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2/06/21 19:52:06
Name   당근매니아
Subject   "파티 끝났다" 호화청사 철퇴 尹…文정부 '공공부문' 정조준?
[연합뉴스] "파티 끝났다" 호화청사 철퇴 尹…文정부 '공공부문' 정조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260239?sid=100

다른 부분들보다 공기업 청사를 매각하라고 주문한 내용이 눈에 띄네요.
해당 부분을 보면서 든 의문이 몇가지 있습니다.

1. 공기업은 지역 안배해서 외진 곳에 배치된 경우가 많은데, 그 청사를 매입한 민간주체는 그걸 어디다 써먹을까.
2. 공기업 청사를 매각하고 나면 그 외진 곳에서 사무공간을 어떻게 찾아서 입주하게 될까.
3. 사무공간을 새로 마련하는 건 어찌되었건 추가적인 비용 지출이 발생하지 않나.

이런 의문들을 엮어보면 아마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해결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① 우선 민간에 공기업 청사를 매각하고, ② 민간업체가 청사를 매각한 공기업에게 사무공간을 임대해주고,
③ 공기업은 사무공간 임대에 대한 비용을 민간업체에 지불하면....... 암튼간에 문제 해결?



0


주식못하는옴닉
정리(물리)


사실 공공기관보다는 무슨 말도 안되는 위원회 여기에서 칼질이 많이 일어날 거 같은 느낌적 느낌이
2
Beer Inside
그게 정상적인 사고인데 그렇게 될 지는
퓨질리어

출처: 네이버 지도

매각한다면 몇 채나 팔릴까요.
저희 동네에 있는 한국가스공사만 하더라도 허허벌판이 펼쳐진 외진 곳에 덩그렇게 있는데
과연 사서 들어올 기업이 있을지요 ㅋㅋㅋ
1
매뉴물있뉴
한전 삼성동 부지 같은 사례가 아직 어디 남았나요...???;;;;;
도대체 파티는 무슨 언제 파티를 했다는거야..역무실에 날아다니는 파리잡을 에프킬라도 안사줘서 사비로 샀습니다 쿠팡 로켓배송 좋아요 시부엉...
2
그과정에서 수의계약업체는 비공개로 모 업체에게 맡기게 될듯...
6
정중아
https://n.news.naver.com/article/081/0002375703?sid=101
“공공기관 방만경영 파티 끝났다”
입력2013.11.14. 오후 7:07

