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2/05/17 14:23:29 |
Name | 데이비드권 |
Subject | K방역, OECD 코로나 우수 대응 보고서에 실린다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051616150000229?did=NA -한국 치명률, 세계 평균 절반 이하… 접종률 최고 수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전 세계에 'K방역'을 코로나19 우수 대응 사례로 소개할 예정 탭을 어디로 해야할 지 모르겠네요. 사회? 외신? 국제? 7년 전 메르스에 비하면 질병대처능력이 괄목상대네요. 그땐 한국 여행 제한하고 그랬었는데... 고통의 2년이었지만 그래도 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견뎌낸 것 같습니다. 드디어 지긋지긋한 코로나의 끝이 보이는 것 같아서 다행이네요.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면 안 되겠지만 이번 2년 간의 경험을 토대로 앞으로 만약 유사한 사태가 벌어지더라도 잘 대처해나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3
이 게시판에 등록된 데이비드권님의 최근 게시물
|
내신같은거 상관없던 시기의 우리나라라거나
내신 신경 안쓰는 외국 사례들을 보면
수학/물리같은 시험은, 80점이면 보통 반에서 1-2등입니다.
평균은 50점 쯤 가있고
꼴지는 20점 정도 받는.
대충 느끼기엔, 이번 세카이 고교 기말고사 코로나과목은
그야말로 난이도 조절 대실패한 극악의 과목이었고
대한민국이 70점으로 전교1등한 느낌...
내신 신경 안쓰는 외국 사례들을 보면
수학/물리같은 시험은, 80점이면 보통 반에서 1-2등입니다.
평균은 50점 쯤 가있고
꼴지는 20점 정도 받는.
대충 느끼기엔, 이번 세카이 고교 기말고사 코로나과목은
그야말로 난이도 조절 대실패한 극악의 과목이었고
대한민국이 70점으로 전교1등한 느낌...
https://www.nature.com/news/reassuring-data-show-slowdown-in-south-korean-mers-outbreak-1.17776
메르스 대처도 해외 평가는 매우 좋은 편이었지요. 읭? 할 수 있는데 사실입니다.
메르스 대처도 해외 평가는 매우 좋은 편이었지요. 읭? 할 수 있는데 사실입니다.
우선 저도 메르스에 대해서는 보도된 내용 외에는 잘 모르고 그런 정보를 기반으로 말했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링크해주신 기사 읽었는데 그런 내용은 안 나오는데 어디서 알 수 있을지요?
기사 대부분 내용은 메르스의 경과에 대한 내용이니 제외하고 'Praise for South Korea' 부분만 러프하게 요약하면,
-메르스 첫 감염자가 확진되기까지 4개의 병원을 돌며 다수 감염, 한국 운이 안 좋았음
-한국과 비슷한 기간 안에 메르스를 진단한 국가들의 경우, 첫 감염자가 한국보다 훨씬 적은 사람들 감염시킴
-한국 정... 더 보기
링크해주신 기사 읽었는데 그런 내용은 안 나오는데 어디서 알 수 있을지요?
기사 대부분 내용은 메르스의 경과에 대한 내용이니 제외하고 'Praise for South Korea' 부분만 러프하게 요약하면,
-메르스 첫 감염자가 확진되기까지 4개의 병원을 돌며 다수 감염, 한국 운이 안 좋았음
-한국과 비슷한 기간 안에 메르스를 진단한 국가들의 경우, 첫 감염자가 한국보다 훨씬 적은 사람들 감염시킴
-한국 정... 더 보기
우선 저도 메르스에 대해서는 보도된 내용 외에는 잘 모르고 그런 정보를 기반으로 말했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링크해주신 기사 읽었는데 그런 내용은 안 나오는데 어디서 알 수 있을지요?
기사 대부분 내용은 메르스의 경과에 대한 내용이니 제외하고 'Praise for South Korea' 부분만 러프하게 요약하면,
-메르스 첫 감염자가 확진되기까지 4개의 병원을 돌며 다수 감염, 한국 운이 안 좋았음
-한국과 비슷한 기간 안에 메르스를 진단한 국가들의 경우, 첫 감염자가 한국보다 훨씬 적은 사람들 감염시킴
-한국 정부가 (메르스 사태로 인해) 실패한 것은 위험한 의사소통 방법
-첫 감염자가 발생한 이후 접촉 추적이나 검사 수준 등이 "이례적(=정상적이지 않음)"
위와 같습니다.
첫 감염자가 다수를 감염시킨 것은 운이 없었으나, 이후 한국 정부의 메르스 대응방법에 대해서 비판하고 있습니다.
메르스 때 제가 보도로 기억하는 것도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초기 대응에 미흡하였고 이후에도 컨트롤타워 부재로 인한 혼선으로 메르스가 확대되어 각국에서 한국 여행 제한을 걸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링크해주신 기사 읽었는데 그런 내용은 안 나오는데 어디서 알 수 있을지요?
기사 대부분 내용은 메르스의 경과에 대한 내용이니 제외하고 'Praise for South Korea' 부분만 러프하게 요약하면,
-메르스 첫 감염자가 확진되기까지 4개의 병원을 돌며 다수 감염, 한국 운이 안 좋았음
-한국과 비슷한 기간 안에 메르스를 진단한 국가들의 경우, 첫 감염자가 한국보다 훨씬 적은 사람들 감염시킴
-한국 정부가 (메르스 사태로 인해) 실패한 것은 위험한 의사소통 방법
-첫 감염자가 발생한 이후 접촉 추적이나 검사 수준 등이 "이례적(=정상적이지 않음)"
위와 같습니다.
