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3/06/02 15:08:54
Name   똘빼
Subject   본인만의 효율적인 정리,청소 습관 공유해주세요!
청소와 정리를 심각하게 못하는 독거남입니다 ㅜㅜ

하루 아침에 모든 걸 바꾸려니 엄두가 안나서, 정리습관을 하나씩 만들어보려하는데,

본인만의 편리한 청소, 정리 습관이나 요령이 있다면 공유해주세요!



(예시)

-화장실에서 샤워를 마친 후 락스를 벽,바닥에 뿌리고 나온다.

-커터칼을 신발장에 놓고, 귀가시 거기서 택배를 바로 분리한다.

-각 방마다 <아직 정리 안 된 물건들의 임시 바구니>를 만들어놓는다.


...등등






도와주십시오 (˃̣̣̣̣︿˂̣̣̣̣ )






0


저도 정리를 지지리도 못해서 딱 하나 지키려고하는게 있는데,
지금 내 손에 있는건 제자리로 보낸다입니다.
내손에 있는게 쓰레기면 쓰레기통에, 빨래면 빨래통에, 책이면 책장에.
여기뒀다 치워야지 하는순간 그건 안치우게 되는 것들이라 이 습관을 지킬려고하는데 엄청 어렵읍니다 ㅋㅋ
2
'제자리에 둔다'가 정리습관들 중 손꼽힐 정도로 중요하다고 하던데, 실천이 어려운 것 같습니다. 제자리에 가져다 둘 정도의 시간이나 에너지의 여유가 항상 있는 것도 아니고 말이죠.

그래도 그런 생각정도라도 갖고 살도록 해봐야겠습니다.



+

생각해보니 '제자리'가 없는 물건도 많네요
1
보통 수납의 문제입니다. 수납만 잘해도 제자리인것과 제자리가 아닌것이 구분되어서 정리상태 정리안된상태가 구분 되어집니다.
바이엘(전문가)
톤백 하나 걸어놓고
농약병 던져놓읍니다
2
밥먹고 바로 설거지!!
1
제가 생각하기에 정리정돈의 기초는 일단 버리는겁니다(...)

생각보다 필요없는게 필요한척 뇌내둔갑하는 물건들이 많음.
물론 추억보정이라든가 즐거웠던 기억이 담겼다던가 하는 물건들도 많지만요.
8
아침커피
제가 생각하기에 정리정돈의 기초는 일단 버리는겁니다(...) (2)
이것도 참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정기적으로 버리는 시간을 갖는게 좋다고 생각하는데

사실 들어가는 정신적 에너지에 비해서 급하게 느껴지지 않다보니

다른 정리들에 비해서 따로 시간을 내지 않게 되네요.
잔소리하는 배우자가 최고입니다(?)
2
저는 욕실에 스퀴지 두고 샤워 후에 바닥 물기 제거하고 나옵니다
5
큐리스
저도 물건에 대해 기준을 정합니다. 특히 전자제품은 1년간 내가 안썻다 그러면 바로 당근이나 버리는거죠.
1
아서 모건
오 저도 그렇습니다

옷은 최근 3년 동안 한 번도 안 입었다 -> 안 입는 옷입니다. 팔든 기부하든 버립니다.
명확한 기준을 정해놓으면 고민에 들어가는 에너지를 아낄 수 있어서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아서 모건
정리할 것이 없게 만들면 깨끗합니다

청소의 시작은 버리는 것 부터
3
맞습니다.
그런데
어떤 물건이든 (방바닥이 아닌) 자기 자리를 만들어 둔다.
말하자면, 일본에 있는 차고지 증명제 같은 느낌입니다.
가야 할 곳이 정해져 있는 물건은 거기로 돌아가면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자꾸 겉돌게 되지요.
1
제자리가 있는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아울러

