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1/03/26 14:51:51
Name   혀니
Subject   삼성전자, 올해 임금 평균 7.5% 인상…10년만에 최대폭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519900

헐 부러워라 ㅠ

실적 개선 있어도 보통 일회성으로 보너스 뿌리고 퉁치는게 보통인데.
임금 대폭 인상이라니 놀랍네요.



0


왼쪽의지배자
와...4만원 올랐던데....저사람들은 와....
사원급 상위 고과면 20프로 정도래요...
나코나코나
강제로 고통분담 당한 사람들만 바보가 되는 분위기네요.
노비짓을 하더라도 정승집에서 하라는 조상님들의 말이 맞았읍니다 ㅎㅎ
6
대폭 인상 아닐걸요? 블라인드 난리던데... 오히려 좋은실적에도 IT기업 대비 밀리기 시작했다고 봐야...
평균 7% 인상인데 ps에서 3% 덜줬어서 그거 생각하면 뭐..
10% 얘기가 나왔었는데, 사측이 선방한 것 같기도 합니다. 다른 기업들도 많이 올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너 리스크가 해소된 시점(?)에서 2021년 어닝 쇼크 기대??
기본 연봉이 세니 2~3%만 올랐는데도 불구하고
대졸 초임이 중소기업 부장급 연봉 싸다구를 쳐버리네 ㄷㄷ
칸나바롱
중소기업 부장급 연봉이 5천인가요..? 잘 몰라서..
여기 어촌마을 기준엔 그렇읍니다.

매출액 기준 300~500억이상 코스닥 상장기업 정도되면
신입 연봉이 3500 전후 선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과장되면 5천을 대부분 다 찍습니다.

나머지는 소수의 좋소기업과 다수의 좆소기업이라서
대부분 2400~3000 사이에서 신입 연봉 스타뚜 입니다.

좋소 & 좆소는 신기하게 어딜 가더라도 아래와 같이 비슷한 금액대의 연봉이 나옵니다.
(일단 제조업기준, 사무직 한정 입니다. 생산직은 수당이 많고 잔업이 많아 추정이 어렵읍니다)

사원 : 2400 ~ 3200... 더 보기
여기 어촌마을 기준엔 그렇읍니다.

매출액 기준 300~500억이상 코스닥 상장기업 정도되면
신입 연봉이 3500 전후 선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과장되면 5천을 대부분 다 찍습니다.

나머지는 소수의 좋소기업과 다수의 좆소기업이라서
대부분 2400~3000 사이에서 신입 연봉 스타뚜 입니다.

좋소 & 좆소는 신기하게 어딜 가더라도 아래와 같이 비슷한 금액대의 연봉이 나옵니다.
(일단 제조업기준, 사무직 한정 입니다. 생산직은 수당이 많고 잔업이 많아 추정이 어렵읍니다)

사원 : 2400 ~ 3200
대리 : 3200 ~ 3800
과장 : 3800 ~ 4400
차장 : 4400 ~ 5000
부장 : 5000 ~
최근에 게임업계가 워낙 드라마틱해서 빛이 바래긴 하지만..
제조업에서 저 정도 인상은 대폭 인상 맞다고 생각합니다.
10년 넘게 동결 수준인 제 입장에서는 걍 부러울 뿐 ㅠㅠ
삼성전자는 연봉오르면 보너스로 나오는 ps도 같이 오르는거라서...
ps 금액이 상당했던 것 같습니다.
현직자로서 할 말은 많지만 어려운 분들이 많으니 말은 아끼는 걸로...
콜라콜라니콜라
궁금합니다 비하인드 스토리가 있나요?!
1) 일단 삼성전자라는 회사 자체의 특징을 보면, 업무강도가 높은 편이고, 직원이 계속 들어오지만 그만큼 계속해서 신제품 개발 주기가 짧습니다. 반도체를 예로 들면 2년~3년마다 새로운 나노급으로 낮추고 있는데, 기존 나노급 제품은 이미 고객사에 납품하는 상황(양산)에서 신제품 개발도 하려면 사람이 계속해서 갈리는 구조입니다.

