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2/05/20 11:57:21 |
Name | 데이비드권 |
Subject | 후쿠시마 오염수 결국 방출한다…"내년 봄부터 바다로" |
https://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2059560 - 도쿄전력, 후쿠시마 원전에서 나오는 방사능 오염수를 바닷물과 섞어 내년 봄부터 바다로 흘려보낼 계획 추진 -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가 어제(18일) 도쿄전력의 계획을 사실상 승인 - 오염수는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처리하는데, 암을 유발하는 등 인체에 해로운 트리튬 거르지 못함 아...기사 보자마자 욕 나오네요. 인접 국가들에게 너무 민폐 아닙니까...?ㅜ 수산물 안심하고 먹을 수 있을지 걱정이 듭니다...(광어회..ㅠㅠ) https://www.nocutnews.co.kr/news/5758559 - 일본 지지통신은 18일 '국제 기준에 따른 원전 처리수(오염수의 일본식 표현) 방출, 반대 없는 한국'이라고 보도 - 문재인 정부는 방사능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반대, 그러나 윤석열 정부는 180도 달라짐 - 한일 관계 개선에 의욕적인 자세 반영해 부드러워졌다 이에 대해 윤석열 정부에서 반대하지 않았다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보도는 노컷뉴스이고, 노컷뉴스는 일본의 지지통신의 기사를 인용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반대한다고 안 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만...이런 부분은 좀 아쉽네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데이비드권님의 최근 게시물
|
https://www.yna.co.kr/view/AKR20211202097500009
예전에 봤던 시뮬레이션
https://www.nocutnews.co.kr/news/5485504
트리튬 유해성
해산물 찾아먹지 않아도 살다보면 먹을 수 밖에 없는데 앞으로 암보험은 나이 관계없이 꼭 들어야 겠네요
예전에 봤던 시뮬레이션
https://www.nocutnews.co.kr/news/5485504
트리튬 유해성
해산물 찾아먹지 않아도 살다보면 먹을 수 밖에 없는데 앞으로 암보험은 나이 관계없이 꼭 들어야 겠네요
후쿠시마산 수산물 이미지 나빠진다고 지역 어민들이 반대하긴 합니다. 그외엔 글쎄요 여론조사 보면 찬반 갈리는데 조사 주체에 따라 편차가 크기도 하고, 뉴스는 자주 나오지만 이 문제가 선거 등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다는 느낌은 아닙니다.
한국 언론에서는 마치 국제적 반대를 무릅쓰고 일본이 강행하는 것처럼 묘사하고 있지만 한국/중국이 반발해왔던 거지 미국이나 IAEA는 일본 지지하고 있었고, 특히 지난달에 IAEA에서 문제없다는 보고서 발표해서 별일 없이 진행될 겁니다. IAEA 국제조사단에는 아르헨티나, 호주, 캐나다, 중국, 프랑스, 마셜제도, 한국, 러시아, 영국, 미국, 베트남 11개국이 참가했습니다.
한국 언론에서는 마치 국제적 반대를 무릅쓰고 일본이 강행하는 것처럼 묘사하고 있지만 한국/중국이 반발해왔던 거지 미국이나 IAEA는 일본 지지하고 있었고, 특히 지난달에 IAEA에서 문제없다는 보고서 발표해서 별일 없이 진행될 겁니다. IAEA 국제조사단에는 아르헨티나, 호주, 캐나다, 중국, 프랑스, 마셜제도, 한국, 러시아, 영국, 미국, 베트남 11개국이 참가했습니다.
나무위키 보다보니 트리톤은 원전에서 그냥 기본적으로 나오는것 같고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41415390004359
언급하신대로 IAEA뿐만 아니라 FDA에서조차 괜찮다고 하는 사안이라...
원자력걱정+반일감정 제외하고 보면 '쟤네가 제대로 할까?' 하는 우려 외에 사실 과학적으로 반대할 근거는 적어보이네요.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41415390004359
과학적으로 접근했을 때 오염수 해양 방류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는 안전하다고는 저도 많이 주워 들었어요.
이 기사가 읽을만 한 것 같습니다.
