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2/11/01 19:34:00 |
Name | 서포트벡터(허락해주세요) |
Subject | 흥국생명, 달러화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미행사…시장 신뢰↓ |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40314 흥국생명이 5억달러 어치의 신종자본증권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기로 했군요 제 일천한 지식으로 말하자면, 신종자본증권은 준 영구채권인 대신 콜옵션이 붙어있는데, 보통 매입기일을 정하고 그 때까지 매입을 못하면 금리를 늘리는 방식입니다. 이런 채권을 발행하는 이유는 장기채권은 부채가 아니라 자산으로 잡히기 때문인데요... 다른 기사들을 종합해보면, 흥국생명이 일종의 롤오버를 위해 11월 9일경 새로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려고 했었는데요, 여기에 대해 수요조사해본 결과 예상을 훨씬 밑돈 모양입니다. 결국 새 채권 발행과 콜옵션 행사를 포기했네요. 여기서 콜옵션을 행사하지 못한다면 시장 전체의 신뢰도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겠군요. 기존에는 2009년에 유사한 사건이 우리은행에서 발생했었습니다. 여러모로 강원도발 신용경색이 어마어마한 후폭풍을 부르는 느낌입니다. 이러다가 어딘가 하나 무너지면 그때부터 시작인데...부디 그런 일이 없길 기원합니다. 0
|
제가 잘 모르는 내용이라 그런데...
본문에 적어주신 신종자본증권에 대한 설명으로 생각하자면 콜옵션의 결정이 회사측에서 5년물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고 유지시켜서 높은금리로 땜빵하겠다는거 같고
애초에 조건대로보니 그냥 현존 시장조달 5년물 이자 > 5년전 이자 + 매입못하면 늘어난 금리 라면 회사측에서 롤유지시키는게 이득인거 아닌가요?
시장조달 금리가 그만큼 높다는 얘기같은데, 시장신뢰가 흔들릴만한 일인지 잘 모르겠네요.
그냥 지금까지 다 콜옵션 행사했기때문에 안한게 큰일이 되는건가요?
... 더 보기
본문에 적어주신 신종자본증권에 대한 설명으로 생각하자면 콜옵션의 결정이 회사측에서 5년물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고 유지시켜서 높은금리로 땜빵하겠다는거 같고
애초에 조건대로보니 그냥 현존 시장조달 5년물 이자 > 5년전 이자 + 매입못하면 늘어난 금리 라면 회사측에서 롤유지시키는게 이득인거 아닌가요?
시장조달 금리가 그만큼 높다는 얘기같은데, 시장신뢰가 흔들릴만한 일인지 잘 모르겠네요.
그냥 지금까지 다 콜옵션 행사했기때문에 안한게 큰일이 되는건가요?
... 더 보기
제가 잘 모르는 내용이라 그런데...
본문에 적어주신 신종자본증권에 대한 설명으로 생각하자면 콜옵션의 결정이 회사측에서 5년물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고 유지시켜서 높은금리로 땜빵하겠다는거 같고
애초에 조건대로보니 그냥 현존 시장조달 5년물 이자 > 5년전 이자 + 매입못하면 늘어난 금리 라면 회사측에서 롤유지시키는게 이득인거 아닌가요?
시장조달 금리가 그만큼 높다는 얘기같은데, 시장신뢰가 흔들릴만한 일인지 잘 모르겠네요.
그냥 지금까지 다 콜옵션 행사했기때문에 안한게 큰일이 되는건가요?
https://m.blog.naver.com/hwnolboo/221283549438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미행사 위험)
https://m.blog.naver.com/hwnolboo/221286187678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미행사 사례(1/2)
https://m.blog.naver.com/hwnolboo/221306406750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미행사 사례(1/2)
찾아보니 2017년 프랑스 크레디아그리콜 은행 사례나 독일 코메르츠방크, 스탠다드 차티드 은행 사례도 있는데
그때 뭔가 큰일이 있었다고 들은게 있나? 싶어서 국지적으로만 크고 세계적인 일은 아닌가 싶기도 한데...
어쨌든 단기간 채권시장의 냉기는 한층 심해지겠네요
본문에 적어주신 신종자본증권에 대한 설명으로 생각하자면 콜옵션의 결정이 회사측에서 5년물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고 유지시켜서 높은금리로 땜빵하겠다는거 같고
애초에 조건대로보니 그냥 현존 시장조달 5년물 이자 > 5년전 이자 + 매입못하면 늘어난 금리 라면 회사측에서 롤유지시키는게 이득인거 아닌가요?
시장조달 금리가 그만큼 높다는 얘기같은데, 시장신뢰가 흔들릴만한 일인지 잘 모르겠네요.
그냥 지금까지 다 콜옵션 행사했기때문에 안한게 큰일이 되는건가요?
https://m.blog.naver.com/hwnolboo/221283549438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미행사 위험)
https://m.blog.naver.com/hwnolboo/221286187678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미행사 사례(1/2)
https://m.blog.naver.com/hwnolboo/221306406750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미행사 사례(1/2)
찾아보니 2017년 프랑스 크레디아그리콜 은행 사례나 독일 코메르츠방크, 스탠다드 차티드 은행 사례도 있는데
그때 뭔가 큰일이 있었다고 들은게 있나? 싶어서 국지적으로만 크고 세계적인 일은 아닌가 싶기도 한데...
어쨌든 단기간 채권시장의 냉기는 한층 심해지겠네요
같은 시간 주주입장에서는 나쁠 것이 없으니 주가는 별로 반응도 없었고, 신용위험을 보여주는 지표인 CDS(Credit Default Swap) 프리미엄도 움직이지 않았습니다.
