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3/01/06 21:08:21 |
Name | Beer Inside |
File #1 | SHmLHwwtPY_hDd_X.mp4 (1.05 MB), Download : 2 |
Subject | 마이웨이 애플·저격나선 구글 …"글로벌 메시지 표준 참여하라" |
https://www.mk.co.kr/news/it/10597239 iMessage는 애플의 강력한 무기이지요. 메시지 시장 독점 판정이 나지 않으면 애플이 표준에 참여할 일은 없을 것 같기는 합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Beer Inside님의 최근 게시물
|
Google Talk, Google Voice, Google Buzz, Google+, Hangouts, Spaces, Allo, Hangouts chat ... 발버둥 보소...
GSMA나 삼성같은 애들이 10년 전부터 어떻게 비벼볼려고 할 때 좀 줘패고 약도 발라주면서 안드로이드 둥기둥기 해줬으면 밉지는 않았을텐데 말입니다.
GSMA나 삼성같은 애들이 10년 전부터 어떻게 비벼볼려고 할 때 좀 줘패고 약도 발라주면서 안드로이드 둥기둥기 해줬으면 밉지는 않았을텐데 말입니다.
전에 한 번 이야기 나온 것 같은데, 이 건은 구글 편을 들어주기 어렵읍니다
1) 정작 rcs 프로토콜조차도 통일이 안 되어 있읍니다. 구글조차도 표준을 다 지키는 것도 아닙니다
지역별 차이 이런 것도 아니고 당장 이통사별/제조사별 호환도 엉망이라 북미에서조차 이통사가 다르면 같은 갤럭시끼리도 호환이 안됩니다. 국내도 마찬가지입니다. 출시된 통신사에 심을 맞춰 꼽지 않거나 자급제로 사용할 경우 갤럭시 채팅플러스가 작동 안하거나 문자 송수신에 장애가 있읍니다
2) 위에 덜커덩님도 말씀하셨지만 구글이 말아먹은 메세징 솔루션이 한둘... 더 보기
1) 정작 rcs 프로토콜조차도 통일이 안 되어 있읍니다. 구글조차도 표준을 다 지키는 것도 아닙니다
지역별 차이 이런 것도 아니고 당장 이통사별/제조사별 호환도 엉망이라 북미에서조차 이통사가 다르면 같은 갤럭시끼리도 호환이 안됩니다. 국내도 마찬가지입니다. 출시된 통신사에 심을 맞춰 꼽지 않거나 자급제로 사용할 경우 갤럭시 채팅플러스가 작동 안하거나 문자 송수신에 장애가 있읍니다
2) 위에 덜커덩님도 말씀하셨지만 구글이 말아먹은 메세징 솔루션이 한둘... 더 보기
전에 한 번 이야기 나온 것 같은데, 이 건은 구글 편을 들어주기 어렵읍니다
1) 정작 rcs 프로토콜조차도 통일이 안 되어 있읍니다. 구글조차도 표준을 다 지키는 것도 아닙니다
지역별 차이 이런 것도 아니고 당장 이통사별/제조사별 호환도 엉망이라 북미에서조차 이통사가 다르면 같은 갤럭시끼리도 호환이 안됩니다. 국내도 마찬가지입니다. 출시된 통신사에 심을 맞춰 꼽지 않거나 자급제로 사용할 경우 갤럭시 채팅플러스가 작동 안하거나 문자 송수신에 장애가 있읍니다
2) 위에 덜커덩님도 말씀하셨지만 구글이 말아먹은 메세징 솔루션이 한둘이 아닙니다. 그래놓고 이제 와서 rcs로 통일하자니 양심 ㅇㄷ.... 뭐라도 붙들고 잘 키웠으면 여기까지 오지 않았을 겁니다. (아니면 이통사들에게 자율성을 뺏었어야...)
3) 그리고 '이 문제를 해결하긴 해야 하나? 그 이전에 이게 문제인 건 맞나?' 라는 회의론이 존재하는게 usb-c 같은 글로벌 스케일의 논란과 달리 이건 북미 한정 문제에 가깝읍니다. rcs가 아쉬운 건 구글 + 이통사들 뿐이고 일반 휴대전화 사용자 입장에선 지역별로 대세 im 서비스가 있기 때문에 (한국은 카톡, 일본/대만은 라인, 중국은 위챗, 유럽/아프리카는 왓츠앱 등등...) 크로스플랫폼이 문제가 되지 않읍니다
1) 정작 rcs 프로토콜조차도 통일이 안 되어 있읍니다. 구글조차도 표준을 다 지키는 것도 아닙니다
지역별 차이 이런 것도 아니고 당장 이통사별/제조사별 호환도 엉망이라 북미에서조차 이통사가 다르면 같은 갤럭시끼리도 호환이 안됩니다. 국내도 마찬가지입니다. 출시된 통신사에 심을 맞춰 꼽지 않거나 자급제로 사용할 경우 갤럭시 채팅플러스가 작동 안하거나 문자 송수신에 장애가 있읍니다
2) 위에 덜커덩님도 말씀하셨지만 구글이 말아먹은 메세징 솔루션이 한둘이 아닙니다. 그래놓고 이제 와서 rcs로 통일하자니 양심 ㅇㄷ.... 뭐라도 붙들고 잘 키웠으면 여기까지 오지 않았을 겁니다. (아니면 이통사들에게 자율성을 뺏었어야...)
3) 그리고 '이 문제를 해결하긴 해야 하나? 그 이전에 이게 문제인 건 맞나?' 라는 회의론이 존재하는게 usb-c 같은 글로벌 스케일의 논란과 달리 이건 북미 한정 문제에 가깝읍니다. rcs가 아쉬운 건 구글 + 이통사들 뿐이고 일반 휴대전화 사용자 입장에선 지역별로 대세 im 서비스가 있기 때문에 (한국은 카톡, 일본/대만은 라인, 중국은 위챗, 유럽/아프리카는 왓츠앱 등등...) 크로스플랫폼이 문제가 되지 않읍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