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AMD는 TSMC에서 생산하는 것 같습니다?
애플은 ARM의 레퍼런스로 만들었지만 어느순간 레퍼런스를 선도하거나 달리진 설계를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퀄컵은 ARM 레퍼런스를 기준으로 칩을 설계하고 지금은 삼성에서 생산하는 것 같은데 TSMC로 옮길 계획인것 같아보입니다.
삼성은 자체적으로 ARM레퍼런스 기반으로 설계도 하고 타사 칩들을 생산해 주기도 합니다.
애플은 ARM의 레퍼런스로 만들었지만 어느순간 레퍼런스를 선도하거나 달리진 설계를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퀄컵은 ARM 레퍼런스를 기준으로 칩을 설계하고 지금은 삼성에서 생산하는 것 같은데 TSMC로 옮길 계획인것 같아보입니다.
삼성은 자체적으로 ARM레퍼런스 기반으로 설계도 하고 타사 칩들을 생산해 주기도 합니다.
그건 CPU 역사를 알면 이해가 쉬운데, 인텔이 주도한 시장에서 과거 모토롤라나 RISC로 대표되는 알파칩 같은 녀석들은 모두 역사속으로 사라졌습니다.
이렇게 사라지다가 PC용 CPU는 인텔과 AMD가 살아남고 요즘은 NAS에서 사용하는 칩은 다른 회사에서도 만드는 것 같더군요.
ARM은 처음에는 저전력 때문에 살아남은 것이라고 보아야겠지요. 자체적으로 개발해서 만들기에는 딱히 규모도 크지 않고 이득도 남지 않은 시장이어서 ARM이 설계를 하고 나머지 회사들이 칩을 만드는 구조로 이루어졌다고 보아야겠지요.
DEC... 더 보기
이렇게 사라지다가 PC용 CPU는 인텔과 AMD가 살아남고 요즘은 NAS에서 사용하는 칩은 다른 회사에서도 만드는 것 같더군요.
ARM은 처음에는 저전력 때문에 살아남은 것이라고 보아야겠지요. 자체적으로 개발해서 만들기에는 딱히 규모도 크지 않고 이득도 남지 않은 시장이어서 ARM이 설계를 하고 나머지 회사들이 칩을 만드는 구조로 이루어졌다고 보아야겠지요.
DEC... 더 보기
그건 CPU 역사를 알면 이해가 쉬운데, 인텔이 주도한 시장에서 과거 모토롤라나 RISC로 대표되는 알파칩 같은 녀석들은 모두 역사속으로 사라졌습니다.
이렇게 사라지다가 PC용 CPU는 인텔과 AMD가 살아남고 요즘은 NAS에서 사용하는 칩은 다른 회사에서도 만드는 것 같더군요.
ARM은 처음에는 저전력 때문에 살아남은 것이라고 보아야겠지요. 자체적으로 개발해서 만들기에는 딱히 규모도 크지 않고 이득도 남지 않은 시장이어서 ARM이 설계를 하고 나머지 회사들이 칩을 만드는 구조로 이루어졌다고 보아야겠지요.
DEC도 RISC를 만들었는데 서버시장에서만 사용하고 대중적이지 않아서 일부는 중국에 일부는 인텔에 팔려나간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사이에서 삼성에서도 알파칩을 생산하기도 했구요.
표준이 있고 그 표준을 따르는 대신 라이센스비용을 내면 특허관련이 편해지는 것 같습니다. 회사별로 칩이 세부적으로 다르면 문제가 발생시에 해결하기가 어려우니까요. 그래픽관련 칩만 달라져도 문제가 생기는 엑시노스가 있으니....
이렇게 사라지다가 PC용 CPU는 인텔과 AMD가 살아남고 요즘은 NAS에서 사용하는 칩은 다른 회사에서도 만드는 것 같더군요.
ARM은 처음에는 저전력 때문에 살아남은 것이라고 보아야겠지요. 자체적으로 개발해서 만들기에는 딱히 규모도 크지 않고 이득도 남지 않은 시장이어서 ARM이 설계를 하고 나머지 회사들이 칩을 만드는 구조로 이루어졌다고 보아야겠지요.
