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3/06/05 20:06:54
Name   뉴스테드
Subject   한국은 '아이 낳아라' 말할 자격도 없는 나라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2/0002288263?cds=news_media_pc

낳아서 버려지고, 멀리 타국으로 보내지는 어린 아이들, 종종 드러나는 보육원의 폭력적 실태. 미혼모에 대한 멸시와 차별. 버려지고 방치된 어린 목숨들이 하루가 멀다고 뉴스로 등장해도 근본적 해결보다 그 부모들에 대한 비난과 원망, 분노감 표출로 끝나는 사회. 정부가 그동안 무엇을 했는지 평가하지 않고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주문하지 않는 사회. 그래서 결국 이 모든 현상들이 그저 가난한 개인의 책임일 뿐이라는 사회. 아이도 부모들도 지금의 현실을 운명처럼 받아들이고 살 것을 강요하는 한국사회.

우리 앞의 인구문제는 이처럼 존중받지 못하는 부모와 아이들을 공동의 책임으로 인식하고 그 숫자를 줄여가겠다는 마음으로부터 출발하지 않으면 결코 성공할 수 없을 것이다.

철학자 러셀은 "사람은 게으를 수 있을 때 비로소 마음이 가벼워지고, 장난도 치고 싶어지고, 스스로 선택한 건설적이고 만족스런 활동들에 전념할 수 있게 된다"면서 가벼운 마음으로 놀 수 있는 기회들이 아동교육에서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런 기회를 갖지 못한 아이는 불쾌하고 파괴적인 아이로 성장하며 자기 인생에서 보다 깊고 폭넓은 목적들을 이해하는 능력까지 빼앗기게 된다고 말한다(게으름에 대한 찬양, 사회평론, 송은경 역). 이제 우리도 노동에 대한 절대적 믿음 대신 여가, 게으름, 그리고 그런 여유 속에서 자랄 아이들을 그려볼 수 있는 사회에 살고 있지 않은가?

-----------------

사회 분위기는 그 사회 구성원들이 만들어가는 것이니 특정인의 잘못이라 말할 수 없는 이야기입니다.



13


스콘과홍차수정됨
‘노동에 대한 절대적 믿음’이라는 말에 많은 것들이 떠오르네요. 일과 육아를 동시에 하기 어려운 직장이거나 경력단절이 싫어 아이를 낳지 않는 사람들에게 ‘야간연장보육’을 대책으로 내세운 사회답네요. 부모도 더 일하고 보육교사도 더 일하고 아이도 더 일하고… 일을 덜 하는 해결책은 어떻게서든 싫은가 봅니다.
11
골든햄스
러셀 말이 맞다고 많이 느낌
지루함을 견딜 수 없는 시대에서는 위인이 나오지 않는다
1
퓨질리어
결혼해서 애 낳을 세대는 정작 출산의 당위성이 납득 안 가는데다가, 그럴 여력도 없죠.
저출산으로 여기저기 시끄럽지만 결국 종착점은 세대, 성별, 보혁 갈등을 위한 불쏘시개일 뿐이구요.
그렇다고 아이를 이미 낳은 사람이 더 낳고 싶다고 할 정도로 혜택이 있냐? 그것도 아니구요.

누가 봐도 애 안 놓고 편하게 사는게 정배인데, 자꾸 국가와 민족, 그리고 내 연금을 위해서 다른 사람들이 고양이 목에 방울 좀 달아보라고 아우성 쳐봤자 그게 귓등을 스치기나 할지...
2
침묵의공처가
정부에 대해 평가도 하지 않고 주문도 하지 않은 사회. 개인의 책임으로 몰아가는 사회라는 말에 동의합니다.
저출산의 원인이라고 봅니다.
근데 무슨 주문을 해서 정부가 들어주면 아이를 낳게 되나요? 양질의 일자리? 신축 아파트? 그것들 만들려한다고 해결되는 일은 아닌 것 같은데.
딱히 사회에 문제가 있다기보다는 그냥 사람이 너무 많아서 경쟁도 심하고 일자리나 거주공간도 부족한 건 아닌가 싶기도하고..
끊임없는 사다리걷어차기와
좌우 남녀로 갈라진 극단적 대립구도
결국 남는 돌파구로 죽자사자 몰려들고 나머지분야는 말라죽고있습니다.

