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06/19 17:14:40
Name   dongri
Subject   방통대 컴퓨터과학과 - 신입학/편입학 고민 중입니다.
안녕하세요,
첫 취업이후 벼르고 벼르다 이제서야 용기내어 방통대 컴퓨터 공학과를 지원하려 합니다.

원래 전공은 시각디자인이고, 현재도 주니어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습니다.
현업 직무를 심화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생각합니다만

대부분 제가 뽑힌 이유가 어느정도 프론트 지식이 있어서인 부분이 있는지라 미래에 개발은 수요는 늘었으면 늘었지 줄거라 생각치도 않고 어느정도는 알아두면 좋겠다 싶어서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막상 전형기간이 되어 지원하려 하니 신입학 / 편입학 (2,3년 중)이 고민이 됩니다.

편입학을 하기엔, 전공지식이 부족할텐데 (편입해서 1~2학년 과목 들을 수 있다 해도) 따라가는게 가능할까? 라는 두려움과
신입학은 반대로 직장생활과 병행하기 엄청 빡셀텐데, 4년이라는 시간동안 잘 할 수 있을까? 하는 막막함이 드네요...

홍차넷에 글 올리기 전 찾아보았지만, 대부분 편입학 했다는 글만 있지 둘중에 뭐가 더 좋았고 왜 선택했는가? 추천과 관련된 글은 없네요...
개발을 전공하신 부들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TMI]
주 관심은 프론트엔드 입니다.
해당학과에서 프론트를 가르치진 않지만 그렇다고 학원다닐 수도 없고(직장시간), 무작정 인터넷 강의 듣기엔 흐지부지될게 뻔해서 그나마 원격대학이라는 틀 안에서 기본적인 개발지식을 쌓고 이후 독학을 하던지 연계할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저는 편입학 추천드리네요 신입학은 졸업할때까지 4년이라... 말이 4년이지 더길어질 가능성도 있고요.
그리고 편입학해도 듣는과목은 자유라 아무상관없어요
2
J_Square
신입학은 진짜 교양부터 다 들어야하기 때문에 이미 학사 있으신 분들은 쓸데가 음슴니다.
3학년 편입학만 해도 70학점 정도 들어야하고 전공학점 채우는데는 문제 없어요.
저도 올해 가을학기 3학년으로 입학합니다. (원래 수학과, 방통대는 법대)
1
배바지
방통대 3학년 편입해서 졸업했습니다. 1/2학년은 정말 교양 수업 위주입니다. 3학년 편입하셔서 3학년 교양 과목 대신에 기초 과목으로 변경 수강 하시면 충분히 따라 잡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1
방통대에서 CS 지식을 쌓는게 분명 장기적으로 좋긴 한데 FE 개발자로서 주니어 현업 디자이너에게 바로 해야할 트랙인가 하면 의아합니다. 지루할수도 있고 힘들어서 그냥 개발 안하고말지 할 확률이 훨씬 높을거 같아요. 프론트 지식이 얼마나 되는지는 모르겠지만..차라리 FE를 집중적으로 하는 직장인 대상 재택 부트캠프 교육같은걸 해보고 프로젝트도 몇 개 해본뒤에 구현된 결과물이 어떤 원리로 돌아가는지.. 컴퓨터 위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어떤 구조로 실행되는지.. 이런것들이 정말 필요해질때 방통대 편입학으로 CS공부하셔도 늦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지금 공부하면 너무 현업에서 하는거랑 상관없게 느껴져서 배워도 남는것도 없게 느껴질 수 있어요.

만약 하신다면 무조건 3학년 편입학 추천합니다.
5
잠깐 검색해보니, 프론트 부트캠프 주말에 되는곳은 ㅅㅍㄹㅌ코딩클럽 밖에 없네요...
돈을 벌면 이것저것 해볼 수 있겠다 하는데 막상 돈벌기 시작하니 (돈버는건 좋지만) 뭐를 배우려면 퇴근시간하고 안맞아버리는게 문제라...

