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3/06/05 21:08:31
Name   컴퓨터청년
Subject   경제학과와 기계공학과 중 어떤 학과가 수학을 더 많이 쓸까요?
친척이 경제학과 출신이라 그분 댁에 경제학 전공 대학서적이 있었는데, 수학책인지 경제학책인지 구분을 못하겠더군요.

역시 사회과학 계열 중 수학을 가장 많이 쓰는 학과답다고나 할까요?


그렇다면... (학부 기준으로) 경제학과와 기계공학과 중 어떤 학과가 수학을 더 많이 쓸까요? (왜 기계공학과를 비교의 예로 들었냐면... 공대 학과 중 수학과 물리학을 가장 많이 쓰는 학과가 기계공학과라고 들은 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0


우연한봄
빈도나 의존도를 감히 평가는 못하겠지만
경제는 과학적 근거와 분석, 예측을 위해서 수학이 같이 다니지만 심리학적 기법도 있습니다.
다른 사회과학들이 그렇듯.

그러나 공대는 심리학적 기법이 보다 제한적이지 않을까.
공대 구석구석을 겪지 못해봤으니 이정도만 생각해봅니다.
1
많이쓴다는 질문은 솔직히 애매하구요,
얼마나 깊은수준까지 쓰냐고 물어본다면 아무래도 기계공학과죠
1
미적분이랑 통계는 경제가 엄청 잘해야되구요
기공은 뭐 계속 달고 살아야죠
1
dolmusa
제가 직접 금융수학 들어본 기억과 기계과 친구가 유체역학 동역학 이런거 듣는거 옆에서 넘겨짚어본 기억으로는..

경제학은 넓게 활용하고 기본적인 수학 자체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하는 대신 그렇게 복잡한 산출물은 필요하지 않고, 응용역학(기계과의 80% 이상을 차지)은 선대와 미적분이 알파이자 오메가이고 굉장히 복잡한 계산을 통한 산출물을 필수 요구합니다.

어디가 수학을 더 많이 쓰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은.. 아래 동영상으로 갈음하겠습니다.

https://youtu.be/3smc7jbUPiE
[리처드 파인만] “왜 자석은 서로 밀어내는가?”에 대한 답변 (한영 자막)
1
전 ㅈ소 출신이긴 하지만;
10년넘게 기계관련 산업에서 밥벌어먹으면서
머기업 출신들과 얘기를 나눠봤을땐, 말씀하신 선대, 미적분 이거는 현업에서 석박사 출신들이 하지
학사 수준에서는 거의 쓸 일이 없다 들었읍니다. 특히나 중견, ㅈ소 내려가면 내려갈수록 더더욱요;;
dolmusa
학부에서 공부하실 때 미분방정식 계산이나 행렬 계산을 안하셨다구요? 적어도 유체역학 시간에는 하셨을텐데.. 음 일단 알겠습니다.
학부에서는 당연히 하죠;;
회사 입사하고 나서는 뭐 거의 쓸일이 없다는 이야기 였읍니다
dolmusa
제가 저 동영상을 달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드네요 ㅋㅋ;;
다시갑시다
이건 근데 수학 그자체가 업이 아닌 직종이라면 뭘 보나 같을 것 같네요

글고 더 중요하게 학부생의 교과과정 중 수학의 빈도와, 학사출신 업무의 수학빈도의 차이는 구분할 필요가있어보입니다

결국에 수학으로 필요한 답을 도출하는 법을 정립하는게 박(석)의 역할이고, 학사레벨에서는 이미 정립된 방법을 잘 쓰기만하면 되는게 일반론인데

대신에 교육과정에서 배울때는 학사레벨에서도 기본적 수학개념을 같이 동반 시켜줘야하죠. 그냥 주입식으로 달달 외우는거엔 한계가있으니까요
대기업기준 기계공학과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곳
중공업, 건설이 대다수 입니다.

중공업도 크게봐서 플랜트, 조선으로 나뉘는데 수학? 그렇게 많이 안필요합니다.
제조업기준에서 미적분? 쓸일 없읍니다.

기존 현업에서 주구장창 쓰고 있는 표준이 있읍니다.
이거 본인 기업에 맞춰 쓸수있을 정도면 됩니다.

오히려 기계공학은 기본 3역학은 생각보다 덜 쓰이고
기계제작, 기계재료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큽니다.

본인이 '창업' 을 한다면 기본 3역학을 베이스로 해야겠지만
이미 모든 시스템이 다 갖춰진... 더 보기
대기업기준 기계공학과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곳
중공업, 건설이 대다수 입니다.

