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2/02/19 04:54:49수정됨
Name   구밀복검
File #1   dcxcxb_(1).png (24.3 KB), Download : 35
Subject   3월 예상 일일 최대 확진자 36만 사망자 700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2021836091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국민들 입장에서 정점을 체감할 수 있는 시기는 3월 초 정도일 것"이라며 "지금(10만명대)의 2배 정도까지는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지난 9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도 "3월 한달 간은 정점에 도달해 있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당시 정 교수가 페이스북에 올린 유행 규모 전망 그래프를 보면 신규 확진자수가 3월 초쯤 20만명을 넘은 뒤 약 한달 간 20만명 초중반대의 정점을 계속 유지하다가 4월 초 이후가 돼서야 20만명 아래로 떨어지는 것으로 돼 있다.

김윤 서울대 의대 교수도 "확진자 수 '더블링'이 계속되고 있어 2월 말경에 20만, 혹은 더 늘어날 수도 있다"며 "2월 말∼3월 초께 정점이 올 것으로 생각하며, 정점 가까이 가면 (유행세가) 둔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국가수리과학연구소는 다음달 초 하루 신규 확진자수가 최대 36만명에 이를 수 있다는 예측을 내놓기도 했다. 또 국가수리과학연구소의 심은하 숭실대 수학과 교수는 전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정점 시기, 규모에 대해 "3월 중반쯤 27만명 가량 나오지 않을까 싶다"고 전망했다.



https://www.usline.kr/news/articleView.html?idxno=20901
질병관리청 자료를 기준으로 하면 확진자 연령구성비를 반영한 오미크론의 중증화율 0.42%, 치명률 0.21%로 나온다. 하루 확진자 10만~20만 명이 일주일 동안 계속 발생하면 2800명~5600명의 위중증 환자가 발생한다. 일주일이 경과하면 1400~2800명 사망자가 나온다는 계산이다. 이 예상은 정부가 발표한 중환자 2600 병상을 훨씬 넘는다. 환자가 늘어나는 시기엔 병상 숫자가 환자 증가폭보다 더 빠르게 소진된다. 중환자 치료는 예상대로 병상 회전이 이뤄지지 않는다. 당연히 사망자는 늘 수 밖에 없다.

수리모델링기법으로 확진자수를 예측하는 심은하 숭실대 교수(수학과)는 “학생들이 대면수업으로 개강하는 3월초가 분기점이 될 것 같다”며 “가족내 감염으로 확산되는 추세에서 백신 접종률이 낮은 연령대의 행동패턴으로 바뀌게 되면 확진자가 큰 폭으로 늘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청소년 백신접종도 서둘러야 한다는 얘기다.

의료계에서 확진자수의 급증에 대해 몇 가지 요인을 내놓는다. 방역당국의 오미크론의 낮은 치명률을 근간으로 해 방역완화 이미지를 띠면서 시민들의 방역 긴장감을 느슨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확진자가 5만명씩 나오던 지난주, 한국의 소매 및 여가시설 이동량이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와 코로나19의 긴장감이 크게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엄중식 가천대 의대 감염내과 교수는 “확진자와 중환자가 차츰 차츰 늘어나다 보면 국민들이 방역의 긴장감을 갖는 이른바 ‘충격요법’이 효과를 보지 못한다”며 “그러는 사이에 하루 사망자가 몇 백명씩 나오면 결국 '락다운(전면봉쇄)'을 해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악의 상황은 정점에서 확진자 숫자가 줄어들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라고 우려했다.

정재훈 가천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유행의 정점이라는 표현을 쓰기가 애매하다”며 “하루 확진자가 26~7만 명 정도까지 올라간 상태에서 서서히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으나 이 또한 방역당국의 방역전략과 시민들의 철저한 방역의식 회복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의료계에서는 방역당국의 신속항원검사 양성자만 PCR검사를 받도록 하는 양성 확진자 방치 인정부터 방역정책이 꼬였다는 지적이 나온다. 신속항원검사 ‘민감도(양성을 양성으로 찾아내는 확률)’가 17~35%밖에 이르지 못해 오히려 신속항원검사 가짜음성자가 확산을 부를 것이라는 우려를 했다.




https://www.nocutnews.co.kr/news/5708865
◆ 심은하> 지금 저희가 모델링을 통해서 예측한 바에 의하면. 1주 후와 2주 후를 보통 예측치를 제공해 드리고 있습니다. 1주 후에는 저희 예측치는 14만 명 정도 나와 있고요. 그다음에 2주 후에는 그보다 많은 24만 8000명 정도 저희가 예측하고 있습니다. 정부 예측치보다는 조금 많게 저희가 하고 있는데요... 모든 감염된 상태의 사람 수를 예측을 하자면 그보다(정부가 파악해서 발표한 수치보다) 더 많을 수 있다는 이야기죠. 왜냐하면 모두가 다 보고가 되지도 않고 증상 유무에 따라서 또 보고 안 되고 지나가는 경우도 많이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 김광일> 그래서 34만 명이 나온 것 같아요.

◆ 심은하> 네. 맞습니다.

