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7/01/21 09:35:12
Name   지와타네호
Subject   지금까지 했던 삶의 선택들이 잘못되었다고 느껴질 때?
제목은 저렇게 썼지만 인생을 잘못 살았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살면서 다른 사람한테 피해 준적 없고 좋은 친구들도 있고

좋은 부모님도 있고 먹고싶은거 다 사먹진 못해도 근근히 먹고살 직업은 가지게 되었는데

요즘들어 지금까지 살면서 했던 선택에 회의감이 드네요.

저는 기본적으로 변화를 굉장히 싫어하고 그냥저냥 현실에 안주하는 성격입니다.

그런 성격탓인지 20대 중후반밖에 안됐지만 굉장히 안전제일주의적으로, 설렁설렁 살았습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사소하지만 다음과 같은 것들에 대해 옳은 선택을 한 것인가 하는 아쉬움이 떠나질 않습니다.

중학교 때 해외 유학을 갈수 있었지만 가지 않은 것,

서울대 뺨치는 의대를 나온 분들이 많은 의료넷에서는 별로 의미도 없겠지만 ^^;; 고등학교때 머리만 믿고 공부하지 않은 것,

그러고 결국 수능을 망쳤을 때 정신 차리고 재수하지 않은 것,

재수하지 않고 갔던 대학도 남들이  '공부 열심히 했네' 할 정도였음에도 대학 못갔다는 자괴감에 대충 살았던 것,

부모님, 친구들 다 아직 어리니까 행시든, 7급이든 준비하라고 했을 때 9급으로 만족한다고 했던 것...

이렇게 써놓고 보니 그렇게 잘못된 것도 아니고 정말 사소한 일이라는 생각도 들지만 뭔가 제가 인생을 살면서 쌓아온

저 사소한 일들이 쌓여 삶의 방향이 많이 틀어진 것은 것은 아닐까? 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제 주변 환경 때문에 저런 선택들을 하게 된 것이라면 정신승리라도 해보겠는데 부모님도 다른 거라면 몰라도 공부에

관한 건 돈 걱정하지 말고 다 해보라고 하셨던 분들이고 제 형제가 지금 미국에서 부모님 지원 전혀 없이 박사학위 따러 간

상황이라 정신 승리할 건덕지도 없습니다. 타고난 머리라는 점에서도 역시 의료넷에서는 부끄럽지만 최상은 아니더라도 정말

필요한 게 있을 때 머리가 모자라서 못하지는 않겠구나 라고 생각하면서 살았구요.

그런데 결국 제가 9급 공무원을 선택한 것이 제 안전제일주의적인 성향 때문이 아니라,

아직 나이도 어리고 행시든 7급이든 2년, 3년 실패하더라도 분명히 제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위험임에도

불구하고 그냥 게임 할거 다 하고, 자고싶은만큼 다 자면서도 단기 합격이 가능했던 9급을 선택했다는 것이 그냥

노력을 하기 싫었던 인간의 변명이 아닐까 하는 자괴감이 듭니다.

결론은 선택 하나하나는 큰 잘못됨이 아닌데 그것들이 모여서 크게 잘못되었다고 느낄 때 어떻게 해야 마음의 안정을 얻을 수 있을까요?



