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01/03 14:43:25
Name   토비
Subject   전기세가 많이 나왔는데 어디를 알아봐야 할까요
https://kongcha.net/?b=7&n=10548

지난 정전 사태 이후로 전기요금 고지서를 확인해보니 최근 3개월간의 전기요금이 예년에 비해 많이 올랐네요.
특히 12월 전기요금은 여름에 에어컨 팡팡 틀 때 만큼 많이 나왔습니다.
13만원 좀 넘게 나왔네요.

전기난방을 하지 않기 때문에 예전에는 겨울철엔 전기세가 적게 나왔거든요. 아마 3만원 전후이지 않았을까 싶은데...

이렇게나 전기세가 많이 나오다보니 집안을 점검해봐야 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정전사태의 원인도 어딘가에서 과부화로 전기를 계속 써댔기 때문이다라는 결론이 나오는거 같고...

근데 집안에 별로 의심해 볼 물품이 없어요.
냉장고가 맛이가서 전력을 많이 쓰게 되었나? 정도가 지금의 의심인데...


직접 계량기 보면서 코드 뽑았다 뺐다 해볼까하고 봤더니 저희집 계량기는 저압 전자식전력량계라고 되어있는 디지털 계량기네요.
옛날 계량기처럼 뱅글뱅글 돌아가는게 없어서 속도 측정이 좀 어려우려나 싶습니다.

어떤 방법으로 해결을 봐야할까요?



0


누전일수도 있겠는데요? 가정에서는 어떻게 체크해야할지 난감하긴 하겠네요
넵 확인해봐야 할듯 합니다

냉장고 아래와 뒤 방열판 부근 청소 오래 안 하면 전기소비가 많이 늘기는 합니다. 전기장판이나 기타 전열 기구 쓰시는 것은 없는 건가요?

재택근무 때문에 TV나 기타 전기제품들을 전보다 오래 켜두게 되어서 전기요금 많이 나온다는 분들도 있더군요.

냉장고 청소
https://comterman.tistory.com/480

3만원에서 13만원이면, 전열기구 새로 쓰시는 것이 없다면, 어딘가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취약가구, 노후가구의 경우... 더 보기
냉장고 아래와 뒤 방열판 부근 청소 오래 안 하면 전기소비가 많이 늘기는 합니다. 전기장판이나 기타 전열 기구 쓰시는 것은 없는 건가요?

재택근무 때문에 TV나 기타 전기제품들을 전보다 오래 켜두게 되어서 전기요금 많이 나온다는 분들도 있더군요.

냉장고 청소
https://comterman.tistory.com/480

3만원에서 13만원이면, 전열기구 새로 쓰시는 것이 없다면, 어딘가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취약가구, 노후가구의 경우는 한국전기안전공사(1588-7500)에서 무료로 점검하고, 누전차단기 등도 교체해 주는데, 그런 경우가 아니면, 민간업체를 이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3년 주기로 하는 정기점검도 한국전기안전공사에서 합니다. 혹시 모르니, 한 번 전화로 문의를 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https://www.kesco.or.kr/contents/selectContents.do?contents_id=MEB00011
감사합니다. 문의를 해봐야겠네요
동일한 상황이었는데 미터기 하나 사서 찍어보니까 보일러 순환모터가 주구장창 돌면서 전기를 빨아먹고 있었습니다. 이유는 모르겠는데 스펙보다 더 많은 전기가 소모되고 있었구요.
감사합니다.
그렇게 말씀하시니 저도 그 쪽이 의심되네요.
확인을 해봐야겠습니다
그런데
전력측정기로 검사하니 220v 탭에 끼워 소비 전력을 측정하는 물건이 있기는 합니다. 대략 3만원 정도 하는군요.
이걸 하나 장만해서
항상 켜져 있는 물건(냉장고, 보일러, 밥솥, 커피머신, PC 등)에 연결해서
과전류가 흐르는지 보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디지털 계량기도 일정 전력마다 한 번씩 불을 깜박이는 구조라면
이런 경우라면 집안의 전력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차단기에 전체 차단, 부분 차단이 있는 경우)
후보자를 좁혀가는 방법도 있겠습니다.
이런게 있었군요.
하나 구매해서 테스트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전기값이 갑자기 많이 나오면 보일러부터 의심해보세요
가스보일러 쓰더라도 보일러 내부에 전기 많이 잡아먹는 모터 많습니다.
넵 확인해보겠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149 가정/육아쓴맛 나지 않는 소금 추천 부탁드립니다 46 몸맘 21/03/07 7208 0
11133 가정/육아초등학교 저학년 의자 추천 부탁드려요. 18 늘쩡 21/03/04 6058 0
11118 가정/육아키즈폰 4 pils 21/03/01 5179 0
11074 가정/육아어머니와 누나의 싸움.. 12 [익명] 21/02/21 4160 0
11064 가정/육아제가 제머리를 때려요.. 19 [익명] 21/02/19 4902 0
11023 가정/육아형제 자매 남매 가정에 시집/장가 8 방사능홍차 21/02/13 3380 0
11012 가정/육아부모님 사용하실 안마의자 추천부탁드려요! 1 DogSound-_-* 21/02/12 5219 0
11011 가정/육아아기 유산균 질문드립니다 2 All is well 21/02/11 4416 0
11001 가정/육아건조기 질문 7 [익명] 21/02/10 4082 0
10991 가정/육아설날에 가족 모임 어떻게 대처하는게 가장 현명할까요?? 7 [익명] 21/02/08 4207 0
10976 가정/육아출산지원책 어디까지면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나요? 7 나코나코나 21/02/06 4439 0
10954 가정/육아여자와 대화할땐 공감부터 해줘야 되나요? 30 [익명] 21/02/03 6873 0
10934 가정/육아해산물 손질하고 세척을 어떻게 하시나요? 2 기린 21/02/01 4899 0
10922 가정/육아육아 휴직 연장할까 말까 고민 중이에요. 7 [익명] 21/01/29 4152 0
10893 가정/육아이불은 어떻게 버리나요? 4 업무일지 21/01/24 5398 0
10871 가정/육아4세 남아 힘빼는법?? 9 Groot 21/01/20 4807 1
10845 가정/육아어려운 책을 보면 잠이 옵니다 11 행운 21/01/17 6260 0
10816 가정/육아아빠와 관련된 고민입니다. 9 나비보벳따우 21/01/12 4640 0
10792 가정/육아가족간에 갈등이 있으면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1 [익명] 21/01/09 4445 0
10790 가정/육아LED 등이 너무 밝읍니다 6 오쇼 라즈니쉬 21/01/08 6888 0
10762 가정/육아전기세가 많이 나왔는데 어디를 알아봐야 할까요 10 토비 21/01/03 8597 0
10750 가정/육아식칼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자크 21/01/01 5304 0
10746 가정/육아형광등 어떻게 버리세요? 8 토비 20/12/31 5076 0
10745 가정/육아회피형인 타입의 아내와 어떻게 대화해야 할까요? 17 [익명] 20/12/30 6914 0
10716 가정/육아아기 있는 집 TV 보호기 어떤 것을 쓰시나요? 4 세인트 20/12/26 523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