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말씀중에 죄송합니다만 산업 규격의 표준화야 말로 국가가 나서서 해야할 일이죠.
한국 역시 산업통상자원부 아래에 국가기술표준원을 두고 관련 업무를 집행합니다. https://www.kats.go.kr/main.do
한국 역시 산업통상자원부 아래에 국가기술표준원을 두고 관련 업무를 집행합니다. https://www.kats.go.kr/main.do
반대로 산업표준화는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큰 것으로 간주됩니다. 이건 수많은 논문이나 연구자료를 살펴봐도 그와 같이 나옵니다. 제가 위에도 장난처럼 댓글로 적긴 했지만, 중국을 처음 통일한 진시황이 한 업무가 도량형을 통일 한 것이고요. 진시황이 분서갱유와 같은 폭정에도 불구하고 고평가 받는 업적이기도 합니다. 표준화는 도량형 통일과 같은 맥락입니다. 소금님께서 기술 발전에 악영향 주는거 아니냐고 우려하시는건 개인 견해니 뭐라 할 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입장은 아니에요.
아주 단순하게만 생각해도 지금 아이폰은 8핀 충전기 쓰고, 구형 안드로이드폰은 5핀 쓰고, 신형은 C타입으로 나눠져 있는거 자체가 아주 불편하다고 생각하는 사람 많습니다.
아주 단순하게만 생각해도 지금 아이폰은 8핀 충전기 쓰고, 구형 안드로이드폰은 5핀 쓰고, 신형은 C타입으로 나눠져 있는거 자체가 아주 불편하다고 생각하는 사람 많습니다.
애플 같은 독자규격 생태계는 성능과 관계 없는 진입장벽을 만들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한 신규 사업자가 시장에 진입하기 어렵게 됩니다.
세상에 모든 행위는 손해와 이득이 함께 있죠. 근데 이 경우는 시기도 2024년으로 정해둔 상태이며 종합적으로 봤을때 악영향보다 이득이 훨씬 크다고 생각이 되네요.
말씀하신대로 악영향을 우려해서 적절한 수준에서의 개입으로 제한하는게 옳습니다.
근데 애플은 개입해도 되는 수준이예요. 수많은 사람들의 시간을 암암리에 뺏고있고, 그 시간들만 모아도 인류는 어마어마한 시간을 아낄수 있죠.
근데 애플은 개입해도 되는 수준이예요. 수많은 사람들의 시간을 암암리에 뺏고있고, 그 시간들만 모아도 인류는 어마어마한 시간을 아낄수 있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