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3/04/29 15:31:10 |
Name | 뉴스테드 |
Subject | 클레오파트라가 흑인이라는 다큐에… “오바마는 백인, 북극곰은 흑곰?” |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60760 ‘퀸 클레오파트라’의 감독 티나 가라비는 언론 인터뷰에서 “어린 시절 (백인) 배우 엘리자베스 테일러가 클레오파트라를 연기한 영화를 본 기억이 있다. 나는 그때 ‘이미지와 맞지 않는다’고 느꼈다. 클레오파트라의 피부색이 그렇게 하얗던가?”라고 한 뒤, 수차례 클레오파트라가 흑인이었을 가능성에 대해 시사했다. “왜 클레오파트라가 흑인이어선 안 되나” “왜 어떤 사람들에겐 그녀가 백인이어야 하나” “확실하진 않지만 그녀는 엘리자베스 테일러 같은 백인은 아니었을 것” 등이다. 가라비는 새 작품의 의미에 대해 “할리우드가 그녀에게 가한 억압을 풀어주는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클레오파트라는 백인이었다는 게 학계의 중론이다. 클레오파트라는 기원전 51년부터 기원전 30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마지막 파라오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시조는 마케도니아 왕국 출신이다. 그리스계 백인 혈통인 데다, 근친혼을 한 왕조이기 때문에 흑인일 가능성은 낮다. 과거 일각에서 클레오파트라의 어머니가 이집트 출신이라고 주장하며 흑인 혈통이 섞였을 가능성을 제기한 바 있지만, 이 역시 ‘이집트인은 무조건 흑인’이라는 편견을 반영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 'Political Correctness' 도 적당히 해야 공감을 얻을 수 있을텐데 극단적인 PC에 반동이 커지면 정반합의 논리로 제자리를 찾아가게 될까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뉴스테드님의 최근 게시물
|
흑인배우를 조지워싱턴역으로 캐스팅하고 칭찬받았던 뮤지컬도 있고... 이건 흑인을 캐스팅한게 문제가 된게 아니고 pc가 문제인건 더더욱 아닙니다. 쓰잘데기없이 '클레오파트라는원래흑인이다'같은 개소리를 해서 문제..
'클레오파트라는 원래 흑인이다.' 라는 말을 하거나 역사 다큐멘터리에 블랙워싱을 할 수 있었던 배경에 PC가 있었다고 보여져서... 아주 영향이 없다고는 볼수없지 않을까요? ㅎㅎㅎㅎㅎ
클레오파트라가 흑인인게 왜 폴리티컬리 코렉트한지도 모르겠읍니다. ㅋㅋㅋㅋㅋ
'예수는 중동인이지 유럽 백인이 아니다'는 PC지만 '클레오파트라가 흑인이다.'는 걍 똥멍청 아닌가.. ㅋㅋ
'예수는 중동인이지 유럽 백인이 아니다'는 PC지만 '클레오파트라가 흑인이다.'는 걍 똥멍청 아닌가.. ㅋㅋ
원작이 있거나 역사물 픽션에 블랙워싱이 자주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역사 다큐에도 블랙워싱이 이루어지는 풍토를 만들어 줬다고 생각하면 단순히 멍청이로 받아들이기에는 저향감이 있습니다.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3041910204743689
'퀸 클레오파트라'는 윌 스미스와 그의 아내 제이다 핀켓 스미스가 설립한 제작사의 다큐멘터리다. 실제 제이다 핀켓 스미... 더 보기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3041910204743689
'퀸 클레오파트라'는 윌 스미스와 그의 아내 제이다 핀켓 스미스가 설립한 제작사의 다큐멘터리다. 실제 제이다 핀켓 스미... 더 보기
