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0/03/06 09:14:05 |
Name | The xian |
Subject | "일제에 2등 신민으로 몰린 소년시절.. 조선일보 보며 나라 잃은 아픔 읽어" |
https://news.v.daum.net/v/20200306030953305 조선일보 관련 인터뷰로 백선엽씨를 선정한 것은 여러모로 시의적절한 일이다 싶습니다. 스스로의 정체성과 가장 닮은 인물을 선정한 덕에 독자들이 조선일보의 본질을 확실히 더 깨달을 수 있을 테니까요. 조선일보가 친일행각을 시작한 시기와 백선엽씨의 청소년기가 일치한다는 점도 참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드는 일입니다. 역시 청소년기에 무엇을 읽고 보느냐가 정말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고 할까요. 나이가 먹어가면 먹어갈 수록, 어릴 때 보고 자란 것을 바로잡는 일은 너무나 어렵습니다. - The xian - 3
이 게시판에 등록된 The xian님의 최근 게시물
|
백선엽
만주국군 중위, 간도특설대
1940-1942 중앙육군훈련처 (만주국이 초급장교를 양산하기 위해 펑텐(봉천)에 세운 군관학교) 입학, 졸업
1943.4 만주국군 소위로 임관. 간도 특설대 근무
1943.12 팔로군 공격작전에 참가.
- 간도특설대는 하사관과 사병 전원, 군관 절반 이상이 조선인. 일제 패망으로 해산하기 까지 108차례 독립군과 민간인 토벌작전을 벌였다. 그들에게 살해된 항일 무장세력과 민간인은 172명에 달했으며 그 밖에 많은 사람이 체포되거나 강간, 약탈, 고문을 당했다.
<<... 더 보기
만주국군 중위, 간도특설대
1940-1942 중앙육군훈련처 (만주국이 초급장교를 양산하기 위해 펑텐(봉천)에 세운 군관학교) 입학, 졸업
1943.4 만주국군 소위로 임관. 간도 특설대 근무
1943.12 팔로군 공격작전에 참가.
- 간도특설대는 하사관과 사병 전원, 군관 절반 이상이 조선인. 일제 패망으로 해산하기 까지 108차례 독립군과 민간인 토벌작전을 벌였다. 그들에게 살해된 항일 무장세력과 민간인은 172명에 달했으며 그 밖에 많은 사람이 체포되거나 강간, 약탈, 고문을 당했다.
<<... 더 보기
백선엽
만주국군 중위, 간도특설대
1940-1942 중앙육군훈련처 (만주국이 초급장교를 양산하기 위해 펑텐(봉천)에 세운 군관학교) 입학, 졸업
1943.4 만주국군 소위로 임관. 간도 특설대 근무
1943.12 팔로군 공격작전에 참가.
- 간도특설대는 하사관과 사병 전원, 군관 절반 이상이 조선인. 일제 패망으로 해산하기 까지 108차례 독립군과 민간인 토벌작전을 벌였다. 그들에게 살해된 항일 무장세력과 민간인은 172명에 달했으며 그 밖에 많은 사람이 체포되거나 강간, 약탈, 고문을 당했다.
<<친일인명사전, '백선엽' 항목 발췌>>
사주가 친일파 출신인건 어쩔 수 없는 과거라 치더라도, 간도 특설대 출신이 "나라를 빼앗긴 설움" 운운하는걸 2020년에 기사랍시고 싣고 있는 신문이 자칭 민족정론지라고 하는 걸 보니 욕지기가 나옵니다.
만주국군 중위, 간도특설대
1940-1942 중앙육군훈련처 (만주국이 초급장교를 양산하기 위해 펑텐(봉천)에 세운 군관학교) 입학, 졸업
1943.4 만주국군 소위로 임관. 간도 특설대 근무
1943.12 팔로군 공격작전에 참가.
- 간도특설대는 하사관과 사병 전원, 군관 절반 이상이 조선인. 일제 패망으로 해산하기 까지 108차례 독립군과 민간인 토벌작전을 벌였다. 그들에게 살해된 항일 무장세력과 민간인은 172명에 달했으며 그 밖에 많은 사람이 체포되거나 강간, 약탈, 고문을 당했다.
<<친일인명사전, '백선엽' 항목 발췌>>
사주가 친일파 출신인건 어쩔 수 없는 과거라 치더라도, 간도 특설대 출신이 "나라를 빼앗긴 설움" 운운하는걸 2020년에 기사랍시고 싣고 있는 신문이 자칭 민족정론지라고 하는 걸 보니 욕지기가 나옵니다.
후후 저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조선일보 100년 기념 이벤트에 성실히 참여했습죠. 무려 엽서까지 썼지요. 선물은 정말 빵빵하더라고요. 후후후 단물은 빨아야지 않겠습니까.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