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01/06 17:34:13 |
Name | 소원의항구 |
Subject | 듀얼심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는 분이 미국과 한국에서 사업을 같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하나의 스마트폰을 가지고 계속 유심칩을 바꿔 끼워가며 통화를 하고, 문자 인증 같은 것도 유심칩 바꿔 끼며 쓰고 있습니다. (하나는 미국 통신사, 하나는 국내 통신사 SKT) 너무 고생을 하고 있어서 하나 알아봐주려고 하는데, 저도 사실 아는게 업습니다. ... 일단, 이분은 노트 필기 때문에 갤럭시 노트류를 원하고 있는데요. 이 경우 어떻게 해야 하는지 혹시 아시는 분 계신가요? 자료 소스라도 알려주시면 열심히 공부해보겠습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소원의항구님의 최근 게시물
|
갤럭시는 홍콩버전 같은 해외 공기계 구입하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어답터나 개조도 있던 것 같은데, 다른 분이 쓰실 것이니 해외 듀얼심 버전 구입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삼성페이나 MMS 같은 것은 안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삼성페이나 MMS 같은 것은 안 될 수 있습니다.
삼성의 대부분의 라인업은 해외에서 듀얼심 모델로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물리유심칩을 2개 지원하고, 번호베이스의 여러 앱이 여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니, usim칩을 갈아끼우는 걸 자주한다면 이런 폰을 사세요.
https://www.amazon.com/Samsung-Galaxy-SM-A515F-DS-Unlocked/dp/B082YG1L4B
하지만 시대가 변해서 여러 esim이라는것도 나왔습... 더 보기
물리유심칩을 2개 지원하고, 번호베이스의 여러 앱이 여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니, usim칩을 갈아끼우는 걸 자주한다면 이런 폰을 사세요.
https://www.amazon.com/Samsung-Galaxy-SM-A515F-DS-Unlocked/dp/B082YG1L4B
하지만 시대가 변해서 여러 esim이라는것도 나왔습... 더 보기
삼성의 대부분의 라인업은 해외에서 듀얼심 모델로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물리유심칩을 2개 지원하고, 번호베이스의 여러 앱이 여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니, usim칩을 갈아끼우는 걸 자주한다면 이런 폰을 사세요.
https://www.amazon.com/Samsung-Galaxy-SM-A515F-DS-Unlocked/dp/B082YG1L4B
하지만 시대가 변해서 여러 esim이라는것도 나왔습니다:
기본적으로 아이폰 상위모델은 esim을 지원하고, 안드로이드 진형에도 esim 대응되는 폰이 많이 나와있습니다.
자세한 사용방법은 아래 애플 공식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s://support.apple.com/ko-kr/HT209044
물리유심칩을 2개 지원하고, 번호베이스의 여러 앱이 여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니, usim칩을 갈아끼우는 걸 자주한다면 이런 폰을 사세요.
https://www.amazon.com/Samsung-Galaxy-SM-A515F-DS-Unlocked/dp/B082YG1L4B
하지만 시대가 변해서 여러 esim이라는것도 나왔습니다:
기본적으로 아이폰 상위모델은 esim을 지원하고, 안드로이드 진형에도 esim 대응되는 폰이 많이 나와있습니다.
자세한 사용방법은 아래 애플 공식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s://support.apple.com/ko-kr/HT209044
방법은 여러가지고, 각기 장단이 있습니다.