2


다람쥐
저는 그럴때 아직 20대 중후반이고 인생 긴데 설령 좀 잘못갔더라도 바로잡을 기회 많다고 생각하시고 (이건 사실이라고 생각해요 전 30대 초중반인데도 아직 젊다 생각하는걸요) 그리고 그때 그런 선택을 했어도 다른 후회를 하고 있는 날 상상하며 지금 상황에 만족하도록 해 보세요
예를 들어 중학교때 외국유학가서 돈은 엄청 썼지만 어차피 공무원이되었으니 필요도 없었네 그돈으로 저금이나 할걸 형이랑 비교만 되네/ 공부는 열라 해서 스트레스 개받고 사교육비도 썼는데도 의대 못갔네 결국 공무원할거 뭐하러 그고생했나 난 머리는 좋은줄알았는데 엉엉/ 아 그냥 9급봐서 빨리 붙을걸 괜히 7급보느라 2년 더 고시생활했어 ㅠㅠㅠ 9급본다음에 또 7급봐도되는걸 바보바보
이런 가능성에 초점을 두시고 지금이 제일 행복하다고 생각하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어떤 인생을 살아도 가지 않은 길에 대한 후회와 아쉬움은 늘 안고 가는 법이죠.
과거에 선택하지 않은 그 길을 갔다면 그 길 위에서 또 다른 후회가 반드시 생깁니다. 좀 다른 형태로 다가올 뿐이죠.
인생..그런 거죠 뭐..
아쉬움이 무뎌질 때 안정을 찾을 겁니다.
레지엔
장기적으로 우리 모두는 죽는다는 말을 떠올려봅니다.
지금 가진 패로 뭘 할지를 고민해야죠. 과거의 플레이를 곱씹어서 좋을 게 있나요?
러셀의 "행복의 정복" 안 읽어보셨다면 일독 권해드려요.
삼공파일
지금 생각해보면 열심히 하지 않았다는 것이야말로 핑계 중에 가장 비겁한 핑계인 것 같아요. 비겁하다는 것이 잘못했다는 말은 아닙니다. 그저 무언가 인정하고 싶지 않고 인정했다가는 내 자신이 무너질까봐 애써 모르는 척하는 것이죠.

드라마 [미생] 대사가 생각이 나네요.

"
그래서 난 그냥 열심히 하지 않은 편이어야 한다.
열심히 안 한 것은 아니지만 열심히 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하겠다.
난 열심히 하지 않아서 세상에 나온거다.
난 열심히 하지 않아서 버려진 것 뿐이다.
"
... 더 보기
지금 생각해보면 열심히 하지 않았다는 것이야말로 핑계 중에 가장 비겁한 핑계인 것 같아요. 비겁하다는 것이 잘못했다는 말은 아닙니다. 그저 무언가 인정하고 싶지 않고 인정했다가는 내 자신이 무너질까봐 애써 모르는 척하는 것이죠.

드라마 [미생] 대사가 생각이 나네요.

"
그래서 난 그냥 열심히 하지 않은 편이어야 한다.
열심히 안 한 것은 아니지만 열심히 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하겠다.
난 열심히 하지 않아서 세상에 나온거다.
난 열심히 하지 않아서 버려진 것 뿐이다.
"

재능이 없어서, 머리가 나빠서, 부모를 잘못 만나서, 돈이 없어서, 여기까지 밖에 못 왔다고 생각하면, 지금의 내 모습이 최선이었다고 인정해버리면, 앞으로 세상을 살아갈 동력을 잃어버릴 수 밖에 없겠지요.