2) 동시에 삼성전자가 그동안 무노조 경영을 하면서도 노조가 만들어지지 않았던 이유 중 하나는 복지 대신 연봉을 통해 많이 보상하는 구조였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복지는 비슷한 급의 타 계열사와 비교해서... 더 보기
1) 일단 삼성전자라는 회사 자체의 특징을 보면, 업무강도가 높은 편이고, 직원이 계속 들어오지만 그만큼 계속해서 신제품 개발 주기가 짧습니다. 반도체를 예로 들면 2년~3년마다 새로운 나노급으로 낮추고 있는데, 기존 나노급 제품은 이미 고객사에 납품하는 상황(양산)에서 신제품 개발도 하려면 사람이 계속해서 갈리는 구조입니다.

2) 동시에 삼성전자가 그동안 무노조 경영을 하면서도 노조가 만들어지지 않았던 이유 중 하나는 복지 대신 연봉을 통해 많이 보상하는 구조였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복지는 비슷한 급의 타 계열사와 비교해서 크게 나은 편은 아닌데 많이 지적받는 게 일단 휴가가 법정 최저고 월마다 20시간 이상을 근무해야 야근수당이 인정됩니다. 25시간 근무=5시간 야근수당.

그런데 복지 대신 성과급으로 보상하는 구조에서 사측은 1년의 인건비를 성과급(PS)을 통해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가 있었습니다. 사실 그동안에는 적당한 매출/영업이익 달성하면 크게 문제 없이 성과급(PS) MAX를 지급해 왔습니다. 반대로 회사가 어려웠을 때는 성과급 0 이었구요. 요약해보면 "대우로 노조 얘기가 나오는 걸 막았다"고 할 수 있겠네요.

3) 그런데 최근 들어서 성과급 산정이 미묘하게 빡빡해지기 시작했습니다. 사실 2017~2018년 영업이익(50조)이 비정상적이었던 거지 2019년이 못 번 게 아닌데, 2018년 대비 낮아졌다는 이유(2016년 수준 27조)로 5년 연속으로 PS MAX로 지급해오다가 29%를 지급했었죠. 2016년에는 이것보다 적게 벌었는데도 PS MAX였는데, 계속 산정이 미묘하게 빡빡해졌습니다.

4) 그리고 사실 성과급 산정 기준이 미리 공개된 것도 아닙니다. 그냥 올해는 많이 벌었으니까 어느 정도는 챙겨주겠지... 식이었지 구체적으로 얼마 벌어야 성과급 MAX 준다, 하는 내용도 없습니다. 예전에는 한 15조 벌었어도 성과급 MAX(50%) 줬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17조 벌고 29% 받으면서 본격적으로 불만이 터져나오기 시작한 겁니다. 왜 그간의 영업이익 수준만큼 벌었는데 사측이 성과급을 일방적으로 통보하느냐, 같은 이야기였죠. 그 이전 노조가 처음으로 생겼지만, 여전히 피고용인들은 사측 눈치로 가입률이 높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직원들의 불만은 쌓이고 있었죠.

5) 2020년 같은 경우 성과급 산정 기준을 미리 공지했는데, 17.5조 이상 달성 시 35%인가 이렇게 써놓고 많이 벌어서 40% 이상 달성합시다... 뭐 이런 식의 공지였습니다. 결국 MAX 공지는 안했으니 사실상 여전히 성과급 기준은 회색지대에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영업이익 35조에 반도체는 약 21조 정도 벌었는데, 2019년 15.5조에 비해 많이 벌었으니 성과급 MAX 기대를 많이 했었죠. 그런데도 MAX(50%)가 아닌 47%를 줘서 직원들이 본격적으로 불만을 터트린 것 같습니다. 회사가 맨날 위기라면서 돈 많이 벌어도 성과급 지급을 안하는데, 당시 임원급들은 성과급을 전년 대비 240%를 받아버렸거든요.

6) 성과급 공지가 1월 말에 있었고, 이제 연봉인상률 협의가 다음 수순이었는데, 노조 대신 원래 사측과 협의하기로 되어 있는 노사협의회가 이번 기본급 인상에서 6.36%를 제시했는데 사측은 그 절반도 되지 않았다(3% 이하) 등의 이야기가 나오면서 이제 기본인상률로 한번 더 불타오르게 된 겁니다.

7) IT업계를 중심으로 한 기본급 인상, 이로 인한 무선사업부 쪽의 IT업계로의 이탈, LG전자 등의 기본급 인상,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 및 성과급과 연봉인상률에 대한 사측의 일방적인 통보 등이 겹쳐서 직원들이 블라인드 뿐만 아니라 사내게시판에서도 본격적으로 성토를 하기 시작했고, 노사간 갈등이 심해져서 이제 연봉 비교하는 기사들도 돌아다니고 있습니다.

