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19/03/29 22:19:11 |
Name | 아이폰6S |
Subject | 5G 스마트폰 시대 기본요금 오른다.."월 5만5천원부터"(종합) |
https://news.v.daum.net/v/20190329155937678 지금 당장은 핸드폰으로 5G 를 이용해야만 하는 서비스가 없어서 한동안 대부분의 사람들은 4G 를 유지할 것 같습니다. 당장은 통신비 가계 지출 증가는 별로 없을 거에요. 아니, 당장 뿐만이 아니고 앞으로도 핸드폰에서 5G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가 생겨날지 모르겠네요. 일단 현재 제공 중인 서비스는 전부 다 4G 내에서 커버 되는 것 같은데... 그보다는 향후 5G를 반드시 이용해야만 하는 자율주행차, 드론 서비스 등이 도입되면서부터가 진짜겠죠.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아이폰6S님의 최근 게시물
|
상호간 소통이 필수적이라는건 통신회사측 주장이긴 한데
차 만드는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 안할걸요?
몇가지 문제가 있는데 사람이 운전하는데 교통방송이 필요하지 않은데 컴퓨터는 왜 통신이 필요한지 잘 모르겠다는거죠.
사고 후의 대처는 지금 있는 네비게이션 시스템만으로도 잘 만 할 수 있고 급정지는 눈으로 보고 하는거지 통신하고는 관계없고 차량흐름제어는 전체 차량이 제어되면 몰라도 일년에 차가 5%도 안바뀌는 시대에 언제 가능(필요)할지 미지수죠
드론 분야는 잘은 모르겠지만 통신를 달아놓고 전력을 소비하느니 드론 항로... 더 보기
차 만드는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 안할걸요?
몇가지 문제가 있는데 사람이 운전하는데 교통방송이 필요하지 않은데 컴퓨터는 왜 통신이 필요한지 잘 모르겠다는거죠.
사고 후의 대처는 지금 있는 네비게이션 시스템만으로도 잘 만 할 수 있고 급정지는 눈으로 보고 하는거지 통신하고는 관계없고 차량흐름제어는 전체 차량이 제어되면 몰라도 일년에 차가 5%도 안바뀌는 시대에 언제 가능(필요)할지 미지수죠
드론 분야는 잘은 모르겠지만 통신를 달아놓고 전력을 소비하느니 드론 항로... 더 보기
상호간 소통이 필수적이라는건 통신회사측 주장이긴 한데
차 만드는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 안할걸요?
몇가지 문제가 있는데 사람이 운전하는데 교통방송이 필요하지 않은데 컴퓨터는 왜 통신이 필요한지 잘 모르겠다는거죠.
사고 후의 대처는 지금 있는 네비게이션 시스템만으로도 잘 만 할 수 있고 급정지는 눈으로 보고 하는거지 통신하고는 관계없고 차량흐름제어는 전체 차량이 제어되면 몰라도 일년에 차가 5%도 안바뀌는 시대에 언제 가능(필요)할지 미지수죠
드론 분야는 잘은 모르겠지만 통신를 달아놓고 전력을 소비하느니 드론 항로 같은 규칙을 정비할 것 같아요 통신 단다고 사고 안날지도 좀 의문이고 .. 드론통신하려면 하늘로도 전파를 쏴야할텐데 사용자든 통신사든 그럴만큼 드론통신의 필요성을 느끼게 될지 잘 모르겠네요
5g된다고 뭐가 엄청나게 격변하는게 아니에요 지금 lte하고 거의 차이 안날거에요 한 2년쯤 후에 진짜 5g 나오고 산업용 모뎀들 나오기 시작하면 그때가서 고민해도 될 것 같습니다
차 만드는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 안할걸요?
몇가지 문제가 있는데 사람이 운전하는데 교통방송이 필요하지 않은데 컴퓨터는 왜 통신이 필요한지 잘 모르겠다는거죠.
사고 후의 대처는 지금 있는 네비게이션 시스템만으로도 잘 만 할 수 있고 급정지는 눈으로 보고 하는거지 통신하고는 관계없고 차량흐름제어는 전체 차량이 제어되면 몰라도 일년에 차가 5%도 안바뀌는 시대에 언제 가능(필요)할지 미지수죠
드론 분야는 잘은 모르겠지만 통신를 달아놓고 전력을 소비하느니 드론 항로 같은 규칙을 정비할 것 같아요 통신 단다고 사고 안날지도 좀 의문이고 .. 드론통신하려면 하늘로도 전파를 쏴야할텐데 사용자든 통신사든 그럴만큼 드론통신의 필요성을 느끼게 될지 잘 모르겠네요
5g된다고 뭐가 엄청나게 격변하는게 아니에요 지금 lte하고 거의 차이 안날거에요 한 2년쯤 후에 진짜 5g 나오고 산업용 모뎀들 나오기 시작하면 그때가서 고민해도 될 것 같습니다
미래를 예측하는게 쉬운건 아니지만, 그래도 너무 과격하게 말씀하시는것 같습니다 ㅎㅎ
단순 인간이 운전하는 메커니즘만 생각하면 영상처리만 잘해주면 끝 아니냐 하겠지만, s/w의 관제, 유지보수, 다른 센서정보들과의 결합, 가상화 기반 중앙제어, (인공지능으로 발전)등을 통해 안전성을 올리려고 한다면 네트워크는 필요하죠.
