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3/07/05 19:08:55
Name   카르스
Subject   주36시간 일하는 청년층에 물으니...75%가 "더 일할 마음 없다"


5일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 5월 청년(15~29세) 취업자(400만5000명) 중 주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104만3000명이다. 이 중에서 재학·휴학 청년을 제외하고 졸업·중퇴·수료 상태의 청년만 48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사회에 진출한 청년층(303만4000명) 중 15%가 한 주 근무하는 시간이 36시간이 되지 않았다.

학교를 졸업한 뒤 얻는 파트타임 일자리는 정규직 취업 전까지 거쳐 가는 자리란 인식이 바뀌고 있다는 풀이가 나온다. 48만9000명의 학업 상태가 아닌 주 36시간 미만 근무 청년 중 74.8%(36만6000명)는 “계속 그대로 일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나머지 4분의 1중에서도 “더 많이 일할 수 있는 일자리로 바꾸고 싶다”는 응답은 5만9000명에 불과했다. 근무시간이 적다는 이유로는 연장 근로나 직업 변경을 고려하지 않는 청년이 대부분이라는 뜻이다.

주 36시간 미만 근로하는 졸업·중퇴 청년 중 상용근로자는 14만6000명에 불과했다. 전체의 29.9% 수준이다. 2배 수준인 26만2000명은 임시근로자였다. 아르바이트나 프리랜서 근로자가 여기에 해당한다.

강원 춘천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민모(30)씨는 하루 8시간씩 주 3회 일한다. 민씨는 지방 국립대를 졸업한 뒤 부모와 함께 살면서 아르바이트로 생활비를 벌고 있다. 남는 시간엔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민씨는 “월세나 식대를 아낄 수 있다 보니 적당히 쓰고도 돈이 부족하진 않다”며 “시험에 합격하면 좋기야 하겠지만 지금 생활 자체로 상당히 만족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계속)

청년 취업자 감소는 이미 예고됐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를 보면 중위 시나리오 기준으로 15~24세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15.8%에서 2045년 10.4%로 줄어든다. 일할 청년 자체가 적어지는 상황에서 추가 취업을 원치 않는 청년까지 늘어나면 생산인구 감소로 인한 ‘빈 일자리’가 예상보다 가파르게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중년·고령층도 마찬가지겠지만 특히 젊은층은 단순히 임금 조건만 가지고 일자리를 선택하지 않는 기조가 강해지고 있다. 사람을 바꾸는 건 불가능하고, 이 같은 추세에 맞춰 근로 환경이 바뀌지 않으면 인력 수급이 불가능해질 것”이라며 “젊은 노동 인력 감소는 곧 본격화할 텐데 인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대학 전공 칸막이 낮추기나 여성의 노동 참여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할 때”라고 말했다.

=====================================================================================
워라밸 선호 증가, 최저임금의 급격한 상승, 혼인의 감소 및 지연 등 여러 이유가 떠오르는데
이유가 어찌됐든 청년층(15-29세)들이 시간적 일자리에 만족한다는 건 노동시장의 큰 변화를 암시합니다.

한국은 노동시장 구조상 전일제 일자리가 일반적이고 시간제 일자리는 주변적인데, 그런 도식이 점점 깨져간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한국에서 시간제 일자리는 비정규직으로 분류되는데, 시간제 일자리에 만족한다던 비율이 높다는 건
비정규직 = 나쁜 일자리라는 과거 도식도 깨진다는 의미.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371 경제 2023 중앙일보 부동산 정책 포럼 1 구밀복검 23/07/09 1153 2
35370 경제신발 거품은 끝났다? 6 Beer Inside 23/07/09 1360 0
35365 경제美 상반기 파산신청 급증…인플레·고금리 때문 3 활활태워라 23/07/09 1372 0
35362 경제서울 월세는 소득의 3분의 1 14 구밀복검 23/07/08 1715 1
35361 경제아파트 전·월세 4건 중 1건은 갱신 계약 2 구밀복검 23/07/08 1163 0
35358 경제尹정부 부동산 정책, 긍정 31% vs 부정 44% 6 구밀복검 23/07/08 1348 0
35356 경제2040 수도권 광역도시계획 11 구밀복검 23/07/08 1487 1
35353 경제김주현 금융위원장, 새마을금고 사태 수습 진땀…“유튜브 말 믿지 말라” 5 Beer Inside 23/07/07 1783 0
35338 경제정부 "새마을금고 안전...안심하고 이용하셔라" 15 기아트윈스 23/07/06 1678 1
35334 경제GS건설 검단 아파트 전면 재시공에 5년·1조300억원 소요 예상 15 아재 23/07/06 1713 0
35328 경제행안부 “새마을금고 예·적금 피해 없다…인수합병시 100% 보호” 8 오호라 23/07/06 1692 0
35324 경제주36시간 일하는 청년층에 물으니...75%가 "더 일할 마음 없다" 21 카르스 23/07/05 1887 0
35316 경제"명동은 안 갈래" 외국인도 외면…바가지에 상인들 항변 14 tannenbaum 23/07/05 1752 0
35296 경제현대차·기아 전기차 '동력 상실·감소' 민원 국내서도 접수 5 다군 23/07/03 1777 0
35295 경제여당의 무용론 여당의 육성론…지역화폐 아이러니 14 뉴스테드 23/07/03 1430 0
35294 경제"국힘이 왜?" 누굴 위한 근로자 대표제인가 뉴스테드 23/07/03 1155 0
35292 경제수제맥주 ‘꺼진 거품’ ...‘번 자’와 ‘잃은 자’를 알아봤습니다 46 비어-도슨트 23/07/03 2093 4
35286 경제다둥이 엄빠, 소득세 '획기적' 경감…與 'N분의 N승' 프랑스 저출산 대책 추진 19 카르스 23/07/02 2051 0
35232 경제중국에 ‘알짜 슬롯’ 49개나 내줬다…대한항공, 합병 위한 ‘힘겨운 비행’ 5 그저그런 23/06/28 1525 1
35221 경제농심, 신라면 가격 50원 인하…2010년 이후 13년만에 처음(종합) 9 다군 23/06/27 1238 0
35201 경제‘5억 차익 기대’ 흑석자이 줍줍 신청자 몰려 청약홈 ‘마비’ 21 the 23/06/26 1739 0
35198 경제정부, 방만 전세대출 손질 16 구밀복검 23/06/25 1970 0
35177 경제"한 끼 1만 원도 부족해"…직장인 점심값으로만 한 달 24만 원 9 swear 23/06/23 1449 0
35128 경제미국 자동차 안전당국, 아이오닉 5의 전력손실에 대해서 조사하기로 Beer Inside 23/06/20 1727 0
35105 경제‘바꿔치기’ 큰절 사과했던 어시장... 집에 와보니 또 ‘다리 잘린 게’ 17 swear 23/06/19 1894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