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3/07/08 19:30:21
Name   구밀복검
Subject   아파트 전·월세 4건 중 1건은 갱신 계약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3070719491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 가운데 4건 중 1건은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가가 하락한 와중에도 ‘임대료 5% 상한 제한’을 목적으로 한 갱신권이 사용된 것이다. [2년간 발이 묶이는 신규 계약과 달리 언제든 보증금을 돌려받고 퇴거]할 수 있도록 한 제도의 허점을 활용했다는 분석이다. 임대차보호법에 따르면 갱신권을 사용한 임차인이 이사하겠다고 통보하면 임대인은 3개월 안에 보증금을 돌려줘야 한다. 다음 세입자를 구하는 중개보수도 임차인이 부담하지 않아도 된다. 반면 갱신권을 사용하지 않고 재계약했다면 세입자는 2년의 계약기간을 준수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애초에 전셋값 상승을 주로 감안해 만들어진 제도이다 보니 하락장에서 이 같은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한다..
"갱신권 사용 여부는 온전히 세입자의 권한이기 때문에 집주인이 갱신권 미사용을 강요할 수 없다... 집주인은 신규 계약을 맺을 때 시세에 맞춰 갱신보다 보증금을 더 낮춰야 하기 때문에 갱신 요구를 받아들인다... 상승기 때 전·월세 상한을 두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된 제도가 하락기에 변질되는 측면이 있다...집주인은 언제라도 3개월 안에 보증금을 내줄 준비를 하고 있어야 안전하다"



개인적으로는 문제만 많은 것 같읍니다.
아래 기사도 같이 보면 적절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61812570000511
...세입자 A씨는 2020년 10월 임대차 3법을 근거로 집주인에게 계약갱신청구권을 행사하겠다고 통보했다. 집주인 B씨는 실거주를 이유로 A씨의 계약갱신 행사를 거절했다. 당시 A씨도 이를 받아들여 다른 집으로 이사 갔지만, 얼마 뒤 문제가 터졌다. B씨가 그 집에 7개월 정도 산 뒤 제3자에게 집을 판 사실을 A씨가 알게 되면서다. A씨는 곧바로 B씨가 법을 어겼다며 900만 원의 손해배상금을 요구하는 소송을 걸었다. '임대인이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에 대해 정당한 사유 없이 거절할 수 없게 돼 있다'는 주택임대차법(6조3)을 근거로 내밀었다. 이 법 5항을 보면 '집주인이 갱신 거절 뒤 정당한 사유 없이 제3자에게 임대한 경우 집주인은 갱신 거절로 세입자가 입은 피해를 보상해야 한다'고 나와 있다. B씨가 설령 임대한 게 아니라 매매했다고 해도 정당한 사유 없이 허위로 실거주한다고 속여 계약갱신을 거절했으므로 법 위반이란 게 A씨 주장이었다. B씨는 실제 들어가 살았지만, 갑자기 경제 사정이 안 좋아져 집을 팔 수밖에 없었다고 반박했다.

법원은 B씨 손을 들어줬다. 6조3의 5항은 임대한 경우를 명시한 것이지 매매한 경우는 해당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집주인의 갱신 거절이 인정되는 예외 사유 9가지 중엔 '실거주 목적'이 포함돼 있는데, 이는 집주인의 주관적·개인적 사정에 관한 것이라 입증이 쉽지 않다고 법원은 판단했다. 집주인의 명백한 거짓이 드러나지 않는 이상 실거주를 이유로 한 집주인의 갱신 거절권을 폭넓게 인정해야 한다는 취지다. 시장은 뜻밖의 평가라는 분위기다. 법원은 6조3의 5항이 '임대한 경우'만 명시한 거라고 판단했지만, 정작 정부가 발간한 해설집엔 '실거주를 이유로 갱신 거절하고 3자에게 매매한 경우 실거주할 목적이 없었다고 판단되면 불법성이 인정된다'라고 적혀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법원은 집주인의 '실거주 목적'에 대해 개인적 사정에 관한 것인 만큼 폭넓게 인정해야 한다고 했지만, 임대차 2법 시행 이후 비슷한 소송이 제기됐을 때 법원 판단은 또 달랐다. 정말로 집주인이 실거주할 사정이 있었는지를 따져 판결을 내렸다. 집주인이 실거주 요건을 남용해 계약갱신을 거절하면 세입자 권리가 위축될 수 있다는 게 이유(서울남부지방법원)였다.

