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6/09/08 11:48:20 |
Name | ![]() |
Subject | 핸드폰 카메라 렌즈가 두개면 어떤 효과가 있나요? |
아이폰7에 카메라 렌즈가 두개 달린다고 해서 궁금함이 생겼습니다. 사람은 눈이 두개라서 공간을 좀 더 입체적으로 인지할 수 있잖아요? 두 눈의 촛점을 가까운 물체에 집중함으로서 매직아이 하듯이 배경의 상을 두개로 만들어 버릴 수도 있고... 카메라가 2개면 촬영하는 것에서도 그런 심도 표현이 더 가능해지는 걸까요? 하나일 때에 비해서 아웃포커싱이 기깔나게 된다던지...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Toby님의 최근 게시물 |
- 렌즈가 두 개면 사실 3D를 찍을 수 있습니다. 어... 소니 캠코더중에 쌍안경... 같이 생긴게 있는데 3D 촬영이 됩니다.
- 사실 보케(아웃포커싱)은 렌즈 두 개랑은 별로 상관 없을거 같습니다. f 값이 낮아서 심도가 얕거나 아니면 망원을 쓰면 (카메라-피사체-배경의 거리 차이로 인해 발생) 됩니당.
폰카나 똑딱이도 피사체에 최대한 가까이 붙어서 배경을 멀리하고 찍으면 아웃포커싱이 되긴 합니다.
- 아이폰 7+의 카메라 두 개... 는 광각~망원을 렌즈 하나짜리로는 (스마트폰 수준에서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 더 보기
- 사실 보케(아웃포커싱)은 렌즈 두 개랑은 별로 상관 없을거 같습니다. f 값이 낮아서 심도가 얕거나 아니면 망원을 쓰면 (카메라-피사체-배경의 거리 차이로 인해 발생) 됩니당.
폰카나 똑딱이도 피사체에 최대한 가까이 붙어서 배경을 멀리하고 찍으면 아웃포커싱이 되긴 합니다.
- 아이폰 7+의 카메라 두 개... 는 광각~망원을 렌즈 하나짜리로는 (스마트폰 수준에서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 더 보기
- 렌즈가 두 개면 사실 3D를 찍을 수 있습니다. 어... 소니 캠코더중에 쌍안경... 같이 생긴게 있는데 3D 촬영이 됩니다.
- 사실 보케(아웃포커싱)은 렌즈 두 개랑은 별로 상관 없을거 같습니다. f 값이 낮아서 심도가 얕거나 아니면 망원을 쓰면 (카메라-피사체-배경의 거리 차이로 인해 발생) 됩니당.
폰카나 똑딱이도 피사체에 최대한 가까이 붙어서 배경을 멀리하고 찍으면 아웃포커싱이 되긴 합니다.
- 아이폰 7+의 카메라 두 개... 는 광각~망원을 렌즈 하나짜리로는 (스마트폰 수준에서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어서) 커버할 수가 없으니, 광각~망원을 커버해보고자 그런 짓(...) 을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당. 그래서 동일한 렌즈가 아니고 각각 다른 렌즈(와이드앵글 + 망원의 조합)라서 아마 3D 촬영은 안될겁니다.
- 어.. 아웃포커싱을 소프트웨어 적으로 할 수 있을거 같기도 합니다. 빠르게 두 장을 찍는데, 한 장은 초점을 맞춰서, 다른 한장은 초점을 흐려서 찍고 초점을 맞춘 사진 쪽에서 초점을 맞춘 대상 (사람, 사물)을 초점을 흐린 사진에 합성 (.....) 합면 되긴 합니다.
- 사실 보케(아웃포커싱)은 렌즈 두 개랑은 별로 상관 없을거 같습니다. f 값이 낮아서 심도가 얕거나 아니면 망원을 쓰면 (카메라-피사체-배경의 거리 차이로 인해 발생) 됩니당.
폰카나 똑딱이도 피사체에 최대한 가까이 붙어서 배경을 멀리하고 찍으면 아웃포커싱이 되긴 합니다.
- 아이폰 7+의 카메라 두 개... 는 광각~망원을 렌즈 하나짜리로는 (스마트폰 수준에서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어서) 커버할 수가 없으니, 광각~망원을 커버해보고자 그런 짓(...) 을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당. 그래서 동일한 렌즈가 아니고 각각 다른 렌즈(와이드앵글 + 망원의 조합)라서 아마 3D 촬영은 안될겁니다.
