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위 보도자료에 나오지만,
One dosing regimen (n=2,741) showed vaccine efficacy of 90% when AZD1222 was given as a half dose, followed by a full dose at least one month apart, and another dosing regimen (n=8,895) showed 62% efficacy when given as two full doses at least one month apart. The combined analysis from both dosing regimens (n=11,636) resulted in an average efficacy of 70%. All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01). More data will continue to accumulate and additional analysis will be conducted, refining the efficacy reading and establishing the duration of protection.
90%는 중간 연구 결과로는 최대치일 때입니다. 70%는 평균이고.
One dosing regimen (n=2,741) showed vaccine efficacy of 90% when AZD1222 was given as a half dose, followed by a full dose at least one month apart, and another dosing regimen (n=8,895) showed 62% efficacy when given as two full doses at least one month apart. The combined analysis from both dosing regimens (n=11,636) resulted in an average efficacy of 70%. All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01). More data will continue to accumulate and additional analysis will be conducted, refining the efficacy reading and establishing the duration of protection.
90%는 중간 연구 결과로는 최대치일 때입니다. 70%는 평균이고.
임상을 나눠서 해서, 각각이 다른 방식으로 진행되어서 합산해서 결과를 그렇게 발표했기에, 이렇게 해석하는 경우도 있고, 저렇게 해석하는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연구팀도 왜 저렇게 되는지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는 상황이기도 하고, 모집단 수가 앞이 더 적기도 합니다.(2,741명) 경쟁적으로 중간 결과를 내놓고 있지만, 이것도 완결된 결과도 아니고, 각 회사 백신 별로 임상 방법도 차이가 있고. 그렇군요.
일단, 개발자들은 투약방법을 달리 해서 90% 나온 것도 규제 당국에 제출할 정도의 신뢰성이 있다고 재차 언급했습니다만, 영국은 몰라도 미국에서는 이렇게는 허가 안 나올 것이라는 비판... 더 보기
일단, 개발자들은 투약방법을 달리 해서 90% 나온 것도 규제 당국에 제출할 정도의 신뢰성이 있다고 재차 언급했습니다만, 영국은 몰라도 미국에서는 이렇게는 허가 안 나올 것이라는 비판... 더 보기
임상을 나눠서 해서, 각각이 다른 방식으로 진행되어서 합산해서 결과를 그렇게 발표했기에, 이렇게 해석하는 경우도 있고, 저렇게 해석하는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연구팀도 왜 저렇게 되는지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는 상황이기도 하고, 모집단 수가 앞이 더 적기도 합니다.(2,741명) 경쟁적으로 중간 결과를 내놓고 있지만, 이것도 완결된 결과도 아니고, 각 회사 백신 별로 임상 방법도 차이가 있고. 그렇군요.
일단, 개발자들은 투약방법을 달리 해서 90% 나온 것도 규제 당국에 제출할 정도의 신뢰성이 있다고 재차 언급했습니다만, 영국은 몰라도 미국에서는 이렇게는 허가 안 나올 것이라는 비판도 나왔습니다. 부실한 발표라고.
아마도 하프-풀이라는 새로운 투약방법에 대한 대규모 임상을 다시 해야 할 가능성이 있을 것 같습니다. 아니면 아예 미국 시장은 일단은 포기하는 방법도?
요건 파우치 선생의 코멘트가 들어있는 기사입니다.
https://www.statnews.com/2020/11/23/astrazeneca-covid-19-vaccine-is-70-effective-on-average-early-data-show/
일단, 개발자들은 투약방법을 달리 해서 90% 나온 것도 규제 당국에 제출할 정도의 신뢰성이 있다고 재차 언급했습니다만, 영국은 몰라도 미국에서는 이렇게는 허가 안 나올 것이라는 비판도 나왔습니다. 부실한 발표라고.
아마도 하프-풀이라는 새로운 투약방법에 대한 대규모 임상을 다시 해야 할 가능성이 있을 것 같습니다. 아니면 아예 미국 시장은 일단은 포기하는 방법도?
요건 파우치 선생의 코멘트가 들어있는 기사입니다.
https://www.statnews.com/2020/11/23/astrazeneca-covid-19-vaccine-is-70-effective-on-average-early-data-show/
반가운 소식이긴 한데, 다른 회사들 발표와 마찬가지로 일단 정보가 너무 부실하고, 하프/풀이 왜 풀/풀보다 더 나은지 명쾌하게 설명이 어려운 상태입니다
피어리뷰된 저널 보기 전엔 판단을 유보할까 합니다
피어리뷰된 저널 보기 전엔 판단을 유보할까 합니다
1차 주사에서 풀 도우스를 사용할 경우 adenovirus에 대한 항체가 많이 생성되어, 2차 주사의 효과를 반감시키는 것으로 보임. 과유불급인 셈.
적정 용량은 2상에서 결정되는데, 저 백신이 1상과 2상을 동시 진행하느라 뭔가 연구가 부실하게 된 듯...
적정 용량은 2상에서 결정되는데, 저 백신이 1상과 2상을 동시 진행하느라 뭔가 연구가 부실하게 된 듯...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