8)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크게 두 가지의 생각이 혼재되어 있는데, 하나는 사측의 입장도 일리가 있습니다. 삼성전자에서 1인당 영업이익을 이야기하면서 1인당 2.15억 정도 벌었는데 그 정도 성과급도 못주냐! 하는 사람들이 있던데, 돈은 사람만 버는 게 아니고 장비도 벌고 자본도 법니다. 시스템이 돈을 버는 거고, 사람은 누가 와도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굳이 사람들을 많이 챙겨줘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들 겁니다. 특히 노조가 있다곤 하지만 아직 가입자를 당당하게 밝히고 행동할 만큼 많지도 않아서 교섭권이 약하고 합법 파업도 돌입하기 어려운 상황상 노사 간에 대등한 무기가 있다곤 생각하기 힘들어요. 굳이 돈 줄 필요 없는데 왜 쓸데없는 비용을 지출하려고 하겠습니까.

9) 하지만 반대로 그런 방향으로 진행하더라도 사측의 일방적인 통보는 노측의 '기분을 나쁘게' 만듭니다. 사실 3% 차이가 뭐라고 50% 안주고 47%를 줘서 그렇게 회사 분위기를 조졌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PS산정 기준도 불투명한 채 성과급 기준을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셈이니까요. 그리고 장비도 벌고 하겠지만 사람을 진짜 잘 갈아대는 회사 중에 하나입니다. 퇴직 이후에도 갈 데가 별로 없어서 바싹 벌고 나가는 회사인데 있는 사람들은 계속 들들 볶으면서 모든 게 다 일방적인 통보들로 구성이 되니까 직원 측이 받는 스트레스가 꽤 있습니다. 꼽다고 나갈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반대편 쌀집은 벌써 성과급 20%로 회사 터졌고, 그렇다고 SKT나 정유회사, 네이버처럼 이미 만들어진 해자를 통해 안정적인 장벽을 구축한 회사가 아니고, 계속 신제품 개발하라고 위에서는 쪼는 회사니까요.

10) 일단 소프트웨어 직군은 사실 이직만 가능하다면 굳이 삼성전자에 있을 필요는 못 느낄 것 같은데... 나머지 제조업 직군들은 아마 노조 가입 전까지는 계속 이렇게 일방적으로 맞는 구조가 될 겁니다. 결국 합법적으로 라인 멈춘다는 협박을 할 수 있기 전까지는 계속 이렇게 쳐맞는다는 사실을 더 많은 사람들이 깨달을수록 노조에 많이 가입하게 되지 않을지. 아무튼 그래서 생산직 입장에서는 결국 나중에 계속 이렇게 가면 강성노조가 생기진 않을까? 하고 있고, 소프트웨어 직군은 이직 알아보는 게 좋아 보입니다. 그냥 사무직 입장에서는 계속 이렇게 살 것 같네요.
2
그저그런
오잉 선생님 쌀집 아니셨나요? ㅎㅎ 엄청 정확한 분석이시네요.
전 내내 갈비집...
1
그저그런
여러곳 다녀본 경험에 비추면, 삼전이 확실히 직원들을 엄청나게 통제하고 업무강도도 쎕니다. 복지도 좋은 편은 아니구요.
그걸 자부심과 국내 최고수준 연봉으로 보상하고 있었거든요. 하지만 최근 IT업계와 LG전자 연봉인상으로 인해 연봉도 자부심도 좀 무너진거죠.
2
2막4장
지나가는 LG인 입장에서 한말씀 드리면 LG전자는 연봉이 올라도 근처에도 못가는 수준입니다
LG그룹 자체가 삼성대비 연봉이 짠 편에 가까워서요
ㅠㅠ
맥주만땅
소득주도성장 가즈아?
현직자왈 언플이라는 얘기가 있더군요
겨울삼각형수정됨
10년내 최대폭 : 사실
평균 7.5 퍼 : 언론발표용 가짜..


이건 마치
10프로 받는사람
20프로 받는사람
30프로 받는사람

있는데 3명(?) 평균이면 20프로지?
같은겁니다.

구성원의 대다수가(60~70) 10퍼 받고
상위권은 20퍼 받고
최상위권 30퍼 받고 하니
인원으로 실제 평균내는거랑 전혀 다른 말인거죠.


결국 평가에 따른 +@ 를 별개로 보면
그냥 4.5 상승인겁니다.
평가에 따라 달리 주던건 이번만 그랬던것도 아니고..... 더 보기
10년내 최대폭 : 사실
평균 7.5 퍼 : 언론발표용 가짜..


