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2/10/11 08:42:29 |
Name | 전국 홍차넷 협회 |
Subject | 오픈소스를 사용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
오픈소스 검사 툴을 돌리면 오픈소스 사용 여부가 나온다고 하더라구요 심지어 바이너리 파일에서도! 바이너리 파일에서 어떤식으로 사용했는지 아는 걸까요? 오픈소스 소스코드에 rodata로 "gpl" 이런게 들어가있나요?? 뭔가 절대 알 수 없는 시그니쳐가 들어가있다고 하던데 그런게 소스에 어떻게 들어가 앉아있는지 궁금하네요 소스에 오브젝트 파일이 들어가서 링킹 되는 거도 아닐꺼고 rodata로 해시값을 넣어두나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전국 홍차넷 협회님의 최근 게시물
|
요렇게 설명이 되어있네요
(1) 문자열 검색 도구
문자열 검색 도구로 아래와 같은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FOSSology
Ninka
TripleCheck
소스파일 상단의 라이선스 문구를 확인해 자동으로 라이선스를 판단하는 방식입니다.
(2) 코드 스캔 도구
오픈소스의 소스코드와 정확하게 일치하거나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코드 조각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비스들이 있습니다.
Black Duck Protex
Palamida
(3) 바이너리 스캔 도구
소프트웨어를 소스코드 없이 바이너리로만 받는 경우 필요한 방식입니다.
바이너리 형태의 소프트웨어... 더 보기
(1) 문자열 검색 도구
문자열 검색 도구로 아래와 같은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FOSSology
Ninka
TripleCheck
소스파일 상단의 라이선스 문구를 확인해 자동으로 라이선스를 판단하는 방식입니다.
(2) 코드 스캔 도구
오픈소스의 소스코드와 정확하게 일치하거나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코드 조각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비스들이 있습니다.
Black Duck Protex
Palamida
(3) 바이너리 스캔 도구
소프트웨어를 소스코드 없이 바이너리로만 받는 경우 필요한 방식입니다.
바이너리 형태의 소프트웨어... 더 보기
요렇게 설명이 되어있네요
(1) 문자열 검색 도구
문자열 검색 도구로 아래와 같은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FOSSology
Ninka
TripleCheck
소스파일 상단의 라이선스 문구를 확인해 자동으로 라이선스를 판단하는 방식입니다.
(2) 코드 스캔 도구
오픈소스의 소스코드와 정확하게 일치하거나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코드 조각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비스들이 있습니다.
Black Duck Protex
Palamida
(3) 바이너리 스캔 도구
소프트웨어를 소스코드 없이 바이너리로만 받는 경우 필요한 방식입니다.
바이너리 형태의 소프트웨어에 오픈소스가 사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도구로는 SYNOPSYS가 있습니다.
SYNOPSYS
출처: https://lovelyunsh.tistory.com/m/125
(1) 문자열 검색 도구
문자열 검색 도구로 아래와 같은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FOSSology
Ninka
TripleCheck
소스파일 상단의 라이선스 문구를 확인해 자동으로 라이선스를 판단하는 방식입니다.
(2) 코드 스캔 도구
오픈소스의 소스코드와 정확하게 일치하거나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코드 조각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비스들이 있습니다.
Black Duck Protex
Palamida
(3) 바이너리 스캔 도구
소프트웨어를 소스코드 없이 바이너리로만 받는 경우 필요한 방식입니다.
바이너리 형태의 소프트웨어에 오픈소스가 사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도구로는 SYNOPSYS가 있습니다.
SYNOPSYS
출처: https://lovelyunsh.tistory.com/m/125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