첫 감염자가 다수를 감염시킨 것은 운이 없었으나, 이후 한국 정부의 메르스 대응방법에 대해서 비판하고 있습니다.
메르스 때 제가 보도로 기억하는 것도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초기 대응에 미흡하였고 이후에도 컨트롤타워 부재로 인한 혼선으로 메르스가 확대되어 각국에서 한국 여행 제한을 걸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http://www.daej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365643
당시에 내한했던 WHO만 보더라도 뭐... 그만큼 국제적 기준이 낮아요.(잘 찾아보면 NIH의 평가도 있을 겁니다)
메르스는 병원 내에서 끝나기도 했구요. 그때 뭐 삼성병원 근처 말고 상권 초토화된 곳이 있었나요?
(전 그동네 살았어서 2020년 수준의 상권 초토화를 미리 겪었기도...)
당시에 내한했던 WHO만 보더라도 뭐... 그만큼 국제적 기준이 낮아요.(잘 찾아보면 NIH의 평가도 있을 겁니다)
메르스는 병원 내에서 끝나기도 했구요. 그때 뭐 삼성병원 근처 말고 상권 초토화된 곳이 있었나요?
(전 그동네 살았어서 2020년 수준의 상권 초토화를 미리 겪었기도...)
말씀 듣고 당시 통계를 찾아보니,
(기준일: 2015-06-11)
전세계: 발병 1,367 / 사망 528
-사우디: 발병 1,028 / 사망 451
-한국: 발병 186 / 사망 39
-나머지: 발병 153 / 사망 38
위와 같이 한국이 사우디 다음으로 압도적으로 높은 발병률이었습니다.
애초에 삼성병원에서 질본에 메르스 의심환자니까 검사하자고 했을 때 했으면 이렇게까지 번지지 않고
다른 나라랑 비슷한 수준이었을 수 있는데, 초기 보건당국의 대응 실패와 그로 인한 메르스 사태는 링크해주신
기사에도 나와있... 더 보기
(기준일: 2015-06-11)
전세계: 발병 1,367 / 사망 528
-사우디: 발병 1,028 / 사망 451
-한국: 발병 186 / 사망 39
-나머지: 발병 153 / 사망 38
위와 같이 한국이 사우디 다음으로 압도적으로 높은 발병률이었습니다.
애초에 삼성병원에서 질본에 메르스 의심환자니까 검사하자고 했을 때 했으면 이렇게까지 번지지 않고
다른 나라랑 비슷한 수준이었을 수 있는데, 초기 보건당국의 대응 실패와 그로 인한 메르스 사태는 링크해주신
기사에도 나와있... 더 보기
말씀 듣고 당시 통계를 찾아보니,
(기준일: 2015-06-11)
전세계: 발병 1,367 / 사망 528
-사우디: 발병 1,028 / 사망 451
-한국: 발병 186 / 사망 39
-나머지: 발병 153 / 사망 38
위와 같이 한국이 사우디 다음으로 압도적으로 높은 발병률이었습니다.
애초에 삼성병원에서 질본에 메르스 의심환자니까 검사하자고 했을 때 했으면 이렇게까지 번지지 않고
다른 나라랑 비슷한 수준이었을 수 있는데, 초기 보건당국의 대응 실패와 그로 인한 메르스 사태는 링크해주신
기사에도 나와있는 내용입니다.
뭐랄까...집에 스스로 불 지르고 불 끈 다음 잘 껐다고 칭찬하는 느낌이랄까요...
메르스 사태로 인해 코로나를 잘 대응할 수 있었다 가 정론이므로 메르스가 갖고 있는 긍정적인 효과도 분명 있습니다만, 메르스 대응을 잘했다라고 말하기엔 무리가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기준일: 2015-06-11)
전세계: 발병 1,367 / 사망 528
-사우디: 발병 1,028 / 사망 451
-한국: 발병 186 / 사망 39
-나머지: 발병 153 / 사망 38
위와 같이 한국이 사우디 다음으로 압도적으로 높은 발병률이었습니다.
애초에 삼성병원에서 질본에 메르스 의심환자니까 검사하자고 했을 때 했으면 이렇게까지 번지지 않고
다른 나라랑 비슷한 수준이었을 수 있는데, 초기 보건당국의 대응 실패와 그로 인한 메르스 사태는 링크해주신
기사에도 나와있는 내용입니다.
뭐랄까...집에 스스로 불 지르고 불 끈 다음 잘 껐다고 칭찬하는 느낌이랄까요...
메르스 사태로 인해 코로나를 잘 대응할 수 있었다 가 정론이므로 메르스가 갖고 있는 긍정적인 효과도 분명 있습니다만, 메르스 대응을 잘했다라고 말하기엔 무리가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결과로 말해주는 거고 잘했어요.
이거보다 더 잘했어야 한다는 건 그냥 완벽하기를 바랬어야 하는 건데 그런 건 이 세상 대응이 아니죠.
근데 다른 나라들은 아마 하는 법 알려줘도 못할 듯..
이거보다 더 잘했어야 한다는 건 그냥 완벽하기를 바랬어야 하는 건데 그런 건 이 세상 대응이 아니죠.
근데 다른 나라들은 아마 하는 법 알려줘도 못할 듯..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