인정하면 고통의 굴레에서 빠져나올 수 있어요. 그것만이 [마음의 안정]을 얻을 수 있는 길입니다. 하지만 글쓴분은 그것을 원하지 않으시는 것 같아요. 인정하지 않고 난 원래 더 노력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실거면 지금부터 노력하고 모험을 하시면 됩니다. 그렇지 않고 내가 상상하는 나와 내 현실의 차이를 좁히지 못하면 그저 그대로 이렇게 자존감을 붙들기 위해서 정신적 고통을 조금 감내하면 되고요.
사나남편
잘못된 선택또한 나의 선택이것입니다...인생 거창하게 뭐있는줄알았는데 아니더라고요. 하루하루 걍 지냅니다. 뭐 어찌되겠지요. 하루 하루 기쁘고 슬프고 화나고 짜증나고 하면서 사는거죠.
음...과거에 2등이었어도 편하게 잘 보내신것 같아요. 꼭 1등일 필요없지 않나요? 하지만 앞으로는 경쟁도하고 실패를 하더라도 부딪혀보고 싶다는 본인의 컴포트존에서 나오실려고 하는듯 싶어요. 결정을 내리시든지 아니면 편하게 가늘고 길게 가는 방법도 나쁘진 않은듯....
파란아게하
인생 길어요.
생각하는대로 결정해서 사시면 되용.
dOnAsOnG
안정지향으로 사는게 나쁘다곤 생각안해요.
다른 선택을 했더라면 또 그만큼의 기회비용을 지불해야한다 생각해서요.
법륜스님인지 누군가 했던말이 생각나네요.
세상 어떤 동물도 열심히살아야지 하고 사는 동물은 없다고요. 인간만 그런다네요.
자연스럽게 살면 될거같아요.
푸른발가마우지
그래서 선택의 기로에 서면 정말 최대한 따져보고 고민해서 선택합니다. 지나고 보면 결과론적으로는 잘못된 선택이 될 수도 있지만, '그 때는 그게 최선이었다' 는 것이 다시 앞으로 나갈 원동력이 되는 것 같네요.
정말 본문이 제가 쓴 글인 것 처럼 놀랍네요.. 혹시 지금 어떻게 지내고 계신가요 ?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184 문화/예술퇴근했습니다. 다운받아 볼 영화 추천해주세요 21 다람쥐 17/01/26 4633 2
2152 진로지금까지 했던 삶의 선택들이 잘못되었다고 느껴질 때? 11 지와타네호 17/01/21 7461 2
1866 진로31살 석사 어떻게 생각 하십니까. 22 legrand 16/12/05 6459 2
1396 진로대학원생 흔할?수도 있는 고민 3 The truth 16/08/09 5297 2
1099 체육/스포츠한화로 인해 고통받는 남편을 둔 아내입니다 36 엄마곰도 귀엽다 16/05/22 5012 2
841 의료/건강어제 목욕탕 가서 거울을 보는데 왠 이상한 아재하나가 서 있어요!! 29 Realise 16/02/18 5823 2
587 문화/예술[초속 5센티미터]가 전하는 첫사랑의 메세지 17 뤼야 15/12/10 5351 2
17 의료/건강두통 질문입니다 2 징크스 15/06/01 7713 2
16606 여행일본 여행하려면 준비해야할 것은 무엇인가요? 29 맥주만땅 25/03/12 804 1
16551 기타30대 솔로 직장인 분들은 퇴근하고 뭐하시나요? 30 블리츠 25/02/18 1089 1
16546 기타자취생이 쓸만한 책상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9 Broccoli 25/02/17 509 1
16521 기타또 한 번의 위헌적이지만 완벽한 계엄은 가능할까요? 10 호미밭의파스꾼 25/02/10 785 1
16520 여행인천공항 1터미널 40번게이트 <-> 동편 면세 인도장 거리?? 9 Groot 25/02/10 570 1
16510 기타신입사원에게 줄 선물 추천 받아요 19 soulless 25/02/06 774 1
16505 가정/육아미국내 안 유명한 지역들 중에 추천해주세요 (보기 있음) 6 열한시육분 25/02/05 640 1
16470 기타슬로건 디자인이 필요합니다 13 빈둥 25/01/19 950 1
16458 경제경제학도 선생님들 질문입니다. 16 Mandarin 25/01/15 755 1
16453 기타제목 붙이기 애매한 질문 4 호미밭의파스꾼 25/01/10 907 1
16444 게임게임 고수님들 게임 추천부탁드립니다.. 51 Mandarin 25/01/08 955 1
16339 여행푸꾸옥 여행 숙소/항공 팁? 9 마술사 24/11/29 985 1
16346 법률딸배헌터식 장애인주차표지 부정사용 신고 및 고발 방법? 5 Groot 24/12/02 1414 1
16564 게임좋은 미연시 있을까요 19 골든햄스 25/02/21 866 1
16318 기타스스로를 바꾸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직장인 공부) 18 눈사람 24/11/24 1220 1
16297 기타밀도 있게 일하는 법은 무엇일까요? 3 데굴데굴 24/11/18 1017 1
16169 여행10/01 오후에 설악산을 갈까 하는데 짧고 사람 덜있는 코스 있을까요? 8 아재 24/09/28 1088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