- 어.. 아웃포커싱을 소프트웨어 적으로 할 수 있을거 같기도 합니다. 빠르게 두 장을 찍는데, 한 장은 초점을 맞춰서, 다른 한장은 초점을 흐려서 찍고 초점을 맞춘 사진 쪽에서 초점을 맞춘 대상 (사람, 사물)을 초점을 흐린 사진에 합성 (.....) 합면 되긴 합니다.
2개로 시도할 수 있는 내용이 많긴할텐데
첫번째, 광학 줌이 가능하다.
하나는 초점거리가 35mm기준으로 28mm(예시입니다.), 50mm면 흔히들 얘기하는 광학줌 2x가 되겠죠.
두번째,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
카메라 렌즈가 2개가 되면 받아들이는 이미지가 2개가 되고 그 두 개의 이미지로 거리측정이 가능합니다.
이걸로 아웃포커싱 흉내도 낼 수 있겠고 거리측정이 가능해지면서 뭔가 다르게 적용될 여지가 많겠죠.
세번째, (두번째랑 좀 겹치긴 하겠지만) 3D촬영이 가능하다.
요건 위에서 여러 분들이 설명해주셨... 더 보기
첫번째, 광학 줌이 가능하다.
하나는 초점거리가 35mm기준으로 28mm(예시입니다.), 50mm면 흔히들 얘기하는 광학줌 2x가 되겠죠.
두번째,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
카메라 렌즈가 2개가 되면 받아들이는 이미지가 2개가 되고 그 두 개의 이미지로 거리측정이 가능합니다.
이걸로 아웃포커싱 흉내도 낼 수 있겠고 거리측정이 가능해지면서 뭔가 다르게 적용될 여지가 많겠죠.
세번째, (두번째랑 좀 겹치긴 하겠지만) 3D촬영이 가능하다.
요건 위에서 여러 분들이 설명해주셨... 더 보기
2개로 시도할 수 있는 내용이 많긴할텐데
첫번째, 광학 줌이 가능하다.
하나는 초점거리가 35mm기준으로 28mm(예시입니다.), 50mm면 흔히들 얘기하는 광학줌 2x가 되겠죠.
두번째,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
카메라 렌즈가 2개가 되면 받아들이는 이미지가 2개가 되고 그 두 개의 이미지로 거리측정이 가능합니다.
이걸로 아웃포커싱 흉내도 낼 수 있겠고 거리측정이 가능해지면서 뭔가 다르게 적용될 여지가 많겠죠.
세번째, (두번째랑 좀 겹치긴 하겠지만) 3D촬영이 가능하다.
요건 위에서 여러 분들이 설명해주셨으니..
그리고 덧붙이자면, 아웃포커스같은 형태의 흉내를 내려면
렌즈 구경이나, 센서 크기, 피사체와의 거리가 모두 중요한데,
핸드폰 카메라로 dslr급을 구현하기엔 렌즈구경, 센서크기가 따라가지 못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 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구현은 아마 앞으로도 힘들거에요.
첫번째, 광학 줌이 가능하다.
하나는 초점거리가 35mm기준으로 28mm(예시입니다.), 50mm면 흔히들 얘기하는 광학줌 2x가 되겠죠.
두번째,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
카메라 렌즈가 2개가 되면 받아들이는 이미지가 2개가 되고 그 두 개의 이미지로 거리측정이 가능합니다.
이걸로 아웃포커싱 흉내도 낼 수 있겠고 거리측정이 가능해지면서 뭔가 다르게 적용될 여지가 많겠죠.
세번째, (두번째랑 좀 겹치긴 하겠지만) 3D촬영이 가능하다.
요건 위에서 여러 분들이 설명해주셨으니..
그리고 덧붙이자면, 아웃포커스같은 형태의 흉내를 내려면
렌즈 구경이나, 센서 크기, 피사체와의 거리가 모두 중요한데,
핸드폰 카메라로 dslr급을 구현하기엔 렌즈구경, 센서크기가 따라가지 못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 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구현은 아마 앞으로도 힘들거에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