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5/07/08 08:51:32
Name   the
Subject   1주택자 전세대출 금지 검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453575
문재인 정부 시절 나왔던 1주택 이상 보유자에게 전세자금대출을 금지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갭투자로 서울 고가 아파트를 사고, 본인은 전세자금대출을 받아 외곽에 거주하는 것을 막겠다는 취지다.

이번 6·27 대출 규제에도 갭투자를 막는 방안이 담겼다. 대표적으로 전세자금대출의 보증비율을 90→80%로 낮추고, 조건부 전세자금대출을 제한하는 내용이다. 금융당국에서는 이런 조치에도 불구하고 갭투자 쏠림이 커지면 전세자금대출을 추가로 규제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전세자금대출이 고액 전세를 부추기고 이것이 갭투자로 이어진다는 이유에서다.

이 밖에 전세자금대출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에 넣는 방안도 검토 대상이다.

전세자금대출은 줄여나갈 필요성이 있어보입니다.




0


Paraaaade
대출로 욕망/시장을 컨트롤 하려는건 좀 별로긴한데 일단 전세대출은 좀 건드릴 필요가 있긴하구요
5
그대신 1주택자의 청약은 무주택자랑 동일하게해서 매매위주의 시장으로 바뀌었으면 좋겠습니다. 애초에 전세강요되는 이유가 그놈의 똘똘한 한채를 위한 무주택 강요 때문인데...
5
1주택자의 경우 기존 주택 처분 조건으로 청약 열어주는게 맞다고 봅니다.
8
꿀래디에이터
'일시적'이라도 '2주택'이라면 치를 떠시는 분들이 있어서...
은때까치
제가 항상 입버릇처럼 얘기하던게 전세대출이랑 전세보증은 진짜 말도 안되는 기형적인 제도라는건데, 얘네들부터 건드리는건 좋은 방향인거 같네요. 이놈들은 아파트 가격과는 별개로 없어져야 하는게 맞습니다.
12
Mandarin
전세자금대출이 사실상 전세라는 사금융을 위한 공적 금융 시스템이긴 하죠
7
문샤넬남편
이건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일리지
유주택자가 전세대출이 됐나요?당연히 안되는지 알았는데 아니었군요
cheerful
사실 다 알고 있는거 지켜만 보던거 ㅎㅎㅎㅎ
확실히 다들 공감대가 생긴것 같읍니다.
치즈케이크
만다린님이 언급하셨듯 전세 및 전세자금대출은 무주택자를 위한 일종의 공적 지원정책의 일환으로 취급해야 한다 생각합니다. 애초에 시장논리에 맞지 않는 기형적인 제도인데 이걸 시장에서 용인해버리니 갭투자같은 이상한 것들이 계속 생기는거죠. 전세대출부터 시작해서 궁극적으로는 전세계약 자체를 무주택자 대상으로 한 허가제로 가야 한다 봅니다.
14
양존스
주택의 적정 가격을 측정하는 국제적인 표준이 월세를 기반으로 멀티플을 부여하는건데 우리나라만 전세라는 기형적 제도때문에 주택의 적정가격 평가가 까다롭다고 하더라고요. 전세를 월세로 환산해서 평가하는것 같던데 아무래도 왜곡이 있어서..
그러니 일반 시중은행들이 주택이라는 자산을 평가하고 심사하는 실력이 떨어지고 부동산원이나 KB시세에 무지성으로 의존하게되고.. 대단지 아파트처럼 가격평가가 상대적으로 쉬운 자산을 더 선호하개되는 이유가 되는 것 같습니다.
전세가 대한민국 부동산시장의 선진화에 발목을 잡는데 상당한 역할을 하는 건... 더 보기
주택의 적정 가격을 측정하는 국제적인 표준이 월세를 기반으로 멀티플을 부여하는건데 우리나라만 전세라는 기형적 제도때문에 주택의 적정가격 평가가 까다롭다고 하더라고요. 전세를 월세로 환산해서 평가하는것 같던데 아무래도 왜곡이 있어서..
그러니 일반 시중은행들이 주택이라는 자산을 평가하고 심사하는 실력이 떨어지고 부동산원이나 KB시세에 무지성으로 의존하게되고.. 대단지 아파트처럼 가격평가가 상대적으로 쉬운 자산을 더 선호하개되는 이유가 되는 것 같습니다.
전세가 대한민국 부동산시장의 선진화에 발목을 잡는데 상당한 역할을 하는 건 아닐까 생각합니다. 전세제도의 유지를 서민보호 목적이라고들 하는데 사실 한국에 정착하는 외국인들 인터뷰를 보면 도대체 그 큰 목돈이 어디있어서 전세를 구할 수 있냐고 반문하죠. 월세로의 매끄러운 전환(인식적+제도적)이 필요한 시기가 다가온 것 같습니다.
1
shadowtaki
방향성은 좋네요.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전세대출이 집값을 떠받치는 구조라고 생각해서 전세대출 자체를 없애야 한다고 보기는 하는데 여튼 전세대출을 줄이는 방향 자체는 좋다고 봅니다.
전세대출을 대신할 직장 생활 5~10년차 이하의 자산규모가 적은 젊은 세대들의 주거형태 대책이 있어야할거같은데... 월세시장이 전세시장 기준으로 되어있어서..
토지조사사업 생각이 살짝 나죠. '현대적 소유권 체제'로 전환하는데는 성공하였으나...

다만 저 부분은 굉장히 어렵다보니까 뭉게지는 부분이 무조건 꽤 많이 나올거라 보긴 합니다(그걸 탓하지는 않겠다는 뜻).
하우두유두
뭔가 국제 스탠다드로 나아가는것같습니다. 그게 옮고 그름은 모르겠고 자영업비율도 감소하고 전세가 감소하고 월세가 늘꺼고...
철의꽃무리
전세대출은 0주택자에게만 해주는게 맞죠 누가봐도 거품제조기였습니다.
2
루루얍
이게 분명 맞는 거긴 한데, 향후 월세를 우리가 감당할 수 있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건 신도 모를 일이라서
6
저도 그렇게 생각하읍니다..
이거는 굿입니다.. 1주택자에게 전세대출까지 열어주는건 안할때가 됫죠..
주택이 있는데 전세자금 대출이 됐다니 ㄷㄷ 이제 알았네요
바닷내음
재건축 이주시는 어떻게 되려나요
실물없는 주택에 담보대출인가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70 정치강선우, 자진 사퇴…"국민께 사죄, 성찰하며 살겠다" 9 dolmusa 25/07/23 734 0
2969 방송/연예넷플릭스 히트작 ‘흑백요리사’, 中서 짝퉁 등장..“판권 준 적 없다” 6 swear 25/07/23 551 0
2968 사회여교사에 성기 사진 보낸 남고생…"방과후에 보냈으니 교권 침해 아냐" 교권보호위 논란 15 Leeka 25/07/23 1066 0
2967 사회"말려 죽이는 법 안다" 자녀 담임에 폭언 퍼부은 화성시 6급 공무원…결국 직위 해제 9 Leeka 25/07/23 735 2
2966 사회"코스트코 익산 입점, 전북 경제에 치명적 위협" 10 Leeka 25/07/23 861 0
2965 기타“꿈을 좇는 청년들에게 든든한 한 끼를”…하루 세 번, 밥을 짓는 편의점 1 다군 25/07/23 417 1
2964 사회‘뉴진스 숙소 무단 침입’ 20대 남성, 벌금형 “공무원이 꿈, 기회 달라” 14 Leeka 25/07/23 781 0
2963 정치尹아이폰, '비번+얼굴인식' 이중 걸쇠…특검, 포렌식 난항 11 Picard 25/07/23 591 0
2962 정치안철수 "尹, 단일화하면 뭐든 다해준다더니 딱 한번 복지장관 제안" 9 Picard 25/07/23 607 1
2961 기타영화 반값에 보세요…문체부 '6천원 할인권' 450만장 발급 8 다군 25/07/23 650 0
2960 스포츠벌써 내년 평양마라톤 참가 모집…여행사 "얼리버드 50% 할인" 6 danielbard 25/07/23 708 0
2959 사회‘영유 금지법’ 나온다 25 the 25/07/23 1350 0
2958 문화/예술'헤비메탈의 魔王' 오지 오스본 별세…향년 76세 4 Darwin4078 25/07/23 410 3
2957 사회‘아들 총기살해 사건’ 유족이 보내온 입장문 2 swear 25/07/22 736 0
2956 국제'미니카의 아버지' 다미야 슌사쿠 타미야 회장 별세 4 다군 25/07/22 580 0
2955 정치전한길 "우파 개딸 수십만 명 만들겠다"... 한동훈 "국힘의 극우 정당화" 17 danielbard 25/07/22 940 1
2954 경제“사업 못 하겠다”... 캘리포니아 토종 버거 인앤아웃, 창립 77년 만에 캘리포니아 떠나는 이유 10 맥주만땅 25/07/22 1102 0
2953 경제‘몸값 8000억’ 준오헤어, 부동산 자산 ‘주목’ 6 Leeka 25/07/22 871 1
2952 사회김건희 ‘다이아 목걸이’ 영수증, 통일교 본부서 나왔다 15 the 25/07/22 909 3
2951 문화/예술쫄깃하다 못해 질긴 빵… 물렁하면 베이글이 아니다[이용재의 식사의 窓] 29 바이오센서 25/07/22 780 3
2950 정치이재명 대통령 '대북송금' 재판 연기…모두 임기 뒤로 6 과학상자 25/07/22 542 0
2949 국제트럼프도 윤석열처럼…'음란편지' 기사 쓴 기자 전용기 탑승 배제 7 오호라 25/07/22 683 0
2948 사회"살려주세요" 토사 휩쓸린 차에서 일가족 구출한 주유소 직원 2 swear 25/07/22 606 1
2947 IT/컴퓨터Apple 및 티머니, iPhone 및 Apple Watch에 Apple Pay 티머니 도입 2 아재 25/07/22 384 0
2946 사회지적장애 50대, 5명에 새 삶 주고 떠나 2 swear 25/07/22 436 5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