DEC도 RISC를 만들었는데 서버시장에서만 사용하고 대중적이지 않아서 일부는 중국에 일부는 인텔에 팔려나간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사이에서 삼성에서도 알파칩을 생산하기도 했구요.
표준이 있고 그 표준을 따르는 대신 라이센스비용을 내면 특허관련이 편해지는 것 같습니다. 회사별로 칩이 세부적으로 다르면 문제가 발생시에 해결하기가 어려우니까요. 그래픽관련 칩만 달라져도 문제가 생기는 엑시노스가 있으니....
ARM은 주로 SoC에서 이용되는 CPU를 주로 설계하며, 이들 CPU와 함께 쓰이는 주변장치 IP를 붙여서 판매합니다.
즉 설계도만 팝니다.
IP는 intellectual property인데 반도체 업계에서는 그냥 해당 기능을 하는 설계도 로 이해하면 됩니다.
펩리스는 그것들을 잘 엮어서 (+자신만의 기능을 추가하여) 원하는 기능의 완성품 설계도를 만듭니다.
펩은 그걸 찍어내 주는 공장입니다.
CPU 라인업이 가장 다양하고 대부분의 SOC에 채택되고 있던 것이 ARM인데
이제 다른 CPU들도 슬슬 쓰이는 추세라고 합... 더 보기
즉 설계도만 팝니다.
IP는 intellectual property인데 반도체 업계에서는 그냥 해당 기능을 하는 설계도 로 이해하면 됩니다.
펩리스는 그것들을 잘 엮어서 (+자신만의 기능을 추가하여) 원하는 기능의 완성품 설계도를 만듭니다.
펩은 그걸 찍어내 주는 공장입니다.
CPU 라인업이 가장 다양하고 대부분의 SOC에 채택되고 있던 것이 ARM인데
이제 다른 CPU들도 슬슬 쓰이는 추세라고 합... 더 보기
ARM은 주로 SoC에서 이용되는 CPU를 주로 설계하며, 이들 CPU와 함께 쓰이는 주변장치 IP를 붙여서 판매합니다.
즉 설계도만 팝니다.
IP는 intellectual property인데 반도체 업계에서는 그냥 해당 기능을 하는 설계도 로 이해하면 됩니다.
펩리스는 그것들을 잘 엮어서 (+자신만의 기능을 추가하여) 원하는 기능의 완성품 설계도를 만듭니다.
펩은 그걸 찍어내 주는 공장입니다.
CPU 라인업이 가장 다양하고 대부분의 SOC에 채택되고 있던 것이 ARM인데
이제 다른 CPU들도 슬슬 쓰이는 추세라고 합니다. RISC-V는 그 중 하나입니다.
인텔, AMD는 PC에 이용되는 CPU 개발에 주력하며
이쪽은 다른 SoC에 비하여 그 복잡도가 훨씬 높았습니다만
이제 SoC가 많이 올라와서 (예: 스마트폰) 큰 차이가 있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즉 설계도만 팝니다.
IP는 intellectual property인데 반도체 업계에서는 그냥 해당 기능을 하는 설계도 로 이해하면 됩니다.
펩리스는 그것들을 잘 엮어서 (+자신만의 기능을 추가하여) 원하는 기능의 완성품 설계도를 만듭니다.
펩은 그걸 찍어내 주는 공장입니다.
CPU 라인업이 가장 다양하고 대부분의 SOC에 채택되고 있던 것이 ARM인데
이제 다른 CPU들도 슬슬 쓰이는 추세라고 합니다. RISC-V는 그 중 하나입니다.
인텔, AMD는 PC에 이용되는 CPU 개발에 주력하며
이쪽은 다른 SoC에 비하여 그 복잡도가 훨씬 높았습니다만
이제 SoC가 많이 올라와서 (예: 스마트폰) 큰 차이가 있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