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0/09/06 18:43:38 |
Name | The xian |
Subject | 의대생협회 "국가고시 응시 만장일치 거부..투쟁 지속" |
https://news.v.daum.net/v/20200906182122361 의대생들은 투쟁을 지속하겠다고 하는군요. 네. 뭐 그렇답니다. https://news.v.daum.net/v/20200906173233558 정부는 예고한 대로 재접수 기한을 오늘 자정까지 연장하고, 기존 일정에 맞춰 접수한 의대생은 예정대로 9월 8일부터 10월26일까지 시험을 치르고 재접수 의대생에 대해서는 시험 준비시간이 부족하다는 의료계 건의를 받아들여 11월 10일 이후 시험 일정을 잡아 진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또한 재접수 신청을 하지 않을 경우, 이번 회차의 의사 국가고시 실기시험 응시는 어렵다는 점을 정확히 인지해야 한다고도 밝혔습니다. - The xian - P.S. 월급도둑질은 여기까지입니다. 오늘은 뉴스 그만 올립니다.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The xian님의 최근 게시물
|
무슨 갈라치기니 재앙이니 가붕개니 해도 지금정부처럼 시위나 파업에 관대한 정부가 없었는데, 욕심이 과하지 않나 마 그런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4학년 전수가 시험 거부를 한 것도 아니고, 올해 4학년만 인턴으로 들어오는 것도 아니고,
현재 인턴과 레지던트가 없어도 병원이 어느 정도 돌아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고,
모든 과에 인턴이 필요한 것도 아니고, 인턴 일에는 한시적 대체 인력 고용이 어렵지 않기도 하고, 그 인력이 고급인력일 필요가 없어서 인건비가 많이 들어갈 가능성도 별로 없고... 등등
아마 내년에도 인턴이 모자란 한 해로 대형병원은 대부분 그럭저럭 돌아갈 겁니다.
인턴 때문에 대형병원이나 주요 의과대학에서 더 나설 일은 아마도 없을 거라고 예상... 더 보기
현재 인턴과 레지던트가 없어도 병원이 어느 정도 돌아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고,
모든 과에 인턴이 필요한 것도 아니고, 인턴 일에는 한시적 대체 인력 고용이 어렵지 않기도 하고, 그 인력이 고급인력일 필요가 없어서 인건비가 많이 들어갈 가능성도 별로 없고... 등등
아마 내년에도 인턴이 모자란 한 해로 대형병원은 대부분 그럭저럭 돌아갈 겁니다.
인턴 때문에 대형병원이나 주요 의과대학에서 더 나설 일은 아마도 없을 거라고 예상... 더 보기
4학년 전수가 시험 거부를 한 것도 아니고, 올해 4학년만 인턴으로 들어오는 것도 아니고,
현재 인턴과 레지던트가 없어도 병원이 어느 정도 돌아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고,
모든 과에 인턴이 필요한 것도 아니고, 인턴 일에는 한시적 대체 인력 고용이 어렵지 않기도 하고, 그 인력이 고급인력일 필요가 없어서 인건비가 많이 들어갈 가능성도 별로 없고... 등등
아마 내년에도 인턴이 모자란 한 해로 대형병원은 대부분 그럭저럭 돌아갈 겁니다.
인턴 때문에 대형병원이나 주요 의과대학에서 더 나설 일은 아마도 없을 거라고 예상됩니다.
이미 국시 접수 연기할 때 주요 의과대학 학장들이 굉장히 많은 노력을 했는데,
의대생들이 그 노력에 대해서 전혀 감사하지 않았거든요.
현재 인턴과 레지던트가 없어도 병원이 어느 정도 돌아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고,
모든 과에 인턴이 필요한 것도 아니고, 인턴 일에는 한시적 대체 인력 고용이 어렵지 않기도 하고, 그 인력이 고급인력일 필요가 없어서 인건비가 많이 들어갈 가능성도 별로 없고... 등등
아마 내년에도 인턴이 모자란 한 해로 대형병원은 대부분 그럭저럭 돌아갈 겁니다.
인턴 때문에 대형병원이나 주요 의과대학에서 더 나설 일은 아마도 없을 거라고 예상됩니다.
이미 국시 접수 연기할 때 주요 의과대학 학장들이 굉장히 많은 노력을 했는데,
의대생들이 그 노력에 대해서 전혀 감사하지 않았거든요.
전략의 부재하고 무식한 정권에서 벌집을 잘못 건드렸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의사, 과학자 같은 집단들은 각국에서 우선적으로 데려가려고 하는 키우기 힘든 집단입니다. 지금 의대 졸업하는 친구들이 의사 면허따고 3년 조금 넘는 기간 군의관이나 공보의로 복무하는 시스템에서 1년치의 의사가 없어지면 군대에서도, 보건소에서도 미래의 어느 시점에서 많은 문제가 나타날 것입니다. 게다가 이들이 군대 다녀와서 외국으로 나가면 그 피해는 일반국민이 보게 됩니다. 지금 캐나다와 독일에서 벌어지고 있는 문제입니다. 열심히 공부한 사람들은 조금 더 나은 ... 더 보기
전략의 부재하고 무식한 정권에서 벌집을 잘못 건드렸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의사, 과학자 같은 집단들은 각국에서 우선적으로 데려가려고 하는 키우기 힘든 집단입니다. 지금 의대 졸업하는 친구들이 의사 면허따고 3년 조금 넘는 기간 군의관이나 공보의로 복무하는 시스템에서 1년치의 의사가 없어지면 군대에서도, 보건소에서도 미래의 어느 시점에서 많은 문제가 나타날 것입니다. 게다가 이들이 군대 다녀와서 외국으로 나가면 그 피해는 일반국민이 보게 됩니다. 지금 캐나다와 독일에서 벌어지고 있는 문제입니다. 열심히 공부한 사람들은 조금 더 나은 생활 보장해주면서 한국에 남게 하는게 일반국민들에게는 더 많은 이익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벌써 똑똑한 과학자들은 외국에 많이 빼았기고 있는 것은 국민들의 실제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의사같은 경우는 우리들이 받는 직접적인 영향이 나중에 매우 클수 있습니다.
글쎄요...그렇다 하여 국민들이 피해를 입는다고 해도, 원칙대로 가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정부는 2번이나 연장을 했습니다.
대한민국 의료가 그런 취약한 상황이라면 더더욱 공공의료(의대 아님)를 확충해야지요. 해외 유출, 대학생 시험 거부 정도로 흔들린다는게 큰 문제라고 봅니다. 해외 유출이 많다는 독일도 코로나 사태를 겪으면서 의대 정원을 50% 증원하기로 했고, 우리나라도 다른 방법은 없어 보입니다.
대한민국 의료가 그런 취약한 상황이라면 더더욱 공공의료(의대 아님)를 확충해야지요. 해외 유출, 대학생 시험 거부 정도로 흔들린다는게 큰 문제라고 봅니다. 해외 유출이 많다는 독일도 코로나 사태를 겪으면서 의대 정원을 50% 증원하기로 했고, 우리나라도 다른 방법은 없어 보입니다.
오히려 의대생 측이 더 추한 거 같은데요. 어제 접수했으면 되었을텐데...뭘 더 어쩌라고... 학부모님들 항의가 거세다는 이야기는 들었습니다. 공정하게 해야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