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2/04/23 10:54:21
Name   私律
Subject   완충수로 폭발물 회로를 무력화하는 워터 보틀이 뭘까요?
홍차넷 밀덕 여러분의 내공을 보여주십시오.

완충수로 폭발물 회로를 무력화하는 워터보틀이란 게 있다고 합니다.
https://kookbang.dema.mil.kr/newsWeb/20220422/3/BBSMSTR_000000010022/view.do

이것의 원리는 뭘까요?
처음에는 언젠가 우크라이나 전에서 불발탄 신관을 제거하면서 물을 붓던 그런 건가 생각했는데 아닌 것 같고,
물병에 화약을 조금 넣고 터뜨려서 압력이 가해진 물로 폭발물의 회로를 날려버리는 건가? 싶기도 한데,
제가 무식하여 감이 안잡힙니다.

완충수로 폭발물 회로를 무력화시키는 워터보틀은 뭔가요?



0


치킨마요


혹시 이런 원리?
그러기엔 물이 너무 적은 거 같습니다.
오.. 부동산을 사라는 말씀이군요. 감사합니다.

아무튼 대협의 내공에 항상 감탄하고 있습니다.
1

주요 고폭탄 선형 장약 또는 판형 폭발물(18)이 폭발할 때, 폭발물에 인접한 물질에 충돌하는 간섭 압력 ≥1백만 psi에서 고강도 충격 또는 압력파를 생성합니다. 충격파는 용기 외부로 방사상 바깥쪽으로 이동합니다. 이 고강도 충격에 이어 팽창하는 기체 폭발 생성물에 의해 생성된 몇 가지 더 낮은 강도의 충격이 발생합니다. 용기 내에서 많은 충격 반사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고강도 압력 교란은 물 또는 기타 유체를 마이크로초 단위로 매우 빠르게 외부로 가속하여 고속 제트를 생성합니다.
튜브(14)의 정점을 따라 장입물의 후방에서 시... 더 보기
주요 고폭탄 선형 장약 또는 판형 폭발물(18)이 폭발할 때, 폭발물에 인접한 물질에 충돌하는 간섭 압력 ≥1백만 psi에서 고강도 충격 또는 압력파를 생성합니다. 충격파는 용기 외부로 방사상 바깥쪽으로 이동합니다. 이 고강도 충격에 이어 팽창하는 기체 폭발 생성물에 의해 생성된 몇 가지 더 낮은 강도의 충격이 발생합니다. 용기 내에서 많은 충격 반사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고강도 압력 교란은 물 또는 기타 유체를 마이크로초 단위로 매우 빠르게 외부로 가속하여 고속 제트를 생성합니다.
튜브(14)의 정점을 따라 장입물의 후방에서 시작함으로써 생성된 워터 제트는 직선형이고 칼 모양이 될 것이며, 전체 길이는 거의 동시에 수직 방식으로 대상에 충돌합니다. EOD 사용에서는 제트가 일반적으로 동시에 대상 표면에 충돌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체적(20)에 의해 정의된 폭발 쐐기는 플라스틱 용기의 중심축과 직접 일치하는 정점을 갖는다. 플라스틱 용기(10)는 물 또는 알코올계 물 또는 기타 유체로 채워진다. 유체는 세 가지 용도로 사용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발사체가 됩니다. 유체는 폭발물을 가두는 역할을 하여 필요한 폭발물의 양을 크게 줄임으로써 장약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이러한 폭발물의 감소는 주변 환경에 대한 원치 않는 부수적 피해를 줄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물 봉투는 원치 않는 공기 분사를 크게 약화시킵니다. 물을 사용하는 것 외에, 점토, 물 및 점토 조합, 농축된 물 또는 중합체, 금속성 부하 중합체, 또는 상기 재료의 조합을 포함하는 기타 유체는 병(10)과 시트 폭발물 사이의 부피에 의해 정의된 발사체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일부 구글 번역기 결과입니다. :)
1
물에 압력을 줘서 기폭장치를 날려버린다는 느낌 같습니다.
저렇게 할 거라면, 그냥 기폭장치를 총으로 쏘면 안되나요?