1. Google Voice 등에 미국 번호를 포팅 후 미국 전화/메시지 수발신을 앱/웹으로 처리
장 - 별도 기기 없이 해결 가능, 미국 플랜 유지 불필요
단 - 미국에서 데이터 사용이 불편 (3-5Mbps 속도제한 로밍이 덤으로 붙은 국내상위요금제의 느린 현지로밍 속도를 참고 쓰거나, 출국시마다 무제한 로밍 가입 or 미국 데이터 SIM 구매 필요)
2. 그럭저럭 해외 로밍으로 쓸만한 미국 플랜(Google Fi 등) + 한국에서 앱/웹 베이스 070 번호 사용(혹은 0... 더 보기
1. Google Voice 등에 미국 번호를 포팅 후 미국 전화/메시지 수발신을 앱/웹으로 처리
장 - 별도 기기 없이 해결 가능, 미국 플랜 유지 불필요
단 - 미국에서 데이터 사용이 불편 (3-5Mbps 속도제한 로밍이 덤으로 붙은 국내상위요금제의 느린 현지로밍 속도를 참고 쓰거나, 출국시마다 무제한 로밍 가입 or 미국 데이터 SIM 구매 필요)
2. 그럭저럭 해외 로밍으로 쓸만한 미국 플랜(Google Fi 등) + 한국에서 앱/웹 베이스 070 번호 사용(혹은 0... 더 보기
방법은 여러가지고, 각기 장단이 있습니다.
1. Google Voice 등에 미국 번호를 포팅 후 미국 전화/메시지 수발신을 앱/웹으로 처리
장 - 별도 기기 없이 해결 가능, 미국 플랜 유지 불필요
단 - 미국에서 데이터 사용이 불편 (3-5Mbps 속도제한 로밍이 덤으로 붙은 국내상위요금제의 느린 현지로밍 속도를 참고 쓰거나, 출국시마다 무제한 로밍 가입 or 미국 데이터 SIM 구매 필요)
2. 그럭저럭 해외 로밍으로 쓸만한 미국 플랜(Google Fi 등) + 한국에서 앱/웹 베이스 070 번호 사용(혹은 010 착신전환으로 070 번호로 넘김)의 조합
장 - 별도 기기 없이 해결 가능, 010을 아예 버리면 한국 플랜 유지를 안할 수 있음
단 - 010 번호가 아예 없으면 한국에서 불편한 상황이 매우 많음, 한국에서 데이터 사용이 한국 플랜보단 불편
3. 미국번호 전용으로 별도 미국폰 사용
장 - 통신성능 최우수*, 양국에서 현지 용으로 나온 폰을 쓰니까 부가기능(삼성페이, WiFi calling 등)의 현지호환성이 가장 높음, 설정 과정이 가장 간단, 가장 깔끔하게 연락처를 분리하여 관리가능, 특정 국가 스토어에만 올라온 앱의 설치사용 과정이 가장 간단
단 - 한국에서 미국전화 수발신이 잦거나, 미국에서 한국전화 수발신 잦은 경우 항상 두개를 들고다녀야 하는 번거로움
4. 듀얼심 모델 구입
장 - 3.과 달리 하나만 들고 다녀도 두 번호를 모두 쓸 수 있고, 1./2.와 달리 데이터 속도 문제도 없음
단 - 미국에서도 모델 선택이 다소 제한적 (듀얼심 버전이 제일 흔한건 중국이고 미국엔 듀얼심 버전이 그리 많지 않은데, 중국/유럽 버전의 경우 Verizon이나 Sprint 등에서 호환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 전화번호부 쓰는 어플에서 연락처 분리 관리에 난점, 부가기능에 다소 제약, 어느 정도 설정을 필요로 함, 특정국 스토어에만 있는 어플 설치사용 과정이 번거롭고 드물게 안 되는 경우 있음(특히 한국앱)
5. eSIM
장 - 4.와 같음
단 - 4.와 유사 + 한국에서 MVNO 쓰지 않는 이상 미국쪽 번호를 eSIM 개통해야 하는데, 미국카드/주소/SSN 다 있는 경우엔 쉽지만, SSN이 없는 경우 제약이 좀 있고, 셋다 없으면 상당히 곤란할 수 있음
*미국 내에서는 데이터/전화 음영 지역이 제일 적은게 Verizon이고, 한국과 다르게 통신사간 차이가 꽤 나서 어지간하면 Verizon 쓰는게 좋습니다. 그런데 Verizon을 고려하지 않고 나오지 않은 폰(대부분의 글로벌/차이나 듀얼심 버전과 한국 버전은 물론이고 일부 미국 버전도 포함됩니다)은 Verizon에서 아예 작동이 안 되거나 적어도 부분적(2G/3G)으로는 호환이 안 되는 것이 보통이라, Verizon을 고려해서 만든 폰을 쓰는게 성능이 제일 좋습니다(그게 별도폰이든 듀얼심이든 eSIM이든 간에).