역사는 반복…?
인건비 부터 줄일 듯 ㅋㅋㅋ
괄하이드
어차피 건축비는 그게 그거고 땅값이 중요할텐데, 지방 척박한대로 보내놓고 땅값 엄청 싼 곳에 넉넉한 크기로 지은 청사를 호화청사라고 할수있는건가요..?
4
이거 기사 제목이 과하게 편파적이네요.
'과하게 넓은 사무공간', '너무나 호화로운 청사', '고연봉 임원진', '과도한 복지제도'
이 4가지를 모두 문제시했다고 하는데 어째서 호화 청사 하나만 얘기하는걸까요?
댓글들도 제목만 보고서 호화 청사 하나만 얘기하고??
[공공기관 부실] 척결과 [호화 청사] 척결은 완전히 다른 느낌의 제목인데...
1
다키스트서클
그냥 전시행정 + 해먹기 콤보 아닌가 시프요.
시트러스
정권 하나 끝나면 새로운 적자 공기업이 탄생하는데 방만경영 탓인가 봅니다.
제목과 기사를 보니 저 청사를 인수해서 공기업에 빨대 꽂으려면 어느정도 핵심이어야 할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MB 스타일 아닙니까.. 이런게..
에디아빠
지방이전 공기업의 건축규모 증가는 그동안 서울에서 공간부족에 시달렸던 원인도 있고(1인당 적정 면적 미달이나 자료 적치 문제 등...), 미래 채용 규모를 반영한 때문이기도 했었죠. 그때 분석이 틀렸다면 그게 잘못이고....
지방이전 혁신도시의 문화/체육 인프라 부족을 공공기관 이전시 부대시설로 계획함으로써 공공문화시설, 공공체육시설 등을 별도 사업으로 추진하는 것 보다 더 빠르게 공급할 수 있었다는 장점은 있었습니다. 계획인구만 있고 거주 인구가 없는데 공공시설 공급을 선제적으로 수행하기가 쉽지 않다보니....실제 이용과정이 ... 더 보기
지방이전 공기업의 건축규모 증가는 그동안 서울에서 공간부족에 시달렸던 원인도 있고(1인당 적정 면적 미달이나 자료 적치 문제 등...), 미래 채용 규모를 반영한 때문이기도 했었죠. 그때 분석이 틀렸다면 그게 잘못이고....
지방이전 혁신도시의 문화/체육 인프라 부족을 공공기관 이전시 부대시설로 계획함으로써 공공문화시설, 공공체육시설 등을 별도 사업으로 추진하는 것 보다 더 빠르게 공급할 수 있었다는 장점은 있었습니다. 계획인구만 있고 거주 인구가 없는데 공공시설 공급을 선제적으로 수행하기가 쉽지 않다보니....실제 이용과정이 어떤지 모든 사례를 알지 못합니다만 이런 경우는 대부분 시민 개방 공간으로 계획되기도 하였고....아무튼 그렇습니다. 최근에 서울은 공공자산을 어떻게든 쥐고 운영 효율성을 시도해보려는거 같은데 중앙정부는 내다 팔으라고 하고...좀 혜안이 아쉽습니다.
우스미
대통령이 말했으니 시늉은 해야하고 결국 사옥 매각후 재임대로 누군가는 꿀빨듯
스티브잡스
몇조씩 들여가면서 쓰잘데기 없는 이사가시는 분이 하실 말은 아닌거 같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918 사회 "정말 마비됐어요?"하며 다리를 쓱..미투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 알겠슘돠 18/03/28 2197 0
37937 사회 "제주서 2박‥전기료만 36만 원?" 휴가 장병 하소연에 '발칵' 5 Overthemind 24/05/13 2287 0
38619 과학/기술 "주차장 충전 안해도 돼"…현대차, '비장의 무기' 꺼낸다 18 과학상자 24/08/14 2077 0
24690 사회 "집도의가 메스 집어던지고 폭언"…공포의 수술실 16 다군 21/06/23 3700 0
11539 사회 "찜통더위에 미세먼지까지..창문도 못 열어 힘들어요" 1 알겠슘돠 18/07/17 2666 0
30640 사회 "초등교사 뽑을 필요없다" 부산교대 총장 고백 11 syzygii 22/08/01 2965 0
29997 정치 "파티 끝났다" 호화청사 철퇴 尹…文정부 '공공부문' 정조준? 16 당근매니아 22/06/21 3098 0
9937 사회 "하늘도 노했나"..전두환 기소된 날 사저엔 날벼락 3 Credit 18/05/06 2298 1
21676 사회 "해도 해도 너무해" 한강공원 '통제선' 뚫은 인파에 쏟아진 원성 9 swear 20/09/09 3076 0
35734 경제 “‘철근누락 사태’ 계기, 향후 분양가 더 빠른 속도로 오를 것” 5 swear 23/08/09 2758 1
34090 사회 “10초복귀!” 명령에 훈련병 수백명 계단서 우르르 15 swear 23/04/03 2761 0
27326 국제 “文정부가 틀린건가?” 유럽 녹색분류체계에 원전 포함시켜 6 empier 22/01/03 3399 0
19862 방송/연예 “그 돈? 너 잡는 데 쓸래”...하정우, 해킹 사건의 실마리 15 swear 20/04/20 3582 1
13908 사회 “남혐, 여혐의 리액션일 뿐… 기계적으로 나눈 ‘양성평등’의 산물” 17 swear 18/12/17 3092 0
27375 사회 “동의한 적 없는데…” 졸지에 백신 홍보대사 된 천은미 교수 8 syzygii 22/01/04 3103 0
17447 사회 “면세점에서 프라다 샀는데 빠다(PPADA)가 왔어요” 9 구박이 19/11/12 2963 2
3730 정치 “문 대통령, 내달 독일 방문” 메르켈 총리와 양자 회담 1 메리메리 17/06/27 2015 0
37945 사회 “방시혁 안면인식장애”…안타까운 입장 전해졌다 20 기아트윈스 24/05/14 2941 1
872 기타 “아직도 지가 공주인 줄 아나봐”…최순실, 대통령 통화 후 뒷담화 1 elanor 16/11/23 2759 0
31454 과학/기술 “아침 깨면 원전사고 났을까 떨려” 또 신한울 가동 발목잡는 원안위 10 copin 22/09/23 3268 0
17378 사회 “아침부터 사망신고야…” 양산 행정복지센터 공무원 태도 논란 4 swear 19/11/05 2245 1
10543 IT/컴퓨터 “애플이 텔레그램 업데이트 거부했다” 4 김우라만 18/06/01 3203 0
24937 사회 “왜 안 놀아줘”… 10세 女, 친구 아빠 성추행 허위신고 21 조홍 21/07/15 3854 2
36144 정치 “일본 수산물 수입 금지, 다시 재판하면 져”…비공개 보고서 입수 1 오호라 23/09/16 2809 0
37395 문화/예술 “저는 떨려서 못 읽겠어요”…박목월이 숨겨둔 시 166편 공개한 아들 2 swear 24/03/13 2555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