[실제 2016년 한국 월성과 고리 원전에서 각각 23조 베크렐(㏃)과 45조 ㏃의 삼중수소가 바다로 방류됐다. 프랑스 트리카스탄(54... 더 보기
과학적으로 접근했을 때 오염수 해양 방류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는 안전하다고는 저도 많이 주워 들었어요.
이 기사가 읽을만 한 것 같습니다.
[실제 2016년 한국 월성과 고리 원전에서 각각 23조 베크렐(㏃)과 45조 ㏃의 삼중수소가 바다로 방류됐다. 프랑스 트리카스탄(54... 더 보기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41415390004359
과학적으로 접근했을 때 오염수 해양 방류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는 안전하다고는 저도 많이 주워 들었어요.
이 기사가 읽을만 한 것 같습니다.
[실제 2016년 한국 월성과 고리 원전에서 각각 23조 베크렐(㏃)과 45조 ㏃의 삼중수소가 바다로 방류됐다. 프랑스 트리카스탄(54조 ㏃·2015년), 영국 헤이샴B(390조 ㏃·2015년), 미국 캘러웨이(42조 ㏃·2002년), 캐나다 부르스 A·B(892조 ㏃·2015년) 등도 마찬가지다.
반면 후쿠시마 원전에선 동일본대지진 발생 전 해인 2010년 2조2,000억 ㏃이 방출됐다. 월성 원전의 10분의 1 수준이다. 일본 정부가 이번에 향후 20~40년 동안 방출하겠다고 발표한 삼중수소 양(연간 22조 ㏃)을 감안하면, 이론상 다른 국가 원전에서 나오는 삼중수소 배출량이 후쿠시마 원전보다 최대 수십 배 많은 건 사실이다.]
[한국 원전에서 배출 가능한 삼중수소의 관리기준 수치는 ℓ당 4만 ㏃이다. 월성 원전은 삼중수소를 ℓ당 13.2㏃로 희석해 방류한다.
일본 원전의 배출 기준은 한국보다 덜 엄격한 ℓ당 6만 ㏃이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ℓ당 1,500㏃로 희석, 해양에 방류할 계획이다. 때문에 원전 전문가 사이에선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해양 방류에 큰 문제는 없다는 게 중론이다. 미국 정부가 이번 일본의 결정에 "국제 안전기준에 따른 것"이라는 의사를 밝힌 이유다.]
과학적으로 접근했을 때 오염수 해양 방류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는 안전하다고는 저도 많이 주워 들었어요.
이 기사가 읽을만 한 것 같습니다.
[실제 2016년 한국 월성과 고리 원전에서 각각 23조 베크렐(㏃)과 45조 ㏃의 삼중수소가 바다로 방류됐다. 프랑스 트리카스탄(54조 ㏃·2015년), 영국 헤이샴B(390조 ㏃·2015년), 미국 캘러웨이(42조 ㏃·2002년), 캐나다 부르스 A·B(892조 ㏃·2015년) 등도 마찬가지다.
반면 후쿠시마 원전에선 동일본대지진 발생 전 해인 2010년 2조2,000억 ㏃이 방출됐다. 월성 원전의 10분의 1 수준이다. 일본 정부가 이번에 향후 20~40년 동안 방출하겠다고 발표한 삼중수소 양(연간 22조 ㏃)을 감안하면, 이론상 다른 국가 원전에서 나오는 삼중수소 배출량이 후쿠시마 원전보다 최대 수십 배 많은 건 사실이다.]
[한국 원전에서 배출 가능한 삼중수소의 관리기준 수치는 ℓ당 4만 ㏃이다. 월성 원전은 삼중수소를 ℓ당 13.2㏃로 희석해 방류한다.
일본 원전의 배출 기준은 한국보다 덜 엄격한 ℓ당 6만 ㏃이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ℓ당 1,500㏃로 희석, 해양에 방류할 계획이다. 때문에 원전 전문가 사이에선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해양 방류에 큰 문제는 없다는 게 중론이다. 미국 정부가 이번 일본의 결정에 "국제 안전기준에 따른 것"이라는 의사를 밝힌 이유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