1. Google Voice 등에 미국 번호를 포팅 후 미국 전화/메시지 수발신을 앱/웹으로 처리
장 - 별도 기기 없이 해결 가능, 미국 플랜 유지 불필요
단 - 미국에서 데이터 사용이 불편 (3-5Mbps 속도제한 로밍이 덤으로 붙은 국내상위요금제의 느린 현지로밍 속도를 참고 쓰거나, 출국시마다 무제한 로밍 가입 or 미국 데이터 SIM 구매 필요)
2. 그럭저럭 해외 로밍으로 쓸만한 미국 플랜(Google Fi 등) + 한국에서 앱/웹 베이스 070 번호 사용(혹은 010 착신전환으로 070 번호로 넘김)의 조합
장 - 별도 기기 없이 해결 가능, 010을 아예 버리면 한국 플랜 유지를 안할 수 있음
단 - 010 번호가 아예 없으면 한국에서 불편한 상황이 매우 많음, 한국에서 데이터 사용이 한국 플랜보단 불편
3. 미국번호 전용으로 별도 미국폰 사용
장 - 통신성능 최우수*, 양국에서 현지 용으로 나온 폰을 쓰니까 부가기능(삼성페이, WiFi calling 등)의 현지호환성이 가장 높음, 설정 과정이 가장 간단, 가장 깔끔하게 연락처를 분리하여 관리가능, 특정 국가 스토어에만 올라온 앱의 설치사용 과정이 가장 간단
단 - 한국에서 미국전화 수발신이 잦거나, 미국에서 한국전화 수발신 잦은 경우 항상 두개를 들고다녀야 하는 번거로움
4. 듀얼심 모델 구입
장 - 3.과 달리 하나만 들고 다녀도 두 번호를 모두 쓸 수 있고, 1./2.와 달리 데이터 속도 문제도 없음
단 - 미국에서도 모델 선택이 다소 제한적 (듀얼심 버전이 제일 흔한건 중국이고 미국엔 듀얼심 버전이 그리 많지 않은데, 중국/유럽 버전의 경우 Verizon이나 Sprint 등에서 호환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 전화번호부 쓰는 어플에서 연락처 분리 관리에 난점, 부가기능에 다소 제약, 어느 정도 설정을 필요로 함, 특정국 스토어에만 있는 어플 설치사용 과정이 번거롭고 드물게 안 되는 경우 있음(특히 한국앱)
5. eSIM
장 - 4.와 같음
단 - 4.와 유사 + 한국에서 MVNO 쓰지 않는 이상 미국쪽 번호를 eSIM 개통해야 하는데, 미국카드/주소/SSN 다 있는 경우엔 쉽지만, SSN이 없는 경우 제약이 좀 있고, 셋다 없으면 상당히 곤란할 수 있음
*미국 내에서는 데이터/전화 음영 지역이 제일 적은게 Verizon이고, 한국과 다르게 통신사간 차이가 꽤 나서 어지간하면 Verizon 쓰는게 좋습니다. 그런데 Verizon을 고려하지 않고 나오지 않은 폰(대부분의 글로벌/차이나 듀얼심 버전과 한국 버전은 물론이고 일부 미국 버전도 포함됩니다)은 Verizon에서 아예 작동이 안 되거나 적어도 부분적(2G/3G)으로는 호환이 안 되는 것이 보통이라, Verizon을 고려해서 만든 폰을 쓰는게 성능이 제일 좋습니다(그게 별도폰이든 듀얼심이든 eSIM이든 간에).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