시장에서는 발행사가 회사이익 극대화를 위하여 신종자본증권이 콜을 하지 않는다고 하여도 더 이상 뉴스나 언론에서도 큰 이슈가 되지 않았구요. 생각보다는 평온했습니다. ACAFP 6.637% Perp 투자들만 빼구요..
----------------------------------------------------
뒤에 내용을 마저 읽어보니 시장에서도 전혀 반응 없었다는 얘기가 있어서...이게 큰일인가? 잘 모르겠네요
나중에 잘 아시는 현직자분글이나 유튜브 관련내용이라도 한번 봐야겠어요.
시장에서는 발행사가 회사이익 극대화를 위하여 신종자본증권이 콜을 하지 않는다고 하여도 더 이상 뉴스나 언론에서도 큰 이슈가 되지 않았구요. 생각보다는 평온했습니다. ACAFP 6.637% Perp 투자들만 빼구요..
----------------------------------------------------
뒤에 내용을 마저 읽어보니 시장에서도 전혀 반응 없었다는 얘기가 있어서...이게 큰일인가? 잘 모르겠네요
나중에 잘 아시는 현직자분글이나 유튜브 관련내용이라도 한번 봐야겠어요.
2018년 발간된 삼성증권 코코본드 투자 매뉴얼을 보면 우리은행 당시에는 CDS스프레드가 엄청나게 오르기는 했었네요...
동일한 사태가 다시 터질수도 있겠지만, 콜옵션 미행사 사례가 처음이라 그랬던거일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우리은행, 영구채 상환으로 손실흡수력↓···추가 자본확충 할까>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64252... 더 보기
동일한 사태가 다시 터질수도 있겠지만, 콜옵션 미행사 사례가 처음이라 그랬던거일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우리은행, 영구채 상환으로 손실흡수력↓···추가 자본확충 할까>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64252... 더 보기
2018년 발간된 삼성증권 코코본드 투자 매뉴얼을 보면 우리은행 당시에는 CDS스프레드가 엄청나게 오르기는 했었네요...
동일한 사태가 다시 터질수도 있겠지만, 콜옵션 미행사 사례가 처음이라 그랬던거일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우리은행, 영구채 상환으로 손실흡수력↓···추가 자본확충 할까>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64252
콜옵션 행사는 발행사가 투자자들과 맺은 암묵적인 약속이다. 만약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으면 시장에서 평판이 크게 악화돼 향후 자금 조달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 2009년 우리은행이 4억달러 규모 후순위채권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았다가 글로벌 투자은행 등으로부터 잇달아 비판을 받은 바 있다.] 결국 우리은행은 바로 새로운 후순위채 발행으로 차환해줘 문제를 가까스로 해결한 바 있다.
그냥 흥국생명의 시장 평판이 박살나는 정도나 흥국생명 신종자본증권 투자자들만 피해받는 선에서 끝나기를 행복회로 굴려봅니다.
+ 계열사 찾아보니 나무위키상에는 <흥국화재, 흥국증권, 흥국자산운용, 고려저축은행, 예가람저축은행과 흥국금융가족>로 되어있어서 얘네들은 주의가 필요할것 같고...
논란 탭 보니 <2021년에만 '보험금 만족도 꼴찌' 흥국생명, 환골탈태에 '안간힘', 흥국생명, 보험 지급여력 '최하위'과 같은 소비자 불만족 기사가 이어졌다. 오죽하면 기사 제목이 보험금 안 주는 보험사 흥국생명, 올해는 바뀔까?일 정도이다. 모기업인 태광그룹발 오너 리스크도 지속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란 내용도 보이는군요... 회사 자체의 신뢰가 많이 낮은 상태라 새로운 채권발행을 실패했나봅니다.
동일한 사태가 다시 터질수도 있겠지만, 콜옵션 미행사 사례가 처음이라 그랬던거일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우리은행, 영구채 상환으로 손실흡수력↓···추가 자본확충 할까>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64252
콜옵션 행사는 발행사가 투자자들과 맺은 암묵적인 약속이다. 만약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으면 시장에서 평판이 크게 악화돼 향후 자금 조달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 2009년 우리은행이 4억달러 규모 후순위채권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았다가 글로벌 투자은행 등으로부터 잇달아 비판을 받은 바 있다.] 결국 우리은행은 바로 새로운 후순위채 발행으로 차환해줘 문제를 가까스로 해결한 바 있다.
그냥 흥국생명의 시장 평판이 박살나는 정도나 흥국생명 신종자본증권 투자자들만 피해받는 선에서 끝나기를 행복회로 굴려봅니다.
+ 계열사 찾아보니 나무위키상에는 <흥국화재, 흥국증권, 흥국자산운용, 고려저축은행, 예가람저축은행과 흥국금융가족>로 되어있어서 얘네들은 주의가 필요할것 같고...
논란 탭 보니 <2021년에만 '보험금 만족도 꼴찌' 흥국생명, 환골탈태에 '안간힘', 흥국생명, 보험 지급여력 '최하위'과 같은 소비자 불만족 기사가 이어졌다. 오죽하면 기사 제목이 보험금 안 주는 보험사 흥국생명, 올해는 바뀔까?일 정도이다. 모기업인 태광그룹발 오너 리스크도 지속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란 내용도 보이는군요... 회사 자체의 신뢰가 많이 낮은 상태라 새로운 채권발행을 실패했나봅니다.
이 코코본드 라는 게 유사 시 상환이 안되는 조건이 붙은 거 잖아요. 리스크 프리미엄이 붙어있는 게 당연하고, 회사는 고금리에 수반된 권리를 행사한 걸로 보인다는거죠.
프리미엄이 없다면 사람들이 코코본드 대신 조건없는 일반 채권으로 갔을 거란 얘기였습니다.
프리미엄이 없다면 사람들이 코코본드 대신 조건없는 일반 채권으로 갔을 거란 얘기였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