원작이 있거나 역사물 픽션에 블랙워싱이 자주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역사 다큐에도 블랙워싱이 이루어지는 풍토를 만들어 줬다고 생각하면 단순히 멍청이로 받아들이기에는 저향감이 있습니다.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3041910204743689
'퀸 클레오파트라'는 윌 스미스와 그의 아내 제이다 핀켓 스미스가 설립한 제작사의 다큐멘터리다. 실제 제이다 핀켓 스미스는 '퀸 클레오파트라'의 기획 의도를 통해 "우리는 흑인 여왕에 대한 이야기를 자주 보거나 듣지 않았다, 저와 제 딸, 그리고 흑인 커뮤니티가 그런 이야기를 알 수 있다는 것은 정말 중요했다"라며 클레오파트라가 흑인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
단순한 멍청이가 아니라 알면서도 우기는 경향을 느꼈기에 더욱 그러합니다.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3041910204743689
'퀸 클레오파트라'는 윌 스미스와 그의 아내 제이다 핀켓 스미스가 설립한 제작사의 다큐멘터리다. 실제 제이다 핀켓 스미스는 '퀸 클레오파트라'의 기획 의도를 통해 "우리는 흑인 여왕에 대한 이야기를 자주 보거나 듣지 않았다, 저와 제 딸, 그리고 흑인 커뮤니티가 그런 이야기를 알 수 있다는 것은 정말 중요했다"라며 클레오파트라가 흑인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
단순한 멍청이가 아니라 알면서도 우기는 경향을 느꼈기에 더욱 그러합니다.
나무위키에서 찾아보니 이렇다고 합니다.
https://namu.wiki/w/%EC%95%84%ED%94%84%EB%A6%AC%EC%B9%B4%EC%A4%91%EC%8B%AC%EC%A3%BC%EC%9D%98
대응도 골치아프고, 인지도도 낮으며, 평생동안 공부해야 하는 진짜 역사 속에서 실존했고 번영했던 아프리카 제국들은 자연스럽게 "쓰기 어려우니까"란 이... 더 보기
https://namu.wiki/w/%EC%95%84%ED%94%84%EB%A6%AC%EC%B9%B4%EC%A4%91%EC%8B%AC%EC%A3%BC%EC%9D%98
대응도 골치아프고, 인지도도 낮으며, 평생동안 공부해야 하는 진짜 역사 속에서 실존했고 번영했던 아프리카 제국들은 자연스럽게 "쓰기 어려우니까"란 이... 더 보기
나무위키에서 찾아보니 이렇다고 합니다.
https://namu.wiki/w/%EC%95%84%ED%94%84%EB%A6%AC%EC%B9%B4%EC%A4%91%EC%8B%AC%EC%A3%BC%EC%9D%98
대응도 골치아프고, 인지도도 낮으며, 평생동안 공부해야 하는 진짜 역사 속에서 실존했고 번영했던 아프리카 제국들은 자연스럽게 "쓰기 어려우니까"란 이유로 외면받고, 대신 고대 이집트인 흑인설 같은, 입만 교묘하게 털면 되는 역사왜곡은 너무나도 편리하다. 정리하자면 왜곡된 아프로센트리즘의 부상은 북미의 정치, 사회적 인종 갈등과 맞물린 상태에서 해소 방향을 제시해야 할 역사학적, 인문학적 연구가 현실 아프리카의 물리적 여건 때문에 해결 방안이 되지 못하자, '간편한 대안'으로서 튀어나왔고, 이런 인문학적 악조건 때문에 증폭되는 현상이라 볼 수 있다.
https://namu.wiki/w/%EC%95%84%ED%94%84%EB%A6%AC%EC%B9%B4%EC%A4%91%EC%8B%AC%EC%A3%BC%EC%9D%98
대응도 골치아프고, 인지도도 낮으며, 평생동안 공부해야 하는 진짜 역사 속에서 실존했고 번영했던 아프리카 제국들은 자연스럽게 "쓰기 어려우니까"란 이유로 외면받고, 대신 고대 이집트인 흑인설 같은, 입만 교묘하게 털면 되는 역사왜곡은 너무나도 편리하다. 정리하자면 왜곡된 아프로센트리즘의 부상은 북미의 정치, 사회적 인종 갈등과 맞물린 상태에서 해소 방향을 제시해야 할 역사학적, 인문학적 연구가 현실 아프리카의 물리적 여건 때문에 해결 방안이 되지 못하자, '간편한 대안'으로서 튀어나왔고, 이런 인문학적 악조건 때문에 증폭되는 현상이라 볼 수 있다.
