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3/06/06 12:34:45 |
Name | ![]() |
Subject | 보육원 봉사활동시 자녀 참여 여부 |
안녕하세요. 머릿속에 있는 계획들을 실행하고자 하는데 경험이 없어 경험이 있으신 다른 분들의 조언을 얻고자 질문드립니다. 근처 보육원에 개인 자격으로 봉사활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저는 주로 노동법이나 수학 쪽으로 청소년 자립준비청년 강의 및 학습보조가 주가 될거 같고, 와이프는 처녀때부터 해온 경험이 있어서 이런저런 본인의 분야를 알아서 정하고 있습니다. 원래는 신혼때부터 생각은 하고 있었는데 어찌저찌 하다보니 아이도 키우고 하다보니 지금까지 미뤄왔는데.. 아이도 이제 어느정도 크고 하여 같이 다녀볼까 합니다. 문제는 아이가 아직 만 6세라.. 집에 놓고 다니기는 아직 무리고, 그렇다고 같이 다니자니 무언가 껄쩍지근한 부분이 있습니다. 1. 아이가 동행할 경우 보육원 아이들에게 부정적인 인상이 들지는 않을지? 2. 아이에게 보육원 봉사에 대해서 어떤 식으로 이해시켜 주시는지? 개인적으로 동정의 시선으로 접근하지 않았으면 하는데요. 행정적인 부분이야 어른들끼리 조율하면 되는데.. 아이들을 대하는 데에는 역시 조심스런 부분이 있습니다. 고견 미리 감사드립니다. 0
|
저는 중학생 때 고아원에 친구들과 용돈 모아 선물 주고 봉사활동하려니까 고아원에서 거절하셨어요. 상대적 박탈감이 커서 오히려 상처라구요. 그래서 선물만 부모님 편에 드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일회성이라 더 그랬을 건데, 지금 상황은 지속적으로 꾸준히 하신다는 것이니 조금 다를 순 있겠네요.
상상을 해보자면, 청소년/자립준비청년이면 선생님 자녀 분과 나이차가 아주 많이 날 테니 조카 보는 느낌으로 가능하지 않을까 행복회로를 돌려 보겠습니다만. 이건 어디까지나 교육대상인 학생들이 피해의식 없이 성숙한 마음가짐일 때 가능한 것이라, 교... 더 보기
상상을 해보자면, 청소년/자립준비청년이면 선생님 자녀 분과 나이차가 아주 많이 날 테니 조카 보는 느낌으로 가능하지 않을까 행복회로를 돌려 보겠습니다만. 이건 어디까지나 교육대상인 학생들이 피해의식 없이 성숙한 마음가짐일 때 가능한 것이라, 교... 더 보기
저는 중학생 때 고아원에 친구들과 용돈 모아 선물 주고 봉사활동하려니까 고아원에서 거절하셨어요. 상대적 박탈감이 커서 오히려 상처라구요. 그래서 선물만 부모님 편에 드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일회성이라 더 그랬을 건데, 지금 상황은 지속적으로 꾸준히 하신다는 것이니 조금 다를 순 있겠네요.
상상을 해보자면, 청소년/자립준비청년이면 선생님 자녀 분과 나이차가 아주 많이 날 테니 조카 보는 느낌으로 가능하지 않을까 행복회로를 돌려 보겠습니다만. 이건 어디까지나 교육대상인 학생들이 피해의식 없이 성숙한 마음가짐일 때 가능한 것이라, 교육 대상을 돌보시는 사회복지사 님께 상황을 여쭈어보는 게 더 정확할 것 같습니다.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기엔 식견이 짧을 뿐더러, 성장과정에서 겪었을 마음의 상처를 낫게 하는 건 쉽지 않아서 더 어렵네요.
다만 자녀 분의 경우, 6세이기도 하고 나이차가 많을 테니, 그냥 놀아주는 삼촌/이모, 형/누나가 생긴다는 느낌으로, 삼촌/이모 집에 놀러간다는 느낌으로 가야 더 긍정적인 경험이 될 것 같습니다.
얄팍한 방법이지만, 몰래 교육대상 학생들에게 용돈이나 간식을 개인적으로 주면서, 자녀 분에게도 그중 하나씩 주고 친하게 지내주길 부탁할 순 있겠네요. 보드게임 같은 걸로 보모처럼 잠깐만 봐달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겠구요. 개인적 선물이 가능한지 시스템적으로 잘 모르겠습니다만... 이것도 상처가 되려면 상처가 될 수 있지만, 반대로 정적 강화가 되려면 될 수 있니까요. ... 결국 받아들이는 학생들의 마음가짐에 달린 문제라 저라면 아까 썼던 대로, 해당 학생들이 피해의식 없이 상처 없이 받아들이는 마음가짐인지 부터 먼저 확인해 보겠습니다.
상상을 해보자면, 청소년/자립준비청년이면 선생님 자녀 분과 나이차가 아주 많이 날 테니 조카 보는 느낌으로 가능하지 않을까 행복회로를 돌려 보겠습니다만. 이건 어디까지나 교육대상인 학생들이 피해의식 없이 성숙한 마음가짐일 때 가능한 것이라, 교육 대상을 돌보시는 사회복지사 님께 상황을 여쭈어보는 게 더 정확할 것 같습니다.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기엔 식견이 짧을 뿐더러, 성장과정에서 겪었을 마음의 상처를 낫게 하는 건 쉽지 않아서 더 어렵네요.
다만 자녀 분의 경우, 6세이기도 하고 나이차가 많을 테니, 그냥 놀아주는 삼촌/이모, 형/누나가 생긴다는 느낌으로, 삼촌/이모 집에 놀러간다는 느낌으로 가야 더 긍정적인 경험이 될 것 같습니다.
얄팍한 방법이지만, 몰래 교육대상 학생들에게 용돈이나 간식을 개인적으로 주면서, 자녀 분에게도 그중 하나씩 주고 친하게 지내주길 부탁할 순 있겠네요. 보드게임 같은 걸로 보모처럼 잠깐만 봐달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겠구요. 개인적 선물이 가능한지 시스템적으로 잘 모르겠습니다만... 이것도 상처가 되려면 상처가 될 수 있지만, 반대로 정적 강화가 되려면 될 수 있니까요. ... 결국 받아들이는 학생들의 마음가짐에 달린 문제라 저라면 아까 썼던 대로, 해당 학생들이 피해의식 없이 상처 없이 받아들이는 마음가짐인지 부터 먼저 확인해 보겠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