위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유소아 감기는 축농증이나 중이염으로 진행되기 쉬운데 이게 재발이 엄청 심해서 한 번 심하게 앓으면 그다음부턴 진짜 헬입니다...
스테로이드 같은것도 부모님들이 다들 꺼려하시는데, 애가 죽을거같이 기침하고 토하다가도 풀미코트같은거 처방 받아서 밤에 쌔근쌔근 잘 자면 네블라이저가 아주 신입니다 신.
의약이 만능은 아니지만 아이 키우다 보니 필요한 약을 필요할 때에 잘 쓰는게 아이의 성장에 훨씬 도움이 된다는걸 깨닫습니다. 애들이 한 번 아프기 시작하면 성장속도 꺾이는게 눈에 보일 지경입니다. 물론 안아플 때 회복은 어느 정도 하지만서도 키 팍팍 크고 몸무게 팍팍 늘다가 아파서 그 속도가 꺾이면 부모 입장에선 마음이 너무 아픕니다.
아참. 저도 생명공학 전공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