괜히 글로벌 제조사랑 통신사들이 협업을 하고 있는게 아닐것 같습니다.
드론은 더하구요. 연결성이 없는 블랙박스들이 하늘에 둥둥 떠다니는건 상상하고싶지 않네요. 라인트레이서도 오차 조금 발생하면 길이 꼬이는 마당에;;;
단순 인간이 운전하는 메커니즘만 생각하면 영상처리만 잘해주면 끝 아니냐 하겠지만, s/w의 관제, 유지보수, 다른 센서정보들과의 결합, 가상화 기반 중앙제어, (인공지능으로 발전)등을 통해 안전성을 올리려고 한다면 네트워크는 필요하죠.
괜히 글로벌 제조사랑 통신사들이 협업을 하고 있는게 아닐것 같습니다.
드론은 더하구요. 연결성이 없는 블랙박스들이 하늘에 둥둥 떠다니는건 상상하고싶지 않네요. 라인트레이서도 오차 조금 발생하면 길이 꼬이는 마당에;;;
일단 구글이 운전에 통신병은 필요없다는걸 잘 증명해오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래도 이야기를 해보자면 fota같은건 주차장에서 해도 되잖아요
중앙에서 제어는 할 필요도 잘 모르겠고 해서도 안된다고 생각해요.
센서 정보 결합을 한달에 5만원 통신사에 바치면서 하느니 그냥 차 안에서 해결가능한 컴퓨터를 하나 사서 박는게 차 회사들 입장같아요
백번 양보해서 5g가 진짜 필요하다고 치면 현대차에서 벌써 통신사에 뭔가 제안요구를 던지던지 하지 않았을까요? 그낭 uvo나 블루링크가 5g로 업그레이드 되는건지..?
드론... 더 보기
그래도 이야기를 해보자면 fota같은건 주차장에서 해도 되잖아요
중앙에서 제어는 할 필요도 잘 모르겠고 해서도 안된다고 생각해요.
센서 정보 결합을 한달에 5만원 통신사에 바치면서 하느니 그냥 차 안에서 해결가능한 컴퓨터를 하나 사서 박는게 차 회사들 입장같아요
백번 양보해서 5g가 진짜 필요하다고 치면 현대차에서 벌써 통신사에 뭔가 제안요구를 던지던지 하지 않았을까요? 그낭 uvo나 블루링크가 5g로 업그레이드 되는건지..?
드론... 더 보기
일단 구글이 운전에 통신병은 필요없다는걸 잘 증명해오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래도 이야기를 해보자면 fota같은건 주차장에서 해도 되잖아요
중앙에서 제어는 할 필요도 잘 모르겠고 해서도 안된다고 생각해요.
센서 정보 결합을 한달에 5만원 통신사에 바치면서 하느니 그냥 차 안에서 해결가능한 컴퓨터를 하나 사서 박는게 차 회사들 입장같아요
백번 양보해서 5g가 진짜 필요하다고 치면 현대차에서 벌써 통신사에 뭔가 제안요구를 던지던지 하지 않았을까요? 그낭 uvo나 블루링크가 5g로 업그레이드 되는건지..?
드론은 정말 잘 모르지만 이쪽도도 의문투성이인게 모든 드론에 5g 모뎀과 여분의 배터리 박고 매달 5만원씩 내기 + 하늘 커버리지 구축하기 vs 그냥 사고 좀 나게 냅두기 에서 어느게 사람들에게 더 어필할까요?
저같은 일개 폰팔이 입장에서야 여기저기 진짜 5g 다 박으면 좋기야 하겠죠 . 근데 얻는게 너무 작고 돈은 너무 많이 들 것 같아요
그래도 이야기를 해보자면 fota같은건 주차장에서 해도 되잖아요
중앙에서 제어는 할 필요도 잘 모르겠고 해서도 안된다고 생각해요.
센서 정보 결합을 한달에 5만원 통신사에 바치면서 하느니 그냥 차 안에서 해결가능한 컴퓨터를 하나 사서 박는게 차 회사들 입장같아요
백번 양보해서 5g가 진짜 필요하다고 치면 현대차에서 벌써 통신사에 뭔가 제안요구를 던지던지 하지 않았을까요? 그낭 uvo나 블루링크가 5g로 업그레이드 되는건지..?