-제자리가 없는 물건은 어떻게 처리할것인가
-제자리를 얼마마다 어떤 규칙으로 변경할것인가

등등도 같이 생각해봐야겠네요
괄도네넴띤
필요한 것만 사고, 필요없는 것은 가차없이 버립니다.
1
레디미르
정리는 잘 못하지만 사는 물건이 없으면 어지럽힘의 총량의 최대치가 낮습니다.
1
뉴클레오타이드
근데 락스를 바닥에 뿌리면 뭐가 좋은가요..?
1
우연한봄
곰팡요
뉴클레오타이드
락스를 뿌리면 화장실청소 주기가 훨씬 길어지나용? 저는 1-2주에 한번씩 하는데 곰팡이 딱히 안 슬던데...
우연한봄
깨끗하게 쓰시는 상황 같음 주기 차이가 있을까 모르겠습니다

저는 변기에만 뿌려요 변기는 효과 보긴 하는데 락스 뿌리다가 호흡기에 안좋다더라구요.
메시든 클린이든 과유불급 사태도 있으니요

정리는 룰의 싸움이기도 한데.
유지할 공간이 있어야 룰이 유지 가능하다는 점 있네요.
비우든 높이로 올리든 말이죠.

과유불급이라 말씀드린게 룰이 너무 많아지면 같이 사는 사람과 를 격차가 커져서 분란의 소지라던지.
사용보다 정리에 지우친다던지.
ㅋㅋ
1
1. 방의 수납 구조도를 그려야 합니다. 청소용품은 맨 아래칸 서랍에, 문구류는 맨 처음 서랍에 등등, 대분류별로 영역을 지정합니다.

1.1 이 때 절대 구체적인 물품 목록으로 정하면 안됩니다. 예를 들면 노트, 로션, 빗자루 이런 식으로 분류하다보면, 일상애서는 물건들은 너무 변동성이 큽니다. 예를 들면 치약을 다발로 주문했을 때는 치약이 자리를 많이 차지하고, 다 써가면 한줌이겠죠?
누군가에게 갑자기 방향제를 선물받았다면 방향제가 생겼을 거고, 갑자기 운동을 시작했다면 운동복이 생겼을 거구요.

그런데 치약은 여기 하... 더 보기
1. 방의 수납 구조도를 그려야 합니다. 청소용품은 맨 아래칸 서랍에, 문구류는 맨 처음 서랍에 등등, 대분류별로 영역을 지정합니다.

1.1 이 때 절대 구체적인 물품 목록으로 정하면 안됩니다. 예를 들면 노트, 로션, 빗자루 이런 식으로 분류하다보면, 일상애서는 물건들은 너무 변동성이 큽니다. 예를 들면 치약을 다발로 주문했을 때는 치약이 자리를 많이 차지하고, 다 써가면 한줌이겠죠?
누군가에게 갑자기 방향제를 선물받았다면 방향제가 생겼을 거고, 갑자기 운동을 시작했다면 운동복이 생겼을 거구요.

그런데 치약은 여기 하고 정해뒀는데 치약이 다발로 오면 어 이건 어디다 두지? 하고 아무데나 자리가 비는 곳에 넣게 되고 그럼 결국 뒤섞인 상태로 들어가버립니다.

그래서 큰 틀에서 나누어야 합니다.
청소용품 / 욕실용품 / 이런 식으로요.

1.2 이렇게 큰 틀로 나눈 것은 한 곳을 지정해서 모두 몰아넣습니다. 예를 들면 청소와 관련된 건 다용도실 선반에 전부 넣는다.
그러면 물건이 지저분할 때, 빗자루를 집어들고 아 청소용품이네? 그럼 다용도실 ㄱㄱ 이런식으로 할 수 있습니다.

1.3 큰 틀로 나눈다음에, 각각의 영역을 지정하고 나면, 그 영역 안에서는 지저분해도 크게 신경쓰지 않습니다.어차피 위에 쓴 것처럼 물건은 실시간으로 변동합니다. 완벽하게 가지런히 정리된 건 매일 정리하지 않는 이상 어차피 안되고, 그럴 필요도 없습니다.
청소용품은 무지성으로 청소용품 영역에 던져놓고, 청소용풉이 필요하면 역시 무지성으로 그 영역에 가서 찾으면 됩니다.