◇ 김광일> 이게 지금 지난 연말에 분석하셨던 거랑 지금 비교하면 어때요? 비교가 됩니까?

◆ 심은하> 네. 작년하고는 상황이 너무나 달라요. 그때는 오히려 국민 여러분께서 굉장히 조심을 많이 해 주셨어요. 그래서 그 당시 12월 29일 예측치 기준으로 봤을 때 실시간 재생산지수 그 당시에는 1이 안 되었어요. 오히려 기억해 보시면 이게 확산세가 좀 줄어드는 상황이었거든요. 그래서 재생산지수가 0.8이었고요. 1이 안 되었죠. 또 오히려 줄어들었고 7일 평균치로 확진자 수 생각해 보면 5000명 정도 나왔던 것 같아요, 연말에. 그런데 지금은. 그보다 훨씬 많은.

◇ 김광일> 하루에 9만 명이 나오니까…

◆ 심은하> 그보다 훨씬 많은 9만 명이 나오고 있고 평균으로 봐도 6만 명 정도 나오고 있고요. 그리고 저희 수학적 모델링으로 또 보면 실시간재생산지수가 어제 날짜로 1.3 정도가 나왔습니다. 그러니까 0.8하고는 이게 확연하게 다른 거거든요.

◇ 김광일> 제일 궁금한 거. 지금 그러면 정점이 언제 되는 겁니까? 언제까지 이렇게 늘어나는 거예요?

◆ 심은하> 이거는 저희가 우세종이 된 시기와 그 정점 사이의 그 간격을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보면 빨리 알 수 있을 것 같아요... 비슷한 패턴으로 저희가 분석을 하면 정점은 3월 중반이 되지 않겠는가. 그렇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 김광일> 지금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할 수 있다라는 얘기가 나오는데 그럴 경우에는 이 확진자 규모가 더 늘어날 수 있는 거 아닙니까?

◆ 심은하> 더 늘어날 수 있어요. 제가 많이 우려하는 부분인데요. 사실 피로도가 높아져서 그런 결정을 내리시려고 고려하는 것 같은데. 사실 여태까지 그 코로나 2년 가량의 기록을 보자면 지금이 가장 위험합니다. 확진자 수 제일 많고요. 그래서 지금은 사실 완화할 시기는 아니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오미크론을 개조스로 보아서는 안 됩니다...
이 와중 정재훈 쌤 측은해서 포스팅 인용
https://www.facebook.com/jaehun.jung.md/posts/4988417971276595
- 지난 2년간 유행예측, 접종정책, 사회적 거리두기 효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현장에서 뛰고 있습니다. 제가 뛰어나서도 아니고, 누군가가 저를 밀어주거나 정치적 욕심이 있어서도 아닙니다. [감염병의 데이터 연구에 있어서 이 정도나마 결과를 제공하고 해외 데이터를 따라서라도 낼 수 있는 연구자가 우리나라에는 너무 적고 그 중 자신의 결과를 외부에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소통하려는 생각을 가진 연구자는 더 적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나서게 된 것입니다. 제가 일하는 예방의학은 이제 한해에 10명도 되지않는 전문의가 배출되고 그 중 감염병을 하겠다고 나서는 사람은 훨씬 더 적은 척박한 분야입니다.]
- 저는 그 상황에 맞는 가장 최신의 데이터와 근거를 가지고 설명을 해드리고 전망을 제시해드리는 것이 저의 소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많은 분들이 원하시는 전문가는 자신의 생각에 맞는 의견을 주는 사람이라는 것도 어렴풋이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언론에서 저의 말이 마치 대립되는 의견의 하나인 것처럼 배치되고 발언의 일부분만이 편집되는 상황이 이제는 익숙하기조차 합니다.
- 저는 지금의 큰 유행이 어떻게 보면 거의 마지막에 가까운 위기라고 생각합니다. 이제 저의 역할도 거의 끝나가는 상황입니다. [이 위기가 지나가도 저는 제 연구는 이어나가겠지만 다시는 세상에 나와서 이 역할을 감당하고 싶은 생각은 점점 없어지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저는 연구실에서 논문을 쓸 때 가장 행복한 것 같습니다.]



4


따뜻한이불
지옥문이 열렸네용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the hive
너무 높으면 산이고 오히려 좀 낮아지면 고원일거 같은 느낌적 느낌이(...)
칠키로
정재훈 센세 힘내세요ㅠ 페북댓글 보니 저라도 인간혐오 생길것 같더라구요...
물푸레
흑흑, 초등학교 개학연기 안 되나요? ㅠㅠ
whenyouinRome...
사실 다 알고 있는 사실이었죠.
틀어막아도 안되면 피로도때문에 국민들도 그냥 포기할거라는 것도요..

