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03/16 12:43:36
Name   [익명]
Subject   챌린저 호 폭발원인과 실수당사자 찾기
우주선 챌린저 호가 폭발한 원인은 이렇게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1986년 1월 28일 발사한 지 73초 만에 폭발한 우주왕복선 챌린저호 사고도 단위 때문에 생겨난 참극이었다. 당시 NASA는 챌린저호를 실은 로켓 외벽 이음새의 고무 링에 문제가 생기면서 연료가 흘러나와 폭발했다고 발표했다. 다른 모든 부품은 미터 기준으로 제작됐는데 이중으로 만들어진 고무링이 미터가 아닌 인치(inch)를 기준으로 제작돼, 부품 간의 수치 차이로 미세한 오류가 생겨 정확하게 밀봉되지 않았던 것이다.'

저 고무링을 어떻게 제작하는지는 모르겠는데 아마도 NASA과학자들 중 어떤 팀일 것이고 문제의 시초를 찾다 보면 수면에 드러나는 사람이나 그룹이 있을 것 같습니다. 하청에 맡기는 것일 수도 있겠고요. 그런데 그런 저격성 내지 책임추궁성 지목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는 것 같아요.

적발을 해야한다는 것이 아니라 한국사회가 사고에 접근하는 방식과 매우 다르고 그런 면이 좋아 보인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한편 제가 우주선 부품 제작과정에 대해 아는 것이 전혀 없으니 이건 그런 추궁이 불가능한 구조인가란 생각도 들었습니다.

혹시 조금 납득이 가도록 설명해 주실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0


다람쥐
폭발원인 자체가 인치-미터법 차이때문이 아닌거같아요 인터넷엔 저런 글이 많은데 뭔가 인터넷발 소설 아닌가 싶습니다.....
더 찾아보면 폭발원인은 고무링이 터진건데 그 원인은 인치-미터법 차이 때문이 아니고 온도 때문인거같더라고요.
저온에서는 고무가 실온에서처럼 탄성을 갖지 못하는 것 때문에 고무링이 터졌고, 그래서 연료가 새어나와 폭발했다고 보는 것 같습니다.

인치-미터는 1인치-2.54센치니 숫자 상 차이가 커서 그것때문에 미세한 오차가 생겼을까 싶더라고요.
5
챌린저 호 폭발은 단위 문제가 아니라 강추위 + 고무재질 오링이 추위를 버티지 못함 문제로 알고 있습니다.
해당 과정에 대해서는 나무위키에 정리가 잘 되어 있네요. 리처드 파인만이 조사단의 일원으로 참여했고 TV에서 원인에 대한 내용을 방송하기도 했습니다.

결함품인 오링을 만든 회사는 지목되었으나 (타이오콜 사) 결국 재계약에는 성공했습니다. 발사를 미루자는 의견을 묵살한 NASA 국장도 특정되었으나 나중에 승진했습니다. 이에는 대통령 재선 이슈가 있었고 문제를 너무 키우면 차기 우주왕복선 프로젝트가 문제생길 나사의 고위층... 더 보기
챌린저 호 폭발은 단위 문제가 아니라 강추위 + 고무재질 오링이 추위를 버티지 못함 문제로 알고 있습니다.
해당 과정에 대해서는 나무위키에 정리가 잘 되어 있네요. 리처드 파인만이 조사단의 일원으로 참여했고 TV에서 원인에 대한 내용을 방송하기도 했습니다.

결함품인 오링을 만든 회사는 지목되었으나 (타이오콜 사) 결국 재계약에는 성공했습니다. 발사를 미루자는 의견을 묵살한 NASA 국장도 특정되었으나 나중에 승진했습니다. 이에는 대통령 재선 이슈가 있었고 문제를 너무 키우면 차기 우주왕복선 프로젝트가 문제생길 나사의 고위층이 최대한 조용히 덮었다는 의견도 있었고, 낮은 확률로 발생한 불운한 정상사고중 하나였다라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오링에 문제가 생긴 상태에서도 어떤 찌꺼기가 틈을 막고 있어서 문제가 없었는데 항공기와 조우할까봐 궤도를 살짝 바꾸면서 발생한 윈드시어로 인해 찌꺼기가 날아가는 바람에 터졌다는 분석결과를 보면, 그 윈드시어가 아니었다면 실패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을거긴 합니다.