보기에도 적당히 깔끔하고, 정리도 휙휙 쑤셔박으면 되서 쉽고, 물건 찾을 때도 쉽게 딱 그 영역 가서 찾을 수 있으니 편합니다.

* 말하자면, 대분류를 두고, 대분류대로만 분류하는 거죠.
2
2. 내 생활방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사실 이게 핵심이라고 생각해요.

정리정돈 팁 보면 제자리를 찾아야 한다, 제가 쓴 것처럼 분류를 해야 한다, 고 하는데 정작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겠거나 분명 나름대로 정리정돈을 했는데 금새 흐트러지는 경우가 있을 겁니다.

자기가 어떤 물건이 얼마나 있는지, 그걸 어떤 방식으로 쓰는지 이해가 없어서 그래요.

방을 대대적으로 정리하면 윗분들 말대로 비우게 되기도 하지만, 나란 사람이 실면서 실제로 사용하는 물건이 무엇이 얼마나 있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되기도 합니다.

... 더 보기
2. 내 생활방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사실 이게 핵심이라고 생각해요.

정리정돈 팁 보면 제자리를 찾아야 한다, 제가 쓴 것처럼 분류를 해야 한다, 고 하는데 정작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겠거나 분명 나름대로 정리정돈을 했는데 금새 흐트러지는 경우가 있을 겁니다.

자기가 어떤 물건이 얼마나 있는지, 그걸 어떤 방식으로 쓰는지 이해가 없어서 그래요.

방을 대대적으로 정리하면 윗분들 말대로 비우게 되기도 하지만, 나란 사람이 실면서 실제로 사용하는 물건이 무엇이 얼마나 있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저는 몇년째 정리하면서 계속 분류를 해보다 보니 생활잡화는 서랍 반 칸, 문구류 한 칸, 운동용품은 한 칸 정도를 사용하더라구요. 그럼 그냥 생활잡화 서랍 반 칸, 문구류 한 칸, 운동용품 한 칸을 할당하고 거기다 던져넣습니다.

그리고 처음에는 저렇게만 할당했는데, 서랍에 들어가지 않믄 부피 큰 물건들이 항상 생겨버리고 걔는 또 나뒹굴게 되더라구요.

그래서 지금은 생활잡화 / 문구류 / 운동용품 / 에 더해 [어디 안들어가는 부피 큰 물건] 영역을 따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1
3. 현실적이어야 합니다.

정리정돈팁은 정리정돈을 ‘잘’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있습니다. 잘하려면 그만큼 시간과 에너지가 들어가는데, 우리의 문제는 시간과 에너지가 없다는 것이잖아요.

현실적인 내 동선대로 짜야 해요.

예를 들면 저는 화장품을 절대 정리하지 않습니다. 어차피 매일 쓰고 다음날 되면 나란 인간은 절대 정리를 안할텐데 그래서 그냥 포기했습니다.

그리고 제가 어차피 매주 모든 빨래를 매일 하는 일은 제 인생에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현실적으로 그냥 양말이나 겉옷 같은 건 2주치 정도는 충분히 2... 더 보기
3. 현실적이어야 합니다.

정리정돈팁은 정리정돈을 ‘잘’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있습니다. 잘하려면 그만큼 시간과 에너지가 들어가는데, 우리의 문제는 시간과 에너지가 없다는 것이잖아요.

현실적인 내 동선대로 짜야 해요.

예를 들면 저는 화장품을 절대 정리하지 않습니다. 어차피 매일 쓰고 다음날 되면 나란 인간은 절대 정리를 안할텐데 그래서 그냥 포기했습니다.

그리고 제가 어차피 매주 모든 빨래를 매일 하는 일은 제 인생에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현실적으로 그냥 양말이나 겉옷 같은 건 2주치 정도는 충분히 2주정도 입을 양을 사놓고 2주에 한 번 빨래합니다.

탐라에도 썼지만 빨랫대도 어차피 내가 절대 안 접을 거란 걸 알아요. 그래서 그냥 애초에 계속 걸려있을거란 가정을 하고 공간을 배정해버렸습니다.