3학년 편입으로, 아직 지원기간 남았으니 부트캠프쪽도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__)

혹시 추천해주실 만한 학원이나 서비스는 없겠지요??? (주변 개발자들은 생활코딩 말하는데 지루해서요... 오래된 부분이면 달라서 애먹기도 하고... ㅠ)
사실프론트엔드 업무중에 가장 중요한것중 하나가 버전따라가기입니다. js 진영은 오픈소스라이브러리를 실무에 많이쓰기때문에.. 그래서 생활코딩의 강좌가 구버전이라 뭐가 안되는데? -> 오류가 어디서나지? 왜나는지 찾아보자 -> 버전간 차이를 파악하기위해 라이브러리 공식문서랑 라이브러리를 뜯어보자 -> 해결

이 루틴에서 모르는걸 계속 찾아보고 바꿔보고 해결하면 실력 정말 빨리 늡니다. 기초가없을땐 어렵고 기초가생기면 귀찮고 피곤한 방법이지만 분명하게 숙련도를 높여줘요. 사실 대부분 개발업무가 이런식입니다. 안되면... 더 보기
사실프론트엔드 업무중에 가장 중요한것중 하나가 버전따라가기입니다. js 진영은 오픈소스라이브러리를 실무에 많이쓰기때문에.. 그래서 생활코딩의 강좌가 구버전이라 뭐가 안되는데? -> 오류가 어디서나지? 왜나는지 찾아보자 -> 버전간 차이를 파악하기위해 라이브러리 공식문서랑 라이브러리를 뜯어보자 -> 해결

이 루틴에서 모르는걸 계속 찾아보고 바꿔보고 해결하면 실력 정말 빨리 늡니다. 기초가없을땐 어렵고 기초가생기면 귀찮고 피곤한 방법이지만 분명하게 숙련도를 높여줘요. 사실 대부분 개발업무가 이런식입니다. 안되면 찾고, 왜안되는지 파악하고, 방법과 대안을 비교하고, 그중 나은걸 찾아서 적용해보고, 거기서 생기는 문제를 다시 찾고..
그래서 개인적으론 생활코딩 근성으로안되는거 되게해가며 하는게 개발자 재능의 일종이 아닌가..

부트캠프는 잘 모르겠습니다. 스파르타코딩 위코드 코드잇 등등 많던데 직접 비교해보시는게... 구글에 부트캠프 비교 등으로 찾아보면 정리 괜찮드라구요.
1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댓글 폭탄될것 같아서...
@장자님, @J_Square님, 배바지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래서 대부분 3학년 편입만 이야기가 나오는거였군요... (이유는 안알려주고..ㅠ)
사이시옷
오늘 시험을 마지막으로 방통대 CS 졸업합니다.

저는 순수하게 CS쪽에 관심이 있어 공부했습니다. 이쪽 학사가 필요하신게 아니라면, 특히 실무적인 프로그래밍을 원하신다면
굳이 이쪽으로 오시는 것을 추천드리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전 2년 동안 공부 참 재미있게 했어요.
육아 + 학업이 쉽지는 않았지만 돌아보면 참 보람찼습니다.
2
(디자인도 그랬고) 어느정도 어떻게 돌아가는지 안다면 직접 공식 튜토리얼 찾아보고 막 할텐데 아는게 없어서 혼자서 하기엔 힘들것 같고
학원을 알아보자니 대다수가 취준생 위주의 주오일 오전-오후 늦게 식이라 다니기가 어려운것 같아요...

혼자서 할 수있는 한계라곤 jQuery 라이브러리 붙여다 쓰면서 커스텀 + 예에엣날 SVN 정도...
git은 cui는 전혀 못하겠고(사용해도 gui정도?), 예전엔 FTP에 올려서 작업하는 환경이었다면 요즘은 ide에 개발환경을 갖추고 cui로 설치하고 하는게 생소하고 어렵더라구요. (적응... 더 보기
(디자인도 그랬고) 어느정도 어떻게 돌아가는지 안다면 직접 공식 튜토리얼 찾아보고 막 할텐데 아는게 없어서 혼자서 하기엔 힘들것 같고
학원을 알아보자니 대다수가 취준생 위주의 주오일 오전-오후 늦게 식이라 다니기가 어려운것 같아요...

혼자서 할 수있는 한계라곤 jQuery 라이브러리 붙여다 쓰면서 커스텀 + 예에엣날 SVN 정도...
git은 cui는 전혀 못하겠고(사용해도 gui정도?), 예전엔 FTP에 올려서 작업하는 환경이었다면 요즘은 ide에 개발환경을 갖추고 cui로 설치하고 하는게 생소하고 어렵더라구요. (적응도 안되고)

그래서 본문에 적어준대로 실무와 학문사이의 갭이 크지만 어느정도 알면 이후에 혼자서 프론트를 공부하는게 가능하지 않을까 싶어서요...
육아 장난아니게 힘든데, 학업까지 하시다니... 멋지십니다.