도량형 문제로 프로젝트 날려먹은건 화성 기후 궤도선으로 알고 있습니다. 계산 프로그램에서 단위를 혼동해서 화성으로 추락했습니다.
1
아케르나르
저도 다람쥐님 덧글 내용이 폭발원인으로 알고 있습니다.
1
[글쓴이]
모두들 감사합니다!
다람쥐
참고로 그냥 제가 추측해보자면, 당시 미국과 소련의 냉전이 아직 종식되지 않았기 때문에 우주왕복선 폭발로 인한 실패의 책임 추궁을 하기보다는 이것은 이런 위대한 도약을 하기 위해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사고라는 태도를 취하고 넘어간 것 아닌가 합니다.
실제 이후로 미국에서는 유인우주선 관련 프로젝트가 상당히 축소되었는데 소련은 계속 밀어붙여서 한동안 미국인들이 상심이 컸다는 기록도 있군요.
미국인들의 우주사랑(?)은 다른 나라 사람들과 다른 독특한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일종의 국뽕과 비슷한것같기도 하고요.
4
[글쓴이]
저 발췌기사는 조선일보기사가 맨 위에 뜨길래 읽어본 건데 언론에서 소설쓰면 정말 불쾌하더라고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682 과학이 거미 이름이 뭔가요? 4 당나귀 21/06/07 5146 0
11536 과학헤르만 격자 착시현상과 관련한 질문 4 주디 21/05/14 3082 0
11384 과학[전기 관련] USB 1A + LED 30개 가량 연결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5 INFJ 21/04/19 4322 0
11188 과학챌린저 호 폭발원인과 실수당사자 찾기 6 [익명] 21/03/16 6348 0
10952 과학중복조합 문제 7 Profit 21/02/03 4460 0
10951 과학다변수 최적화 (오차 최소화) 6 아침커피 21/02/03 3588 0
10883 과학'악령이 출몰하는 세상'과 비슷한 책이 있을까요? 3 [익명] 21/01/23 3852 0
10826 과학S20+ bts 와 s20 울트라 뭘살까요? 3 하우두유두 21/01/13 3804 0
10773 과학선생님들, 광파스팀오븐 뽐이 옵니다. 42 늘쩡 21/01/05 9713 2
10633 과학통계? 관련 질문입니다. 6 2020禁유튜브 20/12/15 4613 0
10576 과학[수학] 무리수인 줄 알았는데 유리수 7 OshiN 20/12/08 4236 0
10456 과학본인 논문 PDF 파일 공유 시 저작권 침해 여부 4 데자와왕 20/11/16 5365 0
10442 과학공중에 뿌려지는 항공유에 의한 환경오염은 어느정도인가요? 7 곰곰이 20/11/13 6457 0
10434 과학Per 4 OshiN 20/11/12 4007 0
10409 과학통계 완전 입문자를 위한 책 추천해주세요 8 보리건빵 20/11/06 4615 0
10380 과학지구의 무게 관련한 질문 올립니다. 7 회색사과 20/11/03 4587 0
10320 과학일론 머스크가 싫다고 하면 잘난 게 싫냐고 물어보는 게 싫습니다. 17 [익명] 20/10/24 4295 0
9900 과학과학쪽에 추천해주실만한 입문교양서가 있을까요? 8 [익명] 20/08/07 3536 0
9694 과학오랫동안 조리해서 질겨지는 고기와 부드러워지는 고기 차이 12 데자와왕 20/07/01 17799 0
9663 과학조건부 확률의 문제? 5 [익명] 20/06/25 3371 0
9601 과학통계... 평균 오차 관련하여 문의를 드립니다. 11 2020禁유튜브 20/06/16 4023 0
9428 과학분당 라인에 맛이가 좋은 곱창집 있을까요? 26 [익명] 20/05/18 3352 0
9368 과학락스(?)로 파이프가 부식됐는데 해결법 있나요? 10 덕후나이트 20/05/10 7867 0
8997 과학나무가 갑자기 죽어가요. 16 [익명] 20/03/17 3799 0
8805 과학통계 수학 질문입니당 3 호라타래 20/02/17 4247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