현실적이 되어야 합니다.ㅋㅋ
깔끔해질거라고 매주 빨래를 하고 정리해야지! 해도 어차피 흐지부지 될 거라면, 애초에 그냥 매주 빨래를 안하고도 안 지저분해보이고+안더럽게 살 수 있게 큰 빨래통과 많은 양말을 사면 됩니다.

매주 빨래를 하는게 좋아보이긴 하지만 그렇게 살아야 할 이유는 전혀 없는거잖아요. 결국 그냥 깔끔하기만 하면 장땡인데ㅎㅎ 나에 맞춰 현실적으로 동선과 구조를 구성합니다.
1
제루샤
4. 변동성을 다루는 방법

- 제자리가 없는 물건은 어떻게 처리할것인가

위에 이런 댓글을 쓰셔서 요것도 덧붙여봅니다.

저는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는 애들 던져놓는 영역]
도 지정해놓습니다.

반복해서 얘기하지만 물건이란건 어차피 계속 생기고 변하거든요. 근데 새로운 물건이 들어올 때, 머리가 이게 회사일도 아니고 이걸 어디다 분류해야 하지..? 하고 고민할 에너지가 없으니까 결국 나뒹굴게 되는 거거든요.

그래서 저런 영역을 두고 거기다 무지성으로 던져놓는겁니다. ... 더 보기
4. 변동성을 다루는 방법

- 제자리가 없는 물건은 어떻게 처리할것인가

위에 이런 댓글을 쓰셔서 요것도 덧붙여봅니다.

저는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는 애들 던져놓는 영역]
도 지정해놓습니다.

반복해서 얘기하지만 물건이란건 어차피 계속 생기고 변하거든요. 근데 새로운 물건이 들어올 때, 머리가 이게 회사일도 아니고 이걸 어디다 분류해야 하지..? 하고 고민할 에너지가 없으니까 결국 나뒹굴게 되는 거거든요.

그래서 저런 영역을 두고 거기다 무지성으로 던져놓는겁니다. 그러다가 꽉차면 그때 한 번에 정리를 합니다.
2
제루샤
저는 정리정돈이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로 하는 고강도 에너지의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물건을 인지하고, 분류하고, 쌓는 건 어려운 일이에요. [물류창고] 하나를 돌리는데도 많은 인력과 각종 기술이 필요한데, 우리는 각자의 집에 모두 각자의 물류창고를 돌리는 거니까요.

일하고 다름 일로 매우 지칟 상태에서 매일 매번 물건을 얘를 어디다 두지..? 하고 고민할 에너지가 없으니까 자꾸 정리정돈에 실패하는 거라고 생각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1) 분류를 최대한 단순화하고(청소용품/욕실용품 ... 더 보기
저는 정리정돈이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로 하는 고강도 에너지의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물건을 인지하고, 분류하고, 쌓는 건 어려운 일이에요. [물류창고] 하나를 돌리는데도 많은 인력과 각종 기술이 필요한데, 우리는 각자의 집에 모두 각자의 물류창고를 돌리는 거니까요.

일하고 다름 일로 매우 지칟 상태에서 매일 매번 물건을 얘를 어디다 두지..? 하고 고민할 에너지가 없으니까 자꾸 정리정돈에 실패하는 거라고 생각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1) 분류를 최대한 단순화하고(청소용품/욕실용품 등 대분류) 2) 정해진 규칙을 만들어서(지정한 영역에 던져놓는다) 시시각각 실시간으로 물건을 파악하고 최적의 장소에 두기 위한 머리 쓰는 작업을 없애버려야 합니다.


그리고 이것을 하기 위해서 미리 물류창고의 목적과 성격을 파악해야 합니다(내 생활방식에 대한 이해) 화장품 창고인데 식자재창고처럼 쓰면 당연히 지저분해지니까요.