그리고 대협의 내공에 대한 존경은 진심입니다.
다시 생각해보니 빈터에서나 총으로 쏠 수 있지, IED가 방 안에 있다던지 돌이나 기계 따위로 가려져 있다면 총질은 안되겠군요(저라도 이렇게 놓겠죠. 위장+파편까지 생각하면). 꽤 쓸만할 거 같습니다.

그렇다면...EOD가 올 수 없는 상황에서 저런 걸 발견하면, 소총탄이나 기관총탄 등에서 탄두를 떼넨 것/수류탄 신관만 뺀 것을 물 채운 생수병에 붙여서 똑같이 할 수도 있겠군요.

일단 현장에서는 전문가 오기 전에는 해체나 폭발 제거는 원칙적으로 금하는 것으로 압니다. 너무 다양하고, 어떤 위험이 있을지 몰라서. 가짜 IED를 이용한 부비트랩도 있죠.

https://www.gichd.org/fileadmin/GICHD-resources/rec-documents/external-documents/IEDD_FULL_final.pdf

여기 뒤쪽에 보면 권장 처리법들이 소개되어있습니다. 장단점이 나옵니다.
1
대협의 내공에 무릎을 꿇습니다!

기성품이 없으면 생수병으로 만들 수도 있는 것 같습니다.
1
뻘글에 이런 답을 주시다니 정말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406 과학전기차가 대부분으로 전환되면 10 전국 홍차넷 협회 22/05/24 4177 0
13405 과학대협의 존성대명을 여쭙습니다 10 私律 22/05/24 4543 0
13388 과학햄으로 하는 요리 41 소요 22/05/19 5210 0
13285 과학완충수로 폭발물 회로를 무력화하는 워터 보틀이 뭘까요? 11 私律 22/04/23 5516 0
13283 과학곤충 이름 문의드립니다 (사진 첨부) 3 아침커피 22/04/22 3184 0
13171 과학텀블러 교체 시기는 어떻게 판단하시나요? 23 cerulean 22/03/27 6439 0
13093 과학[수학] 소수의 일반식을 밝혀낸다면? 27 OshiN 22/03/10 5146 0
13063 과학인간 관측 기준에서 시간적 연속성이 끊기는 것이 존재할까요? 2 Hard Rock Cafe, 22/03/06 4164 0
13059 과학대협의 존성대명을 여쭙습니다 5 私律 22/03/05 4838 0
12704 과학부스터샷 맞으신분들 증상 있나요?? 19 copin 21/12/18 4778 0
12596 과학차량 및 운전 문제 상담 부탁드립니다 2 INFJ 21/11/20 4697 0
12541 과학풍차로 전기를 만들고 그 전기로 물을 생산할수있나요? 11 수원호두 21/11/08 5138 0
12540 과학비누가 정신 못차리는 이유 6 철든 피터팬 21/11/08 4929 0
12533 과학인공위성 위치에너지 10 moqq 21/11/06 5233 0
12494 과학화학 질문이요. 물은 왜 극성결합인가요? 9 moqq 21/10/31 4730 0
12399 과학탄소 흡수를 위해서 바다를 왜 이용하지 않는 건가요? 4 私律 21/10/08 4481 0
12319 과학문과생이 우주, 양자역학을 취미로 즐길 만한 모임.. 7 봄과여름 21/09/26 5120 0
12318 과학구렁이 뱀 모으는 소리는 뭘까요? 3 私律 21/09/26 4325 0
12194 과학얼음의 융해열로 액체를 0도 이하로 냉각할 수 있나요? 22 심해냉장고 21/09/05 5109 0
12166 과학빤짝이 제거하는 법 10 사과농장 21/08/31 7728 0
12163 과학대협의 존성대명을 여쭙습니다. 21 私律 21/08/30 5896 0
12082 과학(사회적) 관계의 시뮬레이션 2 포말하우트b 21/08/19 4404 0
12055 과학이케아 침대 매트리스 품질 질문 5 아침커피 21/08/15 5280 0
12032 과학압력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0 copin 21/08/09 4230 0
11908 과학레이더에 전파를 쏘아서 속일 수 있을까요? 20 私律 21/07/17 5186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