이걸 해결해야하는 정치인도 우리가 뽑았구요
저출산은 그 누구도 바라지않는 국민의 총의 라고 봅니다
3
듣보잡
제목부터 추천
초밥은연어
감성적인거 빼고 정부기관도 관심이 없어요

연령 별 혼인율 최신 데이터가 2019년 기준 83,88,93년생 남녀 혼인율 밖에 없고 관련해서 기사가 뜨니까 그제서야 2022년 기준 자료 만들고 있다고 하는데 언제 나올지...
스티브잡스
노키즈 존만 봐도 뭐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8629 기타"다 안다" 착각 부르는 '보고 중독' 13 the 24/08/15 2670 13
37706 사회대학 ‘천원의 식사’ 인기 이면엔…‘1인 200식’ 조리 노동자 골병 5 구밀복검 24/04/13 2659 13
35596 국제"학부모 악마화는 해법 아냐" 교권 붕괴 먼저 겪은 일본서 배운다 21 카르스 23/07/31 2670 13
34940 사회한국은 '아이 낳아라' 말할 자격도 없는 나라다 9 뉴스테드 23/06/05 2653 13
34557 사회사회화되지 않는 손실 7 구밀복검 23/05/09 2663 13
33838 정치여당 "의원 정수 절대 증원 없다…전원위 개최 여부 다시 판단" 32 물냉과비냉사이 23/03/20 2661 13
33294 사회2001 아카시 유족이 2022 이태원 유족에게 6 dolmusa 23/02/02 2260 13
33193 사회"지하철 이용자는 전장연 시위 지지하기 어렵다" 사실일까? 30 구밀복검 23/01/26 2661 13
32121 정치"주최 없다" 정부와 경찰 반복된 주장…8년 전 매뉴얼엔 8 매뉴물있뉴 22/11/05 3184 13
30744 사회‘무릎 꿇은 호소’ 그 후 5년, 무엇이 달라졌을까? 1 늘쩡 22/08/06 2802 13
29882 사회“지각한 시간도 근무 인정”…전장연 시위 ‘지각 연대’ 합니다 8 늘쩡 22/06/15 2902 13
29165 사회"쉬게 해달라" 굶는 노동자에게 '빠바'는 '비타500'을 건넸다 5 자공진 22/04/22 2993 13
28538 국제“우크라이나와 대만 위기는 연결된다…‘노’라고 할 수 있는 한국이 중요” 6 구밀복검 22/03/09 3289 13
28387 정치러시아의 침공 원인, 이재명 “젤렌스키 때문” 윤석열 “억지력 부족” 59 syzygii 22/02/26 6021 13
28335 정치장애인 지하철 시위 현장 찾은 심상정 “이재명·윤석열·안철수도 약속하라” 9 ギラギラ 22/02/24 3601 13
26203 사회시민의 신뢰 좀먹는 정치 16 소요 21/10/18 2923 13
23377 사회2021. 2. 19. 서울광장 1천명 운집. 61 나코나코나 21/02/19 6610 13
22249 사회내가 퇴사하는 이유 5 호라타래 20/11/09 3634 13
21039 사회서철모 화성시장, “가족이 있는데 왜 국가가 장애인 돌보나” 망언 22 자공진 20/07/18 4333 13
19311 정치與 "이념·성소수자 등 소모적 논쟁 유발 정당과는 연합 안 해" 31 Schweigen 20/03/17 3610 13
19260 사회"우리 매장 다녀 간 확진자... 빠른 쾌유를 빌어요" 2 하트필드 20/03/13 3930 13
19133 사회김용현씨 인터뷰 1 기아트윈스 20/03/08 2194 13
19094 사회"눈물이… 고맙습니다" 경북에 보낸 전남 `사랑 도시락' 감동 3 Schweigen 20/03/05 2651 13
18910 사회‘한 달 살기’ 그 후 1년 대림동을 다시 가다 4 자공진 20/02/26 2639 13
18047 외신[일본-뉴스포스트세븐] 젊은 성우와의 결혼을 꿈꾸는 45세 「어린이 방 아저씨」의 말로 11 자공진 20/01/02 4046 13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