쓰고보니 되게 뻔한 말들이긴 한데... 어쨌든 저는 이렇게 해서 삶이 좀 개선된 것 같습니다.)
1
먼지가 굴러다니다 공처럼 모이면 굴러다닐때 주워서 쓰래기통에 버림 됩니다
1
발그레 아이네꼬
그 제자리가 읍는 물건의 자리를 만들땐 비슷한 쓰임새를 가진 물건 근처에 두면 됩니다(끼리끼리요)
빗자루랑 쓰레받이 같이 두는것처럼요
1
대리주부 앱으로 청소 해주실 분 부르셔요.
다른 앱보다 조금 비싸지만 리뷰보고 고르면 청소 깨끗이 잘 해주십니다.
1
쥬꾸미
개인적으론 도구가 없이는 정리도 안되고 청소도 안되서
행거 리빙박스 기타 바구니 등등을 마구 쇼핑(…) 해야지만
정리가 되는걸 느꼈습니다
백날 노력해봤자 행거 박스 수납장이 없으면 아무 소용 없더군요
돈의 힘으로 밀어붙이는게 최곱니다 ㅜㅜ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445 게임옛날게임 질문입니다 9 헬리제의우울 23/12/10 2123 0
15432 게임gta 6가 엄청 화제인데... 15 메존일각 23/12/06 2757 0
15354 게임지금 바로 플스5 vs 한달정도 기다려서 플스5 슬림 5 아침커피 23/11/07 2169 0
15259 게임항저우 아시안게임 lol 이번 준결승 결승전 보는 방법 2 mathematicgirl 23/09/30 2158 0
15256 게임발더스게이트3 맥버전 맥북프로 14인치 m1 pro로 게임 할 수 있을까요? 8 mathematicgirl 23/09/28 4035 0
15249 게임잔인하지 않은 FPS 게임이 있을까요? 29 아침커피 23/09/27 3142 0
15242 게임젤다의전설 크리스탈 굿즈 구하는 방법 2 mathematicgirl 23/09/25 2213 0
15117 게임스팀에 나온 발더스게이트3 질문입니다. 1 mathematicgirl 23/08/08 2780 0
14958 게임카탄 주니어 버전 어떨까요? 6 흰긴수염고래 23/06/23 2723 0
14933 게임디아블로4 패드로 하면 어떤가요? 7 서포트벡터 23/06/16 3574 0
14879 게임본인만의 효율적인 정리,청소 습관 공유해주세요! 33 똘빼 23/06/02 3420 0
14866 게임이번에 닌텐도 신작인 젤다: 티어스오브킹덤 카드결제로가장 싸게 구매할 수 있는 방법? 5 mathematicgirl 23/05/29 2925 0
14762 게임옥슈슈~ 소리나오는 게임 아시나요? 4 집에 가는 제로스 23/05/01 2855 0
14554 게임몰입할 수 있는 스팀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26 레몬버터 23/03/04 3448 0
14532 게임손으로란트 간단 질문 3 원추리 23/02/27 2908 0
14514 게임아재가 즐길만한 요즘게임.? 24 내친구는탐라뿐 23/02/21 3026 0
14451 게임미취학 아동 보드게임 추천 17 Beemo 23/02/06 3677 0
14448 게임맥북 프로14(Apple M1 pro)에서 갓오브워,디트로이트비컴휴먼,레드데드리뎀션2 구동가능할까요? 13 mathematicgirl 23/02/05 5773 0
14421 게임루나미 조합을 계속 허용하는 이유가 뭘까요?? 2 당근매니아 23/01/30 4603 0
14362 게임스위치 포켓몬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6 하루 23/01/11 2571 0
14264 게임6살 8살과 함께하기 좋은 닌텐도 wii 게임 있을까요? ㅎ 8 내친구는탐라뿐 22/12/19 4114 0
14244 게임포켓몬 tcg 질문 11 dolmusa 22/12/11 2987 0
14243 게임색상 고르다가 결정장애가 왔습니다. 어떤 게 가장 마음에 드시나요? 23 Cascade 22/12/10 3532 0
14204 게임포켓몬스터 스칼렛 유저분 계실까요 4 Cascade 22/11/30 2797 0
14121 게임포켓몬스터 복잡한가요? 8 OshiN 22/11/11 2987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