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1/09/16 12:33:27 |
Name | cummings |
File #1 | 1.jpg (1.54 MB), Download : 49 |
File #2 | EN2VB5RDNJB37LJKI26CBSQSB4.webp (51.3 KB), Download : 52 |
Subject | 밤 10시 유료콜 아니면 택시 안 잡힌다? 수상한 알고리즘 |
[매트릭스] 밤 10시 유료콜 아니면 택시 안 잡힌다? 수상한 알고리즘 https://news.jtbc.joins.com/html/452/NB12023452.html 반대로 택시 기사들에겐 어떤 식으로 콜이 뜰까. 서울 역삼역 근처에서 택시 두 대에 들어온 카카오T 호출을 살펴봤습니다. 밤 10시가 가까워지고, 서서히 호출이 늘어납니다. 노란색은 일반 호출, 초록색은 수수료가 붙는 스마트호출입니다. 결국 초록색 콜이 화면에 가득 찹니다. 드문드문 노란색의 일반호출도 나오긴 합니다. 직접 일반 호출을 해봤습니다. 잠실의 대단지 아파트로 목적지를 설정합니다. 9분 거리의 기사에게도 요청 중이라는데, 바로 코앞의 택시 두 대엔 호출 요청이 뜨지를 않습니다. 반대 방향인 여의도로 호출해봐도 마찬가지입니다. ----------------------------------------------------- 손님은 웃돈, 기사는 추가 수수료… ‘택시 독점' 카카오만 웃는다 https://www.chosun.com/national/2021/06/14/5ATO7HJ6ONFFVO7L4B7JTVUJVU/ 카카오T가 택시기사들 피만 빨아먹는줄 알았는데 수수료붙는 스마트호출로 호갱님들 돈도 쪽쪽 빨아먹고있었군요. 스마트호출 비용이 택시기사들에게 가는줄 알았는데... 옛날엔 장거리나 따불만 태우는 택시기사들에게 승차거부당했다고 하면 요즘에는 카카오에게 당하고있었네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cummings님의 최근 게시물
|
개발하는 입장에선 기사처럼 만들 정책에 대해 상식적으로 처음 기획을 검토할 때 이래도 돼? 싶기도 했을텐데..
어떻게보면 내부 알고리즘이 좀 더 고도화 되어 있어서 일반호출이 높은 시간대/콜 가능한 택시에 대해 스마트 호출의 대기량에 따라서 우선순위 가산점 같은게 다이나믹하게 변하는 과정의 부작용이 아닐까 싶기도 하고요. 의도가 아예 없진 않지만 이정도로 문제가 생길줄은? 같은 상황이 아닐지..
어느쪽이든 저 고객/택시운전사 양쪽에 대한 수익모델을 위해 플랫폼이 개발한 bm과 관련 콜 배치 과정이 썩 좋아보이지는 않네요. 스마트 콜 폐지 한다던데 돈도 문제지만 일반 콜과 스마트 콜이 다량 들어왔을때 최적값으로 공백없이 콜을 배치해주는 과정과 적절한 품질차이 간의 간극을 좁히는게 생각보다 피곤한 일이었을지도..
어떻게보면 내부 알고리즘이 좀 더 고도화 되어 있어서 일반호출이 높은 시간대/콜 가능한 택시에 대해 스마트 호출의 대기량에 따라서 우선순위 가산점 같은게 다이나믹하게 변하는 과정의 부작용이 아닐까 싶기도 하고요. 의도가 아예 없진 않지만 이정도로 문제가 생길줄은? 같은 상황이 아닐지..
어느쪽이든 저 고객/택시운전사 양쪽에 대한 수익모델을 위해 플랫폼이 개발한 bm과 관련 콜 배치 과정이 썩 좋아보이지는 않네요. 스마트 콜 폐지 한다던데 돈도 문제지만 일반 콜과 스마트 콜이 다량 들어왔을때 최적값으로 공백없이 콜을 배치해주는 과정과 적절한 품질차이 간의 간극을 좁히는게 생각보다 피곤한 일이었을지도..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