이건 마치
10프로 받는사람
20프로 받는사람
30프로 받는사람

있는데 3명(?) 평균이면 20프로지?
같은겁니다.

구성원의 대다수가(60~70) 10퍼 받고
상위권은 20퍼 받고
최상위권 30퍼 받고 하니
인원으로 실제 평균내는거랑 전혀 다른 말인거죠.


결국 평가에 따른 +@ 를 별개로 보면
그냥 4.5 상승인겁니다.
평가에 따라 달리 주던건 이번만 그랬던것도 아니고..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4461 문화/예술아무 것도 없는데 '투명 조각상' 우기니…경매서 2000만원에 팔렸다 8 혀니 21/06/03 3773 1
23877 정치이재명, 文정부 지지도와 거꾸로 갔다..與 '유일한 희망'되나 11 혀니 21/04/08 3868 0
23758 경제삼성전자, 올해 임금 평균 7.5% 인상…10년만에 최대폭 22 혀니 21/03/26 4221 0
23584 사회키오스크서 20분…"딸, 난 끝났나봐" 엄마가 울었다 16 혀니 21/03/12 3787 0
23549 정치황교안 "개와 늑대의 시간 지났다" 11개월만에 정계복귀 선언 26 혀니 21/03/10 3766 1
23457 사회대법 "업무 능력 저조하고 개선 의지 없다면…해고 정당" 6 혀니 21/03/02 3328 0
23397 의료/건강매일 커피 마시나요? '뇌' 쪼그라듭니다 12 혀니 21/02/22 5401 1
23101 정치안철수, 국민의힘에 입당 관련 의견 전달 11 혀니 21/01/27 3601 0
23007 방송/연예TV조선 "'미스트롯' 포맷 도용, MBN에 손배소 제기" [공식] 2 혀니 21/01/19 3580 0
22988 국제日 '도쿄올림픽 2024년으로 재연기' 극비 논의 16 혀니 21/01/18 4030 0
22955 방송/연예지상파 중간광고 48년만에 허용한다…이르면 6월 시행 8 혀니 21/01/15 2982 0
22155 사회KF94 포장지에 넣은 ‘가짜마스크’ 402만 장 시중에 유통됐다 2 혀니 20/10/29 2721 0
22015 외신변덕쟁이 오렌지로드 작가 마츠모토 이즈미 타계 5 혀니 20/10/13 3313 1
21681 방송/연예양현석, 첫 재판서 원정도박 혐의 인정…취재진엔 '묵묵부답'(종합) 8 혀니 20/09/09 4390 0
21021 의료/건강“韓, 코로나 사망 적은 이유” 佛 연구진이 밝힌 비결은 ‘김치’ 16 혀니 20/07/16 5107 0
13337 IT/컴퓨터‘음란물 유통’ 웹하드에 징벌적 과징금 부과 추진 5 헬리제의우울 18/11/13 3597 0
30245 정치청와대 앞 '윤 대통령 부부 등신대'.. 시민들 '찰칵' 13 헤트필드 22/07/07 2805 0
29932 경제또 탁상 물가대책…"1.8% 관세 없앤다고 빵값 떨어지겠나" 16 헤트필드 22/06/17 3243 2
25824 사회친딸 성폭행 父, 징역 7년 불복해 항소···"딸 피해망상 있어" 4 헌혈빌런(R) 21/09/18 2727 0
24005 사회10년간 딸 성폭행 '인면수심' 친부 구속…딸은 신고 후 극단선택 1 헌혈빌런(R) 21/04/20 3444 1
21482 의료/건강가장 빠른 사나이도 걸린 코로나19 바이러스 헌혈빌런(R) 20/08/25 2945 0
15604 스포츠“시속 237km 과속 사망, 레예스 추모해야 하나” 西 레전드 비판 5 헌혈빌런(R) 19/06/03 3583 0
38672 정치김문수 “요즘 MZ들, 애 안 낳고 개만 사랑해” 13 허윤진남편 24/08/20 1432 2
37718 스포츠“이건 야구 아니다” 말까지...‘자동 볼 판독’ 오심 은폐 논란 일파만파 10 허윤진남편 24/04/15 2534 0
37710 스포츠처음이라 그런가? 논란의 ABS, 이번에는 어이없는 오작동...최대 피해자 나왔다[SC포커스] 10 허윤진남편 24/04/14 2303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