드론은 정말 잘 모르지만 이쪽도도 의문투성이인게 모든 드론에 5g 모뎀과 여분의 배터리 박고 매달 5만원씩 내기 + 하늘 커버리지 구축하기 vs 그냥 사고 좀 나게 냅두기 에서 어느게 사람들에게 더 어필할까요?
저같은 일개 폰팔이 입장에서야 여기저기 진짜 5g 다 박으면 좋기야 하겠죠 . 근데 얻는게 너무 작고 돈은 너무 많이 들 것 같아요
1) 구글 자율주행차가 오프라인으로만 동작하나요? 그런건 못본것 같은데 사실이면 놀라울것 같습니다.
2) 주차장으로 제한되는거랑 계속연결되어있는건 다릅니다. 제 생각에는 온라인으로 인한 실시간 안전성 확보가 중요할것 같은데요;;
3) 지금도 IoT 요금제는 통신료와는 별도 가격입니다. 법인도 마찬가지구요. 그리고 인공지능까지 생각한다면 local로 설치하는건 힘들어요. 더 중요한건 기술 흐름에 역행하는거고요.
4) 자율주행 관련 제조사와 통신시의 협업은 이미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제가 작년 MWC갔을때 모터쇼인줄 알았을 정도... 더 보기
2) 주차장으로 제한되는거랑 계속연결되어있는건 다릅니다. 제 생각에는 온라인으로 인한 실시간 안전성 확보가 중요할것 같은데요;;
3) 지금도 IoT 요금제는 통신료와는 별도 가격입니다. 법인도 마찬가지구요. 그리고 인공지능까지 생각한다면 local로 설치하는건 힘들어요. 더 중요한건 기술 흐름에 역행하는거고요.
4) 자율주행 관련 제조사와 통신시의 협업은 이미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제가 작년 MWC갔을때 모터쇼인줄 알았을 정도... 더 보기
1) 구글 자율주행차가 오프라인으로만 동작하나요? 그런건 못본것 같은데 사실이면 놀라울것 같습니다.
2) 주차장으로 제한되는거랑 계속연결되어있는건 다릅니다. 제 생각에는 온라인으로 인한 실시간 안전성 확보가 중요할것 같은데요;;
3) 지금도 IoT 요금제는 통신료와는 별도 가격입니다. 법인도 마찬가지구요. 그리고 인공지능까지 생각한다면 local로 설치하는건 힘들어요. 더 중요한건 기술 흐름에 역행하는거고요.
4) 자율주행 관련 제조사와 통신시의 협업은 이미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제가 작년 MWC갔을때 모터쇼인줄 알았을 정도니까요.
저도 관련업계 기술자인지라 제 주관이 들어갔을까봐 조심스럽습니다만, 원가가 아마 생각하시는것처럼 높진 않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확언하기는 어렵지만 자율주행과 이동통신은 얽히는 흐름인것 같습니다.
2) 주차장으로 제한되는거랑 계속연결되어있는건 다릅니다. 제 생각에는 온라인으로 인한 실시간 안전성 확보가 중요할것 같은데요;;
3) 지금도 IoT 요금제는 통신료와는 별도 가격입니다. 법인도 마찬가지구요. 그리고 인공지능까지 생각한다면 local로 설치하는건 힘들어요. 더 중요한건 기술 흐름에 역행하는거고요.
4) 자율주행 관련 제조사와 통신시의 협업은 이미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제가 작년 MWC갔을때 모터쇼인줄 알았을 정도니까요.
저도 관련업계 기술자인지라 제 주관이 들어갔을까봐 조심스럽습니다만, 원가가 아마 생각하시는것처럼 높진 않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확언하기는 어렵지만 자율주행과 이동통신은 얽히는 흐름인것 같습니다.
waymo가 오프라인인건 꽤 엤날부터 이야기가 나왔던건데요
https://www.technologyreview.com/s/603339/why-some-autonomous-cars-are-going-to-avoid-the-internet/
일단 온라인 붙여서 무슨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가 굉장히 모호합니다.
운전하는 사람이나 도로상에 존재하는 차의 절대다수가 오프라인이인데요 ...
요금은 저도 매우 잘 알고 있습니다.
통신사와 차랑제조사의 협업은 프로파간다성이 대부분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컨설팅 뽕하고 프로파간다 빼면 남는게 없는게 통신업계인데요 ㅎㅎ
https://www.technologyreview.com/s/603339/why-some-autonomous-cars-are-going-to-avoid-the-internet/
일단 온라인 붙여서 무슨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가 굉장히 모호합니다.
운전하는 사람이나 도로상에 존재하는 차의 절대다수가 오프라인이인데요 ...
요금은 저도 매우 잘 알고 있습니다.
통신사와 차랑제조사의 협업은 프로파간다성이 대부분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컨설팅 뽕하고 프로파간다 빼면 남는게 없는게 통신업계인데요 ㅎㅎ
목록 |
|