근본적으로는 법 조항 자체가 애매해 갈등을 유발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법 시행 이후 집주인의 실거주 목적의 해지 통보가 유효한지, 정당한지를 놓고 소송이 급증하는 것 자체가 법에 결함이 많다는 방증이라는 것이다. 실제 A씨 사례처럼 손해배상을 둘러싼 분쟁은 지난해 주택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정부 산하)에 579건 접수됐다.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대치로 1년 전(278건)보다 2배 이상 늘었다. 정부는 임대차 3법, 특히 계약갱신청구권 개선을 예고한 상태다...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373 경제기러기 아빠 눈물 닦아준 ‘제주영어교육도시’… 국내로 돌린 유학비용 1조 넘어 7 Beer Inside 23/07/09 1595 0
35371 경제 2023 중앙일보 부동산 정책 포럼 1 구밀복검 23/07/09 1164 2
35370 경제신발 거품은 끝났다? 6 Beer Inside 23/07/09 1366 0
35365 경제美 상반기 파산신청 급증…인플레·고금리 때문 3 활활태워라 23/07/09 1377 0
35362 경제서울 월세는 소득의 3분의 1 14 구밀복검 23/07/08 1719 1
35361 경제아파트 전·월세 4건 중 1건은 갱신 계약 2 구밀복검 23/07/08 1172 0
35358 경제尹정부 부동산 정책, 긍정 31% vs 부정 44% 6 구밀복검 23/07/08 1358 0
35356 경제2040 수도권 광역도시계획 11 구밀복검 23/07/08 1492 1
35353 경제김주현 금융위원장, 새마을금고 사태 수습 진땀…“유튜브 말 믿지 말라” 5 Beer Inside 23/07/07 1789 0
35338 경제정부 "새마을금고 안전...안심하고 이용하셔라" 15 기아트윈스 23/07/06 1686 1
35334 경제GS건설 검단 아파트 전면 재시공에 5년·1조300억원 소요 예상 15 아재 23/07/06 1721 0
35328 경제행안부 “새마을금고 예·적금 피해 없다…인수합병시 100% 보호” 8 오호라 23/07/06 1695 0
35324 경제주36시간 일하는 청년층에 물으니...75%가 "더 일할 마음 없다" 21 카르스 23/07/05 1889 0
35316 경제"명동은 안 갈래" 외국인도 외면…바가지에 상인들 항변 14 tannenbaum 23/07/05 1754 0
35296 경제현대차·기아 전기차 '동력 상실·감소' 민원 국내서도 접수 5 다군 23/07/03 1782 0
35295 경제여당의 무용론 여당의 육성론…지역화폐 아이러니 14 뉴스테드 23/07/03 1432 0
35294 경제"국힘이 왜?" 누굴 위한 근로자 대표제인가 뉴스테드 23/07/03 1158 0
35292 경제수제맥주 ‘꺼진 거품’ ...‘번 자’와 ‘잃은 자’를 알아봤습니다 46 비어-도슨트 23/07/03 2098 4
35286 경제다둥이 엄빠, 소득세 '획기적' 경감…與 'N분의 N승' 프랑스 저출산 대책 추진 19 카르스 23/07/02 2055 0
35232 경제중국에 ‘알짜 슬롯’ 49개나 내줬다…대한항공, 합병 위한 ‘힘겨운 비행’ 5 그저그런 23/06/28 1532 1
35221 경제농심, 신라면 가격 50원 인하…2010년 이후 13년만에 처음(종합) 9 다군 23/06/27 1241 0
35201 경제‘5억 차익 기대’ 흑석자이 줍줍 신청자 몰려 청약홈 ‘마비’ 21 the 23/06/26 1742 0
35198 경제정부, 방만 전세대출 손질 16 구밀복검 23/06/25 1973 0
35177 경제"한 끼 1만 원도 부족해"…직장인 점심값으로만 한 달 24만 원 9 swear 23/06/23 1453 0
35128 경제미국 자동차 안전당국, 아이오닉 5의 전력손실에 대해서 조사하기로 Beer Inside 23/06/20 1733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