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3/04/18 14:08:08 |
Name | 뉴스테드 |
Subject | 사우디 감산에 말 못하는 미국…왕년의 미국이 아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461636?sid=104 지난달 29일 사우디 국영 SPA 통신에 따르면 사우디는 중국이 주도하는 정치·경제·안보 동맹인 상하이협력기구에 공식 합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대다수 회원국이 반미 연대를 강화하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의 우호국입니다. 여기에 더해 지난 6일 중국 베이징에서 사우디와 이란의 외무장관, 그리고 중국 외교부장이 서로 손을 맞잡은 장면은 중동에 앞으로 큰 변화가 있을 것을 예고했습니다. 앙숙이었던 사우디와 이란이 관계 정상화 합의 후 이행 조치를 논의했는데, 두 나라 외교 장관의 가운데에 미국이 아닌 중국 외교부장이 서 있었다는 점이 크게 조명을 받았습니다. 이 변화를 미국이 아닌 중국이 이끌었다는 점, 사우디가 미·중 패권 경쟁 속에 중국과도 손을 잡고 있다는 점은 미국이 더는 '왕년의 미국'이 아니라는 점을 각인시켜줬습니다. 미국은 그동안 해왔던 것처럼 재정적·군사적 수단을 통해 달러 패권을 놓지 않으려 시도하겠지만, 중동 외교가 자꾸 흔들리고 페트로 달러가 위협받으면 받을수록 달러 패권은 흔들리고 과거 달러의 위상은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 국가간의 관계에 옳고 그름을 따지는 것은 공허한 얘기라고 봅니다. 패권국가들의 삽질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약소 국가들은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지는 현실을 받아 들여야만 하겠지요. 인생도 그렇지만 정답이 없는 문제라서 더 골치가 아픕니다. 미약한 개인의 입장에서는 올드팝이나 찾아 들으며 마음의 평안을 찾아야지 별 수가 없어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뉴스테드님의 최근 게시물
|
저는 미국의 패권이 공고하다는 생각이었는데, 최근 - 트럼프도 아니고 - 바이든정부 행보를 보면서 생각이 조금씩 바뀌는것 같습니다. 패권은 결국 상호이익 하에서 완성되는건데, 자국우선주의로 한국이나 유럽에서 계속 잡음이 들려오고 있어요.
고립주의로 가려는지 모르겠지만, 생전에 중국의 패권을 보려나 싶어서 두렵읍니다. 중국의 패권은 어떤식으로든 미국보다 더 강압적일것 같아서요.
고립주의로 가려는지 모르겠지만, 생전에 중국의 패권을 보려나 싶어서 두렵읍니다. 중국의 패권은 어떤식으로든 미국보다 더 강압적일것 같아서요.
OPEC 의 감산은 '왕년의 미국' 시절에도 잘만 해왔는 걸요? 만약 이번 감산이 미국의 핵심 국익을 침해하는 거였으면 (예를 들면 작년 한창 인플레가 높을 때의 미국 시점이었으면) 어떤 수를 써서든 (... 쿠데타?) 막았을 겁니다. 지금은 미국이 인플레가 낮아지면서 여유가 생기고, 반대로 OPEC 은 높일만한 이유가 있으니 가만히 보고 있는 거지요.
페트로 달러 지위가 흔들리는 것 같아요.
그 동안에는 중동에서 석유로 번 돈을 미국채를 사주면서 기축통화 지위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줬지만
중국이 돈을 벌기 시작하면서 중국은 그만큼 미국채를 안사주니까.
중국은 그 돈으로 러시아, 아프리카에 프랑스, 독일까지 꼬시고 있고.
그 동안에는 중동에서 석유로 번 돈을 미국채를 사주면서 기축통화 지위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줬지만
중국이 돈을 벌기 시작하면서 중국은 그만큼 미국채를 안사주니까.
중국은 그 돈으로 러시아, 아프리카에 프랑스, 독일까지 꼬시고 있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