혹시 방통대 CS하실때 따로 git사용 방법등에 대해 가르쳐주셨나요?? (과목 소개보니까 관련된건 없어보여서요...)
사이시옷
git 같은 것은 전~혀 안가르쳐 줍니다. 프로그래밍 과목들도 2000년대 초반과 별로 다를게 없습니다.
그냥 '컴퓨터' 과학에 대한 원리와 기본을 배운다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개발자 동기가 본인학교선 깃정도는 가르쳐줬었다고했는데, 방통대는 아닌가보군요...ㅠ
직장다니면서 등록금이 크게 크리티컬한건 아니라서 일단 다녀보고 못하겠다 싶음 제적을하던지 해봐야겠어요. (이것저것 재고 안하는것보단 하고 후회하는게 나은것 같아서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
사이시옷
맞습니다. 비싸지도 않고 공부하기 쉬워서
도전해보실만 합니다. 컴퓨터가 돌아가는 원리를 배우는게 생각보다 아주 재미있더라구요.

화이팅입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012 교육distance와 span 차이가 뭔가요? 16 copin 21/08/06 5556 0
11851 교육인문이나 사회과학 분야 논문 질문드립니다. 6 심플리스트 21/07/07 4078 0
11791 교육너드가 많은 곳을 찾고 있어요(?) 28 [익명] 21/06/27 4374 0
11745 교육방통대 컴퓨터과학과 - 신입학/편입학 고민 중입니다. 13 dongri 21/06/19 6016 1
11632 교육빵 관련 책 찾습니당.(자문자답 완료) 2 케이크(파이롤러) 21/05/29 4037 0
11567 교육단어장 프로그램 추천 바랍니다. 5 로냐프 21/05/19 4651 0
11365 교육듀오링고 다음으로 쓸만한 독학용 어학어플 추천 부탁드립니다. 3 나코나코나 21/04/16 4439 0
11297 교육(수학) 순열 문제가 너무 어렵습니다. 11 소반 21/04/05 4850 0
11212 교육노무현 정권의 전문대학원 제도는 결국 성공했나요? 23 불타는밀밭 21/03/20 5698 0
10995 교육나이 들어서 외국어를 공부할때 언어 능력의 한계 37 토끼모자를쓴펭귄 21/02/09 5449 0
10935 교육영어공부) 영어일기를 쓸 때 미리 한글로 글을 다 써놓고 번역하는 것이 좋나요 아님 생각 자체를 영어로 하는 것이 좋나요? 10 21/02/01 5739 0
10855 교육건축공학과 수업과 토목기사 시험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 나루 21/01/18 3500 0
10788 교육코딩or캐드 중에 어떤게 쓸만할까요? 10 셀레네 21/01/08 5658 0
10757 교육영어 해석 관련 질문 12 쿠팡 21/01/02 4073 0
10593 교육스터디 인원수 4 kaestro 20/12/10 4723 1
10507 교육수학 공부를 다시 시작하고 싶습니다. 4 [익명] 20/11/26 4041 0
10447 교육매끈하게 좀 고쳐주세요 2 아재홍 20/11/14 4122 0
10299 교육어학원 가서 토익 괜찮을까요? 7 [익명] 20/10/20 3422 0
10185 교육해외 원서 ebook 추천 사이트 있을까요? 3 아재 20/09/27 4882 0
10166 교육석박사통합 4년이 가능한가요? 22 쿠팡 20/09/24 10123 0
10108 교육대학원을 다니면서 대학 다니기 6 [익명] 20/09/13 5077 0
10088 교육일본어 공부 시작해보려는데 질문입니다! 7 버터쿠키 20/09/09 4240 0
10073 교육단기간 영어 공부 조언을 영어 고수분들께 구해봅니다 20 꿈꾸던돼지 20/09/06 5691 0
10000 교육수학 잘 아시는 분께 질문... 6 먹이 20/08/25 5099 0
9965 교육영어회화 사이트 추천좀요 1 [익명] 20/08/19 349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