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2/04/02 15:59:23 |
Name | 구밀복검 |
Subject | 윌 스미스 아카데미 회원 사퇴 |
https://www.npr.org/2022/04/01/1090425109/will-smith-resigns-from-the-academy-says-he-will-accept-additional-consequences 자격정지가 확실시 된 상황에서 자진 사퇴로 마무리하는 듯합니다. https://variety.com/2022/film/news/will-packer-oscars-will-smith-lapd-chris-rock-slap-1235220517/ - LA경찰국은 사건 당시 스미스를 체포할 수 있었으나 락은 이를 거부 - 아카데미는 당시 스미스에게 퇴장을 요구했으나 스미스는 이를 거부하고 뒷풀이 파티에 참석 https://www.forbes.com/sites/alisondurkee/2022/04/01/will-smiths-popularity-plunges-30-after-oscars-slap-poll-finds/?sh=236adff778a5 - 설문에 따르면 50%만이 현재 스미스를 호의적으로 평가. 2020년 1월에는 80%, 2018년 9월에는 77%였음. - 크리스 락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0%가 호의적으로 평가 - 66%가 오스카 시상식에서 스미스의 행동을 부적절하다고 평가 - 스미스가 사건 이후 아카데미에는 사과한 반면 락에게 개인적으로 사과하지 않은 것에 대해 50%가 부적절하다고 평가. - 49%는 스미스가 곧바로 시상식에서 퇴장했어야 한다고 주장(락의 경우 23%) - 스미스가 내년에 시상식에 다시 초대되어야 한다는 쪽은 42%, 40%는 그래서는 안 된다. 갠적인 평가로는 대중감정선에서는 뜨악하고 충격적이지만 본질적으로는 해프닝이며 윌 스미스라는 브랜드를 고려할 때 치명적이지는 않은 수준으로 마무리 되는 듯합니다. 하지만 없던 일처럼 지나가지는 않는 그런... '알고보니 유갈비는 실존하더라' if 시나리오 정도랄까. 그러나 절차적으로 보면 거의 모든 금기를 다 깬 수준이고 특히 사후대처가 형편없어서 엄격한 절차주의적 관점에 따라 일을 처리하면 처리할수록 생각 이상으로 스미스에게 상당한 댓가가 돌아갈 듯합니다. 여튼 한낱 일개인의 사건이 거대한 사회의 문화적인 특질, '국민감정'을 어떻게 단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지에 대해 아주 적절한 교보재. 5
이 게시판에 등록된 구밀복검님의 최근 게시물
|
갠적으로는 문화 차이보다는 보도 전달의 차이, 포지션의 차이가 더 큰 영향을 줬다 봅니다 ㅎㅎ
물론 오피셜한 공개석상에서의 '일탈', '규정위반'에 대한 미국의 경기가 극성스러운 데가 없는 건 또 아니지만 어쨌거나 공식 절차가 훼손되었을 때 엄중한 대처는 어느 문화권에서나 볼 수 있는 거기도 하고.
'항암으로 인한 탈모' 같은 가짜 뉴스가 아니었으면 과연 이랬을까 싶고
'윌 스미스'라는 한국인에게 있어 외국인들 사이의 국민배우 같은 배우가 아니었으면 또 과연 이랬을까 싶죠. 그야 미국에서도 윌 스미스는 국민배우지만 여러 국민배... 더 보기
물론 오피셜한 공개석상에서의 '일탈', '규정위반'에 대한 미국의 경기가 극성스러운 데가 없는 건 또 아니지만 어쨌거나 공식 절차가 훼손되었을 때 엄중한 대처는 어느 문화권에서나 볼 수 있는 거기도 하고.
