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0/09/14 14:19:42
Name   오늘
Subject   주택담보대출은 일단 나오는 만큼 받는게 나은건가요?
물론 답이 없고..잘 굴릴수 있으면 굴리는게 맞다는건 아는데
뭘 해야할지 모르겠어서요ㅜㅜ

집을 사면서
주택담보대출이 60%까지 나오고
앞으로는 40%만 나오는 지역이고 연 1억까지는 중도상환 수수료도 없다고해서 일단 최대치만큼 받았는데요

그러고나니 8천만원 정도 여유자금이 생기기도 했고
예적금으로는..부어봤자 금리 이하고(적금은 그나마 이상이네요)
미국 주식 등등 주식은 이미 꽤 고점아닌가 싶더라구요

그러다보니 중도상환 수수료 없는 선에서 그냥 갚아버리는게 나은가해서요

아니면..그냥 미국 시가총액 top3 세개 살까요..?

이자는
1년거치 32년 납부/2.21% 6개월 변동금리(코픽스+가산금리)로 내고 있습니다
이것도 높은거라고는 하더라구요 요즘엔ㅎㅎ



0


존보글
저는 대출로는 주식 안 하는 쪽을 권장드립니다. 버틸 수 있는 심리 자체가 한도가 너무 내려가요.
6
집을 사면 평생 주담대를 안끼는게 거의 불가능인데..ㅜㅜ 주담대 먼저 갚으라는 말씀이신거죠?
주담대라면 최대한 받고 투자 하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사업자/개인용 대출을 땡겨도 저정도 안정적인 대출 나오기가 쉽지 않으니까요.
(저는 마통으로 주식하지만요.. ㅌㅌ)
요즘엔 신용대출 금리가 더 낮다고는 하더라구요
투자를 어디에 할지가 사실 더 문제네요ㅎㅎ 주식도 배워야하겠죠..?
그저그런
네. 몇 만원짜리 살 때도 공부하는데 몇 천만원 사는건 더 열심히 공부해야죠.
아래 분들도 많은 조언을 주셨지만, 자금 활용계획이 미비한 상태에서의 레버리지는 좋을게 없습니다. 하지만 또 주담대는 십년이상이 일방적인 실행기간이고 중도상환은 되돌리기 힘드니까요. 판단하셔서 결정하시면 될것 같아요. ㅎㅎ
추가 받은 만큼으로 무엇인가 할 계획이 있으면 모를까, 일단 받아놓고 투자처/소비처를 받는 것은 합리적인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2
대출이 원할때 나오는 것이 아니라 그렇기는 한데.. 주담대 먼저 갚으라는 말씀이신거죠?
절름발이이리
레버리지를 쓰는 것은 기대이익과 변동성(≒손실)을 모두 키우는 일입니다.
이 자체는 가치중립적인 일이고, 주담대는 안정적인 대출이라 레버리지 중에도 질이 좋습니다.
하지만 레버리지를 써서 달성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이해와 계획이 부실하면, 아무리 자금 조달 비용(=이자)이 낮아도 현명하지 않습니다.
더불어 미국 시총 3종을 사는 투자법은 별로 좋은 투자법이 아니라고 봅니다.
1
감사합니다..ㅜㅜ 일단 계획을 세워보고 안되면 그냥 주담대 먼저 갚아야겠네요..현금 들고있으면 아까워지는 세상인거같긴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698 경제주택 매매 시기가 불일치할 경우... 방법이 없나요? 3 [익명] 20/12/24 3957 0
10684 경제쌍용차의 생사 여부에 대한 설문격 의문 입니다. 9 알겠슘돠 20/12/22 4621 0
10659 경제만29세 중고차구입, 자동차보험싸게하려면? 2 [익명] 20/12/18 5282 0
10646 경제임대차 3법이 없어진다면 전세 상황이 나아질까요? 3 방사능홍차 20/12/16 4343 0
10631 경제경제학 책을 읽고 싶습니다 10 [익명] 20/12/15 4561 0
10630 경제해외주식 매도 관련 질문 드립니다 8 Yossi 20/12/15 4525 0
10625 경제구매직무(or관련 전공자)이신분들께 질문 3 [익명] 20/12/14 4317 0
10614 경제주택청약 지금 넣어도 괜찮을까요..? 6 [익명] 20/12/13 4103 0
10583 경제보험에 대해 가르침을 주십시오. 14 은명 20/12/09 4256 0
10568 경제rx100mk7 풀세트 팝니다(가격 인하) 13 업무일지 20/12/07 4520 0
10551 경제삭제 예정입니다 20 [익명] 20/12/03 4144 0
10537 경제신규 신용카드를 발급할 때 이용한도 7 녹차김밥 20/12/01 6105 0
10426 경제기본소득을 다루는 책 추천해주세요. 4 소반 20/11/10 4743 1
10400 경제서울 집값은 안내려간다고 보는거죠? 20 [익명] 20/11/05 4399 0
10344 경제금융? 통장 관련 질문입니다 3 헬리제의우울 20/10/29 3847 0
10291 경제하이브리드카 중고 구매 2 [익명] 20/10/18 3827 0
10267 경제집값이 오르는 이유 12 [익명] 20/10/13 4283 0
10210 경제분양받은 아파트 공동명의 해야 할까요? 12 [익명] 20/10/05 5412 0
10209 경제주식 문의 9 [익명] 20/10/04 3739 0
10204 경제주식할 때 회사 재무지표 2 [익명] 20/10/03 3954 0
10157 경제임대사업자 집주인이 5프로 인상+시세만큼 1억 차용하자고 하는데요... 9 dawn 20/09/22 6321 0
10132 경제신용대출을 받아야 할까요? 3 [익명] 20/09/17 3740 0
10127 경제수협은행 직장인대출은 1금융권인가요? 4 [익명] 20/09/16 4296 0
10121 경제CBDC를 발행하면 마이너스 금리 부과 가능하다는데... 2 [익명] 20/09/15 3724 0
10120 경제똑같은 위치의 집일때 집 종류에 따른 가격 차이 25 헌혈빌런 20/09/14 5629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