일단 오바마는 누가 플레이해도 피부색에 상관없이 살해협박을 받게 되어있는 캐릭터라는 걸 기억해야 하고...ㅋㅋ
오바마 백인 밈은 첫 대선 레이스때부터 유행하던 거라서 딱히 백인이 연기한다고해서 기본값에 해당하는 수준 이상의 살해협박을 받을 거 같진 않네요.
오바마 백인 밈은 첫 대선 레이스때부터 유행하던 거라서 딱히 백인이 연기한다고해서 기본값에 해당하는 수준 이상의 살해협박을 받을 거 같진 않네요.
이게 최근 나타난 것도 아니고 꽤 연식이 된 주장(?) 이군요. 94년도 기사에도 나와 있는걸 보면..
위엣분이 말씀하신 것 처럼 환빠 분류의 주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878700#home
『서구문명은 이집트군이 에게해를 정복해 탄생시켰다… 클레오파트라는 흑인이었다… 소크라테스도 흑인이었고,수학도 흑인에 의해 발명되었다… 베토벤의 직계선조가 스페인 군대에 속해있던 무어족의 군사였으므로 그 역시 흑인으로 봐야 한다….』
위엣분이 말씀하신 것 처럼 환빠 분류의 주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878700#home
『서구문명은 이집트군이 에게해를 정복해 탄생시켰다… 클레오파트라는 흑인이었다… 소크라테스도 흑인이었고,수학도 흑인에 의해 발명되었다… 베토벤의 직계선조가 스페인 군대에 속해있던 무어족의 군사였으므로 그 역시 흑인으로 봐야 한다….』
올려주신 기사를 보고 아프로센트리즘을 검색해 봤습니다. 사실 제 지식이 미천하여 처음 들어본 용어였는데 찾아보니 이번 경우는 PC주의의 문제점이라기 보다는 아프로센트리즘의 문제점으로 봐도 무방할것 같네요.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SrncCqtbv8&t=9s
백제와 일본이 흑인들의 역사라고 주장하는 유튜브도 있는걸 보니 재미는 있습니다. 더 찾아봐야 할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ㅋㅋㅋㅋㅋㅋㅋ
https://www.youtube.com/watch?v=BSrncCqtbv8&t=9s
KUDARA, THE MIDDLE KINGDOM AND LIGHT OF ASIA HISTORY, FOUNDING PEOPLE OF JAPAN (Japanese CC)
백제와 일본이 흑인들의 역사라고 주장하는 유튜브도 있는걸 보니 재미는 있습니다. 더 찾아봐야 할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ㅋㅋㅋㅋㅋㅋㅋ
이런 것은 위에 나무위키 댓글 링크 거신대로, pc보다는 아프리카중심주의에 해당할 것 같아요. 항상 진영의 일부는 극단적인 주장을 하니까 저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주장인지가 관건이겠네요.
이와 비슷한 반 과학적 진보주의자는 어디에나 있었거든요. 남성-여성의 생물학적 차이가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 자연은 무조건 좋다, 비건이 무조건 좋다 등등.. 근데 그렇다고 보통은 그 진영 전체가 폐급 취급 받지는 않습니다.
이와 비슷한 반 과학적 진보주의자는 어디에나 있었거든요. 남성-여성의 생물학적 차이가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 자연은 무조건 좋다, 비건이 무조건 좋다 등등.. 근데 그렇다고 보통은 그 진영 전체가 폐급 취급 받지는 않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