'항암으로 인한 탈모' 같은 가짜 뉴스가 아니었으면 과연 이랬을까 싶고
'윌 스미스'라는 한국인에게 있어 외국인들 사이의 국민배우 같은 배우가 아니었으면 또 과연 이랬을까 싶죠. 그야 미국에서도 윌 스미스는 국민배우지만 여러 국민배... 더 보기
갠적으로는 문화 차이보다는 보도 전달의 차이, 포지션의 차이가 더 큰 영향을 줬다 봅니다 ㅎㅎ
물론 오피셜한 공개석상에서의 '일탈', '규정위반'에 대한 미국의 경기가 극성스러운 데가 없는 건 또 아니지만 어쨌거나 공식 절차가 훼손되었을 때 엄중한 대처는 어느 문화권에서나 볼 수 있는 거기도 하고.
'항암으로 인한 탈모' 같은 가짜 뉴스가 아니었으면 과연 이랬을까 싶고
'윌 스미스'라는 한국인에게 있어 외국인들 사이의 국민배우 같은 배우가 아니었으면 또 과연 이랬을까 싶죠. 그야 미국에서도 윌 스미스는 국민배우지만 여러 국민배우 중에 원 오브 뎀일 뿐이니까. 한국에서야 '스미스의 아내를 모욕한 안티-스미스를 윌 스미스가 스미스 세계관의 주재자의 이름으로 정죄'한 거지만 미국에서는 '제이다와 크리스 사이 문제에 갑자기 배우자 자격으로 끼어든 제3자 윌'인 거죠.
예컨대 김광규에게 드래곤볼 실사판에 크리링으로 출연해보라는 정도의 말이 김광규 아내가 무대 위로 난입해서 사회자를 폭행할 만한 거리라고 다들 생각할지 사고실험해 보면 갸웃하지요. '김광규가 항암치료 중이었다' '김광규 아내가 국민 배우 급이었다' 정도의 양념이 더 붙어야 엄대엄 될까말까
물론 오피셜한 공개석상에서의 '일탈', '규정위반'에 대한 미국의 경기가 극성스러운 데가 없는 건 또 아니지만 어쨌거나 공식 절차가 훼손되었을 때 엄중한 대처는 어느 문화권에서나 볼 수 있는 거기도 하고.
'항암으로 인한 탈모' 같은 가짜 뉴스가 아니었으면 과연 이랬을까 싶고
'윌 스미스'라는 한국인에게 있어 외국인들 사이의 국민배우 같은 배우가 아니었으면 또 과연 이랬을까 싶죠. 그야 미국에서도 윌 스미스는 국민배우지만 여러 국민배우 중에 원 오브 뎀일 뿐이니까. 한국에서야 '스미스의 아내를 모욕한 안티-스미스를 윌 스미스가 스미스 세계관의 주재자의 이름으로 정죄'한 거지만 미국에서는 '제이다와 크리스 사이 문제에 갑자기 배우자 자격으로 끼어든 제3자 윌'인 거죠.
예컨대 김광규에게 드래곤볼 실사판에 크리링으로 출연해보라는 정도의 말이 김광규 아내가 무대 위로 난입해서 사회자를 폭행할 만한 거리라고 다들 생각할지 사고실험해 보면 갸웃하지요. '김광규가 항암치료 중이었다' '김광규 아내가 국민 배우 급이었다' 정도의 양념이 더 붙어야 엄대엄 될까말까
가부장에서 젠더의 맥락을 제거하고 보면 여성들 사이에서도 가부장제 구조는 종종 나타나죠.
그리고 저는 퐁퐁남 소리하는 친구들은 되게 탈 가부장적이라고 봅니다. 탈남성우월주의적이진 않지만요.
+
물론, 일원론적으로 따질 정도로 단순하다고 생각하진 않아요. 실제로 패드립에 대한 감수성ㅋㅋ이나 여성혐오적 발언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도 영향을 미쳤을테고요.
그리고 저는 퐁퐁남 소리하는 친구들은 되게 탈 가부장적이라고 봅니다. 탈남성우월주의적이진 않지만요.
+
물론, 일원론적으로 따질 정도로 단순하다고 생각하진 않아요. 실제로 패드립에 대한 감수성ㅋㅋ이나 여성혐오적 발언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도 영향을 미쳤을테고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