저도 이미 지쳐버려서 될대로 돼라 싶습니다.
결국은 저도 걸리고 너도 걸리고 쟤도 걸려야 이 코로나 사태가 끝날 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저그런
'많은 분들이 원하시는 전문가는 자신의 생각에 맞는 의견을 주는 사람' 이건 뭐 어딜가나..ㅠㅠ
2
집에 가는 제로스
필드를 굴러봐야 자기가 사람을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 알수있다능. 유튜브로 보면 강아지 고양이 햄스터 다 귀엽기만 하죠 ㅎㅎ
1
알료사
'거의 마지막에 가까운 위기'

종장 -
흑흑 논문 쓰는게 차라리 제일 행복한 삶이라니...
엄마곰도 귀엽다
왜 킵캄앤캐리온이라고 했는지 요즘들어 알게되었죠.

저 킵캄은 나 같은 평온하고 순종적인 시민을 향해 하는 말이 아니었구나....
세상에는 참 다양한 사람이 있고 밖으로 돌출되는 ㄷㄹㅇ들이 강렬할 수밖에 없구나...

암튼 인간혐오 인정합니다. 논문 쓰는게 차라리 행복하다니 ㅠㅠ
정재훈 교수님 옆동네에서 글 쓰시는데 옆동네에서도 점점 일부 유저들 반응이 날카로워지는게 보여서 안타깝습니다.
리모기
진짜 전염병 방역은 새옹지마 같습니다.
전면적인 락다운 없이, 국민의 태반이 감염되는 일도 없이, 코로나 종식이 가능할까요? 그냥 거리두기만 무한 연장하는 것뿐이라면(차라리 처음부터 2년씩 때리든지) 차라리 후딱 걸리고 대충 살고 싶어지는 요즘입니다

지난번 예상 그래프가 아직까지 맞고 있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647 의료/건강정부, 코로나19 '1급 감염병'서 제외 추진 6 Beer Inside 22/03/16 3514 4
28624 의료/건강0∼9세 소아 2명 코로나19로 사망 1 the 22/03/15 3224 0
28574 의료/건강한달간 전문가용 신속검사 양성자도 확진 간주…즉시 격리·치료(종합) 2 다군 22/03/11 3137 1
28568 의료/건강대장암이 좋아하는 것…초고속 식사, 화장실 폰, 그리고 이 습관 [나영무 박사의 '말기 암 극복기'] 7 swear 22/03/11 3155 0
28562 의료/건강"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로 확진판정, 내일 중대본에서 결정" 10 다군 22/03/10 3432 0
28517 의료/건강[이진구 기자의 對話]“현장은 지옥인데… 정부 내 전문가 중 잘못된 사인 주는 그룹 있어” 17 탈론 22/03/08 3758 2
28498 의료/건강화이자‧모더나, ‘심근염’ 인과성 충분…질병청, ‘피해보상 소급 적용’ 예고 7 알탈 22/03/07 3754 1
28410 의료/건강소아확진자 동네병원 외래진료 곧 시작…코로나 일상의료 '시동'(종합) 4 다군 22/02/28 3278 0
28378 의료/건강확진자는 주는데…일본, 코로나 사망자 한주에 1617명 사망 6 구밀복검 22/02/25 3118 0
28374 의료/건강확진 의료진, 3일격리후 근무 가능…입원 7일 넘으면 일반병실로 16 먹이 22/02/25 3455 0
28366 의료/건강코로나 백신은 왜 집단면역에 실패했나 매뉴물있뉴 22/02/25 3206 2
28287 의료/건강"모자라는 잠 늘리면 덜 먹는다" 4 다군 22/02/21 3142 1
28280 의료/건강코로나19 확진된 7개월 남아, 병원 이송 도중 숨져 6 먹이 22/02/20 3276 0
28256 의료/건강그러니까, 독일의 과학력은 세계 제이이이이이일! 4 T.Robin 22/02/19 3273 0
28255 의료/건강3월 예상 일일 최대 확진자 36만 사망자 700 14 구밀복검 22/02/19 4231 4
28206 의료/건강'재택치료' 복지부 차관 "저도 병원 전화 안돼"..급증한 1인가구 환자 어쩌나 5 먹이 22/02/16 3566 0
28185 의료/건강식약처 "주중 전국 7개 편의점체인에 자가키트 670만개 공급" 2 다군 22/02/15 3186 0
28163 의료/건강'비만 단백질 구조' 밝혀졌다…서울대 연구진, 세계 최초로 규명 5 구박이 22/02/15 3632 1
28155 의료/건강CU·GS25 자가검사키트 내일부터 공급…세븐일레븐은 17일부터(종합) 1 다군 22/02/14 3215 0
28141 의료/건강남성 탈모약, 어떤 게 좋을까? 7 다군 22/02/14 3200 0
28125 의료/건강내일부터 3주간 자가검사키트 구매한도 '1회당 5개' 제한 5 다군 22/02/12 2918 0
28102 의료/건강동네 병의원 신속항원검사 5천 원 내면 된다? 2 다군 22/02/11 3150 0
28093 의료/건강정부, 자가키트 온라인 노노 약국 소분판매 ㅇㅇ 17 켈로그김 22/02/10 3380 1
28084 의료/건강식약처, 코로나 자가검사키트 온라인 판매금지 추진 3 다군 22/02/10 3167 0
28051 의료/건강정부, QR 등 출입명부 중단 검토…"접촉자 추적 필요성 약화" Groot 22/02/09 2681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