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2/06/15 10:20:11 |
Name | 구밀복검 |
Subject | 35살 방역 공무원의 죽음…마지막 말 “초라해” |
https://www.hani.co.kr/arti/society/health/1046706.html?fbclid=IwAR2a88J1NHEE599UMErJbJWwiX6eZPbLNrE_sGfC6r05biC3rnvxJt28vSU 천 주무관이 공무원 생활 1년9개월을 보낸 인천 부평구 보건소 상황실은 본래 지역 주민 건강 프로그램을 하던 다목적실이었다... 다만 상황실이 어떤 조직인지는 여전히 모호하다. 코로나19 발생과 동시에 각 지방자치단체는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꾸렸다. 그 아래 방역 실무를 맡기 위해 주로 보건소에 마련된 공간이 뭉뚱그려 상황실로 불렸다. 신준호 전남대 교수(예방의학)는 “조직의 형태를 정한 매뉴얼은 없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사람도 정신없이 채웠다. 천 주무관 사망 당시 부평구 보건소 상황실에선 38명이 일했다. 천 주무관 과로사 원인 조사에 참여한 김민 노무사(평등노동법률사무소)는 “기피 부서였던 탓에 고인 사망 당시 80%가 발령을 거부하거나 휴직할 수 없는 3년차 이하 신규 직원들로 채워졌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직전 동사무소 방문 진료나 치매안심센터 사업을 위해 갓 뽑힌 젊은 보건직 공무원들이 주로 상황실 업무에 내몰렸다... 천 주무관도 본래 보건지소에서 물리치료를 전담하기 위해 뽑힌 공무원이다. 병원 물리치료사로 10년 넘게 일한 경력이 있다.. 공무원이 되고 제 업무인 물리치료를 제대로 해본 적은 없다... ...천 주무관의 초과근무 시간은 코로나19 3차 대유행이 번진 2020년 12월 127시간, 2021년 1월 116시간에 이른다. 잠시 50~70시간으로 줄어드는 듯하더니, 7월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매달 110시간 이상(9월의 경우 14일까지 58시간) 초과근무를 했다. 대개 아침 9시 출근해 밤 10~11시 퇴근했다. 거의 주 6일 근무했고, 휴일에도 8개 카카오톡 방에서 쏟아지는 메시지를 보고, 때론 응했다... ...짧은 공무원 생활 내내 천민우 주무관은 ‘덕분에 든든한’ 혹은 ‘통제하여 불쾌한’ 케이방역의 두 얼굴로만 살았다. 애초 4개월 정도면 순환근무를 통해 벗어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던 얼굴이다. 몇 차례 동료들과 용기를 내 순환근무를 요구해 봤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021년 하반기 확진자가 급증하자 상황실을 벗어날 길은 더 아득해졌다. “미친 사람처럼 울고불고해야 겨우 나갈 수 있는 곳이 상황실”(김민 노무사)이라고, 그때 방역 공무원들은 서로 말하곤 했다. 무수히 많은 피해 사례 중 단 하나일 뿐이겠죠 18
이 게시판에 등록된 구밀복검님의 최근 게시물
|
공무원도 근로자의 범위에 집어넣어야 하는데.. 국가나 시민이나 원하지 않으니..
이미 많이 추락했지만 21세기 들어 높아졌던 직업으로서의 위상이 코로나 덕분에 더욱 극적으로 추락할 겁니다.
이미 많이 추락했지만 21세기 들어 높아졌던 직업으로서의 위상이 코로나 덕분에 더욱 극적으로 추락할 겁니다.
노동법 원하면 사기업 갔어야지 일도 안하면서 노동자냐 소리하는 놈들 주댕이를 다 찍어버리고 싶더라고요. 공무원의 대우야 말로 한국사회가 무엇을 희생양 삼고싶어하는지 적나라하게 드러낸다고 봅니다.
복지직이 정통으로 포격을 맞아서 그렇지 대한민국 공무원 참 힘들어요. 대우는 여전히 개차반인데 일은 늘어나고 연금은 칼질을 당해요. 솔직한 마음으로 월급 늘려주면 조선로동당이라도 찍어주고싶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