중공업도 크게봐서 플랜트, 조선으로 나뉘는데 수학? 그렇게 많이 안필요합니다.
제조업기준에서 미적분? 쓸일 없읍니다.

기존 현업에서 주구장창 쓰고 있는 표준이 있읍니다.
이거 본인 기업에 맞춰 쓸수있을 정도면 됩니다.

오히려 기계공학은 기본 3역학은 생각보다 덜 쓰이고
기계제작, 기계재료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큽니다.

본인이 '창업' 을 한다면 기본 3역학을 베이스로 해야겠지만
이미 모든 시스템이 다 갖춰진 곳이라면 '수학'이 그렇게 많이 필요하지 않읍니다.
경제학은 학부수준에선 개념이해 위주이지만
석사박사로 갈수록, 특히 미시 수리 이쪽은 거의 수학과라고 보시면 됩니다
기계공학은 학부수준에서는 미적분 행렬 등 수학이 많이 쓰이지만 석사박사로 가도 쓰이는 수학수준은 크게 높아지지는 않는것같아요

제생각엔 경제학은 연구자의 새로운 생각을, 최신 수학을 활용하여 이론으로 증명해내는 느낌이고
기계공학은 수학을 기본으로해서 새로운 물건을 개발한다는 느낌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925 과학미국이 작정하고 군사력 증강에 집착하면 이런 것도 가능할까요? 9 컴퓨터청년 23/06/14 4184 0
14897 과학F = ma, E = mc2 차이가 뭔가요? 11 OneV 23/06/06 6029 0
14890 과학경제학과와 기계공학과 중 어떤 학과가 수학을 더 많이 쓸까요? 11 컴퓨터청년 23/06/05 5616 0
14874 과학화학전지 에서 그냥 아연수용액에 아연담그는 경우 2 배차계 23/05/31 5637 0
14867 과학수학은 어떻게 보면 철학이나 예술과 닮았다는데, 정말인가요? 7 컴퓨터청년 23/05/29 4797 0
14826 과학국과수는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어떤 방식으로 보장하나요? 4 곰곰이 23/05/18 4460 0
14815 과학(질문주의) 이공계 학과에 대한 궁금증 14 컴퓨터청년 23/05/15 4323 0
14805 과학물리문제 한개만 알려주실수 잇나요ㅠ 전기파 5 배차계 23/05/12 2722 0
14725 과학조명용 LED 모듈을 추천받고 싶습니다 2 ㅢㅘㅞ 23/04/22 3325 0
14722 과학생연어 비린내 없애는 비법 좀 알려주실분 ㅠㅜ 3 mathematicgirl 23/04/22 4711 0
14631 과학100년 후에는 세계 최고의 고지능자보다 컴퓨터가 더 똑똑해질 수도 있을까요? 5 강세린 23/03/28 3291 0
14556 과학참치회에 어울릴만한 위스키 한병만 추천해주세요. 12 OneV 23/03/06 8165 0
14476 과학무슨 새 일까요? 5 흰긴수염고래 23/02/12 3584 0
14248 과학통계학 잘 아시는.선상님.... 8 내친구는탐라뿐 22/12/12 4423 0
14069 과학구멍 잘 안 나는 고무장갑 없을까요? 12 소요 22/10/28 5519 0
14056 과학강력접착 미끄럼방지 테이프 써보신분? 1 전국 홍차넷 협회 22/10/26 3983 0
13988 과학열역학 법칙은 어떻게 "법칙"임을 알 수 있나요? 20 Velma Kelly 22/10/12 4115 0
13961 과학오피스텔 초파리? 먼지다듬이? 벌레? 퇴치법 8 명절은추석 22/10/06 5797 0
13896 과학이 액추에이터가 잘 돌아갈까요? 6 OshiN 22/09/21 5140 0
13773 과학알 콰리즈미의 jadhr 개념이 궁금합니다 4 몸맘 22/08/21 4190 0
13670 과학내일 둘째를 혼자 봅니다. 5 카리나남편 22/07/24 4619 0
13655 과학만약에 인류종이 작은 체형이었다면 13 OneV 22/07/19 3970 0
13466 과학대협의 존성대명을 여쭙습니다 8 私律 22/06/08 4756 2
13459 과학경도 관련 질문입니다. 10 메가두따 22/06/06 4969 1
13449 과학(곤충 사진) 대협의 존성대명을 여쭙습니다 9 아침커피 22/06/02 4771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