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2/05/27 18:12:55 |
Name | 늘쩡 |
Subject | 김예지 “준비된 가해자로 내몰린 장애 부모…” 눈물의 분향소 |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44651.html “저희 어머니도 제가 중학생 때 그런 말을 하신 적이 있습니다. ‘너 죽고 나 죽자’는 말. 이런 말을 들어보지 않은 장애인 자녀는 손에 꼽을 만큼 적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때 어머니께 ‘내 인생은 나의 것이고, 그 끝은 내가 결정하겠습니다’ 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소리없이 죽어간 (나의) 동료도 그런 생각을 했을 겁니다.” “목소리조차 내지 못하고 죽어야만 했던 분들에 대해 우리 모두 관심 갖고 함께해야 할 때이다. 우리의 존엄은 누가 챙겨주지 않는다. 스스로 챙겨야 한다” “여러분들의 작은 목소리, 소리 없는 아우성을 중간에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겠다는 마음을 다짐하며 이 자리에 섰다. 항상 ‘준비된 가해자’여야 하는 (장애 부모의) 입장을 왜 이해 못 하겠는가. 이제는 우리가 어려움을 나누겠지만 어떤 상황에도 살인은 이해되어선 안 된다” 모두가 들어야 할 말이지만, 그 말을 할 자격을 가진 사람이 희소하기에 묻히는 말들이 있죠. 무척 고맙습니다, 김예지 의원님. 이래서 다양성을 높이려는 인위적 조치들이 필요한 거죠. 18
이 게시판에 등록된 늘쩡님의 최근 게시물
|
초등학교 특수반 공익으로 복무했었는데, 거기 있던 중증 자폐아를 보면서 이 아이가 (그리고 가족분들이)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걱정이 많이 되더라고요. 참…
기사 읽으니까 더 기분이 안 좋네요.
그리고 죄송한데 지역사회에서 10년내 그룹홈 등 장애인 시설 모두 폐쇄할 법안을 발의하신 장 의원(및 전장연은) "장애인들은 거주할 선택이 없다" 이런 말씀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본인들이 만들고 지지한 법안이니 잘 아실테지만 중증장애인들 및 가족들에게 선택지 하나 삭제하게 될뻔 했습니다.
4.7 국회 공청회에서 시설장애인부모관계자들이 목소리 내주는 등, 해당 법안의 두 가지 문제점으로(‘준비 없는 탈시설’과 ‘10년 내 시설 폐쇄 조항’) 통과 안 되어서 망정이지, 하마터면 지역사회... 더 보기
그리고 죄송한데 지역사회에서 10년내 그룹홈 등 장애인 시설 모두 폐쇄할 법안을 발의하신 장 의원(및 전장연은) "장애인들은 거주할 선택이 없다" 이런 말씀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본인들이 만들고 지지한 법안이니 잘 아실테지만 중증장애인들 및 가족들에게 선택지 하나 삭제하게 될뻔 했습니다.
4.7 국회 공청회에서 시설장애인부모관계자들이 목소리 내주는 등, 해당 법안의 두 가지 문제점으로(‘준비 없는 탈시설’과 ‘10년 내 시설 폐쇄 조항’) 통과 안 되어서 망정이지, 하마터면 지역사회... 더 보기
기사 읽으니까 더 기분이 안 좋네요.
그리고 죄송한데 지역사회에서 10년내 그룹홈 등 장애인 시설 모두 폐쇄할 법안을 발의하신 장 의원(및 전장연은) "장애인들은 거주할 선택이 없다" 이런 말씀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본인들이 만들고 지지한 법안이니 잘 아실테지만 중증장애인들 및 가족들에게 선택지 하나 삭제하게 될뻔 했습니다.
4.7 국회 공청회에서 시설장애인부모관계자들이 목소리 내주는 등, 해당 법안의 두 가지 문제점으로(‘준비 없는 탈시설’과 ‘10년 내 시설 폐쇄 조항’) 통과 안 되어서 망정이지, 하마터면 지역사회에서 의사표현이 힘든, 중증도 발달장애인들에 대한 적절한 사회적응 프로그램 등의 정책 없이, 10년 간의 유예 시기 또는 10년 후에 최중도 발달장애인들이(그의 가족들) 고생하고 희생될 뻔했습니다.
장 의원 동생처럼 본인 의사를 표현할 줄 아는 장애인들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중증장애인과 그 가족들도 있다는 것을 잘 알아주셨으면 좋겠네요.
그리고 죄송한데 지역사회에서 10년내 그룹홈 등 장애인 시설 모두 폐쇄할 법안을 발의하신 장 의원(및 전장연은) "장애인들은 거주할 선택이 없다" 이런 말씀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본인들이 만들고 지지한 법안이니 잘 아실테지만 중증장애인들 및 가족들에게 선택지 하나 삭제하게 될뻔 했습니다.
4.7 국회 공청회에서 시설장애인부모관계자들이 목소리 내주는 등, 해당 법안의 두 가지 문제점으로(‘준비 없는 탈시설’과 ‘10년 내 시설 폐쇄 조항’) 통과 안 되어서 망정이지, 하마터면 지역사회에서 의사표현이 힘든, 중증도 발달장애인들에 대한 적절한 사회적응 프로그램 등의 정책 없이, 10년 간의 유예 시기 또는 10년 후에 최중도 발달장애인들이(그의 가족들) 고생하고 희생될 뻔했습니다.
장 의원 동생처럼 본인 의사를 표현할 줄 아는 장애인들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중증장애인과 그 가족들도 있다는 것을 잘 알아주셨으면 좋겠네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