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4/04/13 14:30:16
Name   구밀복검
Subject   대학 ‘천원의 식사’ 인기 이면엔…‘1인 200식’ 조리 노동자 골병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135590.html

‘천원의 아침밥’은 고물가 속 저렴한 식사를 찾는 학생들 사이에 인기를 끌며 지난해 대표적 ‘청년 복지’ 정책으로 자리매김했다. 2017년 처음 시작된 뒤 2022년 28개 학교가 도입, 올해는 전국 186개 학교가 사업을 진행 중이다. 정부가 2000원, 지자체가 1000∼2000원을 지원하면 학생이 1000원, 나머지는 대학이 부담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문제는 밥을 ‘먹는’ 학생들에 관심이 집중되는 사이, 밥을 ‘하는’ 조리 노동자들의 업무 강도는 크게 늘었다는 점이다. 인천대 노동과학연구소의 ‘학교 급식실 노동자 작업 조건 실태 및 육체적 작업부하 평가’ 보고서를 보면, 연구소는 조리노동자 1인당 적정 급식 제공 규모를 86식 안팎으로 계산한다. 서울대 ‘천원의 식샤’ 급식노동자의 경우 1명당 많으면 200식을 맡아야 한다. 다른 대학들도 1인 100식 이상을 맡고 있는 등 비슷한 상황이다. 주요 공공기관 식당(1인당 66식)에 견주면 두배에 가까운 노동 강도다... 사업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려면 조리노동자 인력 충원과 노동환경 개선이 필요하지만, 낮은 임금과 고강도 노동으로 일할 사람 찾기는 점점 어려워진다. 서울의 한 대학교 생활협동조합 ㄴ사무국장은 “단체급식은 일반 식당보다 노동 강도가 훨씬 센데, 급여는 최저시급 수준이다보니 (노동자들이) 지원을 꺼린다”며 “우리 학교는 천원의 아침밥 사업 이후 2시간 정도 배식만 전담하는 근로 학생들을 따로 뽑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한올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정책기획국장은 “조리노동자를 구하기 힘든 이유는 높은 재해 위험성과 구조적 저임금, 열악한 근무환경 때문”이라며 “특히 단체급식은 팀워크가 중요해 숙련된 고경력자가 필요한데, 계속 평균 근속연수가 줄어들다 보니 현장에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배달이나 물류와 비슷한 궤라고 봅니다. 소비자 이용 경험을 강화를 위해 고용에서 후려치기..
일단 싸면 '모두'에게 좋을 수는 없지요
결정적으로 지속 가능하지 않음.




13


4시30분퇴근
생각도 못한 문제네요 세상 참 복잡하다
결국 지원문제인데 정부지원이란건 깍으라고존재하는거라는 정부와 지자체의 믿음
스티브잡스
대학생이 아니면 청년이 아닌 나라.
루카와
말은 맞는 말이지만, 결국 이상은 이상일 뿐 현실은 이래서 안된다는 식의 결론과 포기를 유도하는 방식의 사고라 저는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노동강도가 쎄면 임금을 더 주고 사람을 더 뽑아야죠. 수천 명 대학생 등록금 생각하면 개뿔 푼돈입니다 그거. 허구헌날 새 건물 지을 돈으로 하고도 남아요.
4
Beer Inside
급식노동자의 노동강도는 기계화가 아니면 해결방법이 없지요.

초중고 급식노동자들은 정규직이 되어서 어느정도 불만이 해결되고 나니, 대학의 급식노동자 문제를 들고 나오는군요.

대학의 급식노동자도 업체소속이 아닌 대학소속이 되면 좋기야하겠지만, 대학교육까지 의무화될일은 없고 급식도 의무가 될 일은 없으니...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8629 기타"다 안다" 착각 부르는 '보고 중독' 13 the 24/08/15 2669 13
37706 사회대학 ‘천원의 식사’ 인기 이면엔…‘1인 200식’ 조리 노동자 골병 5 구밀복검 24/04/13 2656 13
35596 국제"학부모 악마화는 해법 아냐" 교권 붕괴 먼저 겪은 일본서 배운다 21 카르스 23/07/31 2669 13
34940 사회한국은 '아이 낳아라' 말할 자격도 없는 나라다 9 뉴스테드 23/06/05 2653 13
34557 사회사회화되지 않는 손실 7 구밀복검 23/05/09 2663 13
33838 정치여당 "의원 정수 절대 증원 없다…전원위 개최 여부 다시 판단" 32 물냉과비냉사이 23/03/20 2653 13
33294 사회2001 아카시 유족이 2022 이태원 유족에게 6 dolmusa 23/02/02 2259 13
33193 사회"지하철 이용자는 전장연 시위 지지하기 어렵다" 사실일까? 30 구밀복검 23/01/26 2658 13
32121 정치"주최 없다" 정부와 경찰 반복된 주장…8년 전 매뉴얼엔 8 매뉴물있뉴 22/11/05 3183 13
30744 사회‘무릎 꿇은 호소’ 그 후 5년, 무엇이 달라졌을까? 1 늘쩡 22/08/06 2800 13
29882 사회“지각한 시간도 근무 인정”…전장연 시위 ‘지각 연대’ 합니다 8 늘쩡 22/06/15 2901 13
29165 사회"쉬게 해달라" 굶는 노동자에게 '빠바'는 '비타500'을 건넸다 5 자공진 22/04/22 2991 13
28538 국제“우크라이나와 대만 위기는 연결된다…‘노’라고 할 수 있는 한국이 중요” 6 구밀복검 22/03/09 3289 13
28387 정치러시아의 침공 원인, 이재명 “젤렌스키 때문” 윤석열 “억지력 부족” 59 syzygii 22/02/26 6020 13
28335 정치장애인 지하철 시위 현장 찾은 심상정 “이재명·윤석열·안철수도 약속하라” 9 ギラギラ 22/02/24 3600 13
26203 사회시민의 신뢰 좀먹는 정치 16 소요 21/10/18 2921 13
23377 사회2021. 2. 19. 서울광장 1천명 운집. 61 나코나코나 21/02/19 6610 13
22249 사회내가 퇴사하는 이유 5 호라타래 20/11/09 3632 13
21039 사회서철모 화성시장, “가족이 있는데 왜 국가가 장애인 돌보나” 망언 22 자공진 20/07/18 4333 13
19311 정치與 "이념·성소수자 등 소모적 논쟁 유발 정당과는 연합 안 해" 31 Schweigen 20/03/17 3610 13
19260 사회"우리 매장 다녀 간 확진자... 빠른 쾌유를 빌어요" 2 하트필드 20/03/13 3930 13
19133 사회김용현씨 인터뷰 1 기아트윈스 20/03/08 2193 13
19094 사회"눈물이… 고맙습니다" 경북에 보낸 전남 `사랑 도시락' 감동 3 Schweigen 20/03/05 2651 13
18910 사회‘한 달 살기’ 그 후 1년 대림동을 다시 가다 4 자공진 20/02/26 2639 13
18047 외신[일본-뉴스포스트세븐] 젊은 성우와의 결혼을 꿈꾸는 45세 「어린이 방 아저씨」의